북한의 ‘우리문학사’서술의 향방-근대문학 이전의 문학사 서술을 대상으로
The direction of the writings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North-Korea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의 ‘우리문학사’서술의 향방-근대문학 이전의 문학사 서술을 대상으로
The direction of the writings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North-Korea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병순 시조의 고향 의식 연구
A Study on Hometown Consciousness of Park Byeong-soon’s Sijo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태준 단편소설의 정신주의 연구
A Spiritualism study of Lee tae jun's short stories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이태준 단편소설의 정신주의 연구
A Spiritualism study of Lee tae jun's short stories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김철 시에서 시적주체의 변모양상과 고향의 의미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f subject consciousness and the meaning of hometown in Zhe kim's Poetry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철 시에서 시적주체의 변모양상과 고향의 의미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f subject consciousness and the meaning of hometown in Zhe kim's Poetry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의 다문화 연구 현황과 과제
A Study on Research Status and Task on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중앙사론 |
33 |
2011 |
역사학
월드뮤직에서 "상상된 민족"의 정치학
Politics of “Imagined Ethnicity” in World Music
공연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예술일반
아리랑과 현대시
The Acceptance of Arirang Shown in Modern Korean Poetry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Стереотипные представления о разных национальностях в русском анекдоте
러시아어 일화에 나타나는 제(諸)민족에 대한 고정관념들
외국학연구 |
16 |
2011 |
기타인문학
안확의 조선문학사와 조선문명사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History of Korean Civilization by An Hwak
대동문화연구 |
73 |
2011 |
기타인문학
북촌의 지명 유래와 한말일제시기 인식 변화
The origin of the name, bukchon & change of perception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and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의 다문화주의정책
Multiculturalism Policies in South Korea : A Comparative Perspective
사회이론 |
37 |
2010 |
사회학
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의 다문화주의정책
Multiculturalism Policies in South Korea : A Comparative Perspective
사회이론 |
|
37 |
2010 |
사회학
중국 영화검열에 나타난 배타성 연구
A Study on the Exclusivism of Censor a Film in China
한국동북아논총 |
15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도시의 다문화축제 연구 -재한 몽골인 나담(naadam)축제를 통해서-
A study of folkloristics about multicultural festival in urban -Naadam festival for Mongolians living in Korea-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
6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도시의 다문화축제 연구 -재한 몽골인 나담(naadam)축제를 통해서-
A study of folkloristics about multicultural festival in urban -Naadam festival for Mongolians living in Korea-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
|
6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近代关内移民与中国东北区域文化的变迁
만주연구 |
10 |
2010 |
중국
近代关内移民与中国东北区域文化的变迁
만주연구 |
|
10 |
2010 |
중국
세계성, 민족성, 지방성 —일제 말기 로컬 상상력의 층위—
Cosmopolitanism, Nationality, Locality — The Sphere of Imagination about ‘Local’ in the late stage of Imperial Japan —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개벽』과 『별건곤』을 통해본 한국인의 한국자랑
The Korean People's Sources of Pride Shown in Kaepyuk (開闢) and Beolgeongon (別乾坤) Magazines
인문과학연구 |
33 |
2012 |
기타인문학
미국 장애연극에 나타난 다양성의 정치학 —장애, 인종, 민족성의 교차 공연
The Politics of Diversity in American Disability Theater: Performing the Intersection of Disability, Race, and Ethnicity
영어영문학 |
56 |
4 |
2010 |
영어와문학
미국 장애연극에 나타난 다양성의 정치학 —장애, 인종, 민족성의 교차 공연
The Politics of Diversity in American Disability Theater: Performing the Intersection of Disability, Race, and Ethnicity
영어영문학 |
56 |
4 |
2010 |
영어와문학
만주제국인가 청 제국인가 - 최근 미국의 청대사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
The Manchu Empire or The Qing Empire? - A Critical Review on ‘New Qing History’ -
史叢(사총) |
74 |
2011 |
기타역사일반
The Emergence of the Neo-American: Communication Anxiety in Native Speaker
영어영문학연구 |
52 |
4 |
2010 |
영어와문학
The Emergence of the Neo-American: Communication Anxiety in Native Speaker
영어영문학연구 |
52 |
4 |
2010 |
영어와문학
고소설 연구의 민족/민중/근대성 지향에 대한 비판적 성찰: 내재적 발전론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Critical Introspe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Classic Novel Studies and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재외동포 고국관광의 개념적 정립과 관광동기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of Overseas Residents' Homeland Tourism and their Travel Motivation
관광학연구 |
34 |
6 |
2010 |
관광학
재외동포 고국관광의 개념적 정립과 관광동기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of Overseas Residents' Homeland Tourism and their Travel Motivation
관광학연구 |
34 |
6 |
2010 |
관광학
『주체문학론』의 이념과 창작방법
An ideology and methodology of 『Juche-Munhak』
남북문화예술연구 |
8 |
2011 |
기타예술일반
선연구의 발산과 수렴의 교차점으로서 민족성 연구 -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朝鮮人』과 조선연구
The Intersecting point of Radiation and Convergence in the Chosen studies ― On Takahasi Tōru's Chosenjin(1921)
한국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연구의 발산과 수렴의 교차점으로서 민족성 연구 -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朝鮮人』과 조선연구
The Intersecting point of Radiation and Convergence in the Chosen studies ― On Takahasi Tōru's Chosenjin(1921)
한국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 조선민족성 담론의 형성 배경과 논의 방식
A Study on the Modernist Discourses of Koreans: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Chosǒn National Character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 초 조선민족성 담론의 형성 배경과 논의 방식
A Study on the Modernist Discourses of Koreans: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Chosǒn National Character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이영조의 「부활절을 위한 세 개의 합창」과 혼합주의적 음악어법
The Syncretistic Musical Languages in Young-Jo Lee's Three Chorus for Easter
음악과 민족 |
40 |
2010 |
음악학
이영조의 「부활절을 위한 세 개의 합창」과 혼합주의적 음악어법
The Syncretistic Musical Languages in Young-Jo Lee's Three Chorus for Easter
음악과 민족 |
|
40 |
2010 |
음악학
1930년 전후 이여성의 약소민족운동 연구와 민족해방운동론
Lee Yeo-seong` study of the Minor’s Independence Movement around 1930
史叢(사총) |
76 |
2012 |
기타역사일반
에스니시티(ethnicity)의 변형을 통한 한국사회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연구
산업노동연구 |
16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에스니시티(ethnicity)의 변형을 통한 한국사회 이주노동자의 문화변용 연구
산업노동연구 |
16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Analyse ethnopsychosociale de jeong(情) à travers le discours proverbial et problèmes de traduction
속담 번역 문제를 통한 ‘정 情’의 민족 사회학적 분석
불어불문학연구 |
85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재한 중국동포의 에스니시티(ethnicity) 변용에 관한 연구 -서울 서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Acculturation of Ethnicity and Ethnic Korean-Chinese Return Migrants in South Korea: Collective Residence in Southwest Seoul
산업노동연구 |
16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재한 중국동포의 에스니시티(ethnicity) 변용에 관한 연구 -서울 서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Acculturation of Ethnicity and Ethnic Korean-Chinese Return Migrants in South Korea: Collective Residence in Southwest Seoul
산업노동연구 |
16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폭력의 기억: 『항복자』에 나타난 저항의 심리학
Memory of Violence: The Psychology of “Undefeated” in The Surrendered
현대영미소설 |
18 |
3 |
2011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