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

연구분야 : B020101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정치이론
B130100 사회과학 > 법학 > 법학일반

클래스 : 능력/힘/에너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076

한자 : 權利
영어 : right

c01-04 능력/힘/에너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X03 관계/상호작용 관계/상호작용

법률관계 [ 法律關係 ]

N1:종류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거부권 [ 拒否權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거주권 [ 居住權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사권 [ 私權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공권 [ 公權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면접 교섭권 [ 面接 交涉權 ]

hasKind (종류)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경영권 [ 經營權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경관권 [ 景觀權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계약권 [ 契約權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접견교통권 [ 接見交通權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여성의 권리 [ 女姓--權利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관리운영권 [ 管理運營權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근로의 권리 [ 勤勞--權利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민권 [ 民權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군인 권리 [ 軍人權利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상품화권 [ 商品化權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구상권 [ 求償權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주도권 [ 主導權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자치권 [ 自治權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스포츠권 [ --權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투표권 [ 投票權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기본권 [ 基本權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호펠드 [Wesley Newcomb Hohfeld]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권리 남용 [ 權利 濫用 ]

RT (관련어)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강화(증가/확장/신장)

왕권 강화 [ 王權强化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권리 이전 [ 權利 移轉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법적 지위 [ 法的地位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권리 보장 [ 權利保障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권리 제한 [ 權利制限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의무 [ 義務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수반성 [ 隨伴性 ]

isAppliedTo (적용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불복 [ 不服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인권 () [ 人權 ]

≪인권≫에 관한 용어사적(用語史的) 고찰

Eine terminologiegeschichtliche Untersuchung über das koreanische Wort “인권”

경희법학 | 45 | 1 | 2010 | 비교법학

≪인권≫에 관한 용어사적(用語史的) 고찰

Eine terminologiegeschichtliche Untersuchung über das koreanische Wort “인권”

경희법학 | 45 | 1 | 2010 | 비교법학

후스胡適의 사상을 통해 ‘의무가 되어버린 개인의 권리’ 찾기

胡適の思想による「義務になってしまう個人の権利」の探し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개화기 ‘자유주의’ 수용과 기능 그리고 정치적 함의

The Acception and Function of Liberalism and its political meaning in 19th century Korea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1 | 2011 | 동양정치사상

근대한일교류 분석을 통한 대마도 영토권원

Research about the Original Land Title of Susima through analysis of the inter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 of the modern age

백산학보 | 87 | 2010 | 역사학

근대한일교류 분석을 통한 대마도 영토권원

Research about the Original Land Title of Susima through analysis of the inter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 of the modern age

백산학보 | | 87 | 2010 | 역사학

The Qur’an and the Environmental Disputes in the Middle East:A Reflection on Qur’anic Environmental Ethics

꾸란과 중동의 환경분쟁 - 꾸란의 환경윤리 소고(小考) -

중동문제연구 | 11 | 3 | 2012 | 지역학

『정조미담 롯기 (貞操美談路得記』)論

『貞操美談 路得記』論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18 | 2011 | 일본문화학

Indian Reserves in Vancouver Canada

캐나다 밴쿠버의 인디언 보호구역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1 | 4 | 2011 | 기타지리학

權利濫用과 權利行使上 信義則 - 要件論을 中心으로 -

Abuse of Rights and Bona-Fides Principle in Exercising Rights - Focused on Requirements for Application of Section 2 of Korean Civil Code -

민사판례연구 | 32 | 2010 | 법학

權利濫用과 權利行使上 信義則 - 要件論을 中心으로 -

Abuse of Rights and Bona-Fides Principle in Exercising Rights - Focused on Requirements for Application of Section 2 of Korean Civil Code -

민사판례연구 | | 32 | 2010 | 법학

자유주의적 시민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iberalistic Citizenship

윤리연구 | 1 | 82 | 2011 | 학제간연구

칸트의 ‘경제적인’ 코즈모폴리터니즘과 데리다의 ‘비경제적인’ 코즈모폴리터니즘 ‘너머’의 비교 연구

A Study on Kant’s ‘economic’ Cosmopolitanism and Derrida’s ‘aneconomic’ ‘Beyond’ Cosmopolitanism

비평과이론 | 16 | 2 | 2011 | 영어와문학

여가의 권리와 제도적 실천

The Right to leisure and the institutional practice

생명연구 | 19 | 2011 | 서양철학

니체철학의 사회철학적 전망, 정의론

Sociophilosophical perspective of the philosophy of Nietzsche, Theory of justice

사회와 철학 | 19 | 2010 | 철학일반

니체철학의 사회철학적 전망, 정의론

Sociophilosophical perspective of the philosophy of Nietzsche, Theory of justice

사회와 철학 | | 19 | 2010 | 철학일반

동물원 옹호 논의에 대한 비판적 재고

The Argument in Defense of Zoos: A Critical Reconsideration

철학탐구 | 29 | 2011 | 철학

曺兢燮의 共和主義 비판과 朱子學적 근거 梁啓超 비판을 중심으로

Cho Geung-sup’s anti-Republicanism and It’s Confucian Base

南冥學硏究 | 33 | 2012 | 철학

권리에 기초한 공리주의 비판

The Right-Based Criticisms of Utilitarianism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권리에 기초한 공리주의 비판

The Right-Based Criticisms of Utilitarianism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헤겔의 철학적 역사 범주론

Hegels Theorie der Kategorien zur Philosophischen Weltgeschichte

칸트연구 | 28 | 2011 | 철학

민법상 권리체계의 정립에 관한 고찰

Eine Ueberlegung des KBGB-Rechtssystems durch die subjektiven Rechte

법학논총 | 17 | 3 | 2010 | 비교법학

민법상 권리체계의 정립에 관한 고찰

Eine Ueberlegung des KBGB-Rechtssystems durch die subjektiven Rechte

법학논총 | 17 | 3 | 2010 | 비교법학

도시 연구에서 정의와 권리 담론의 의미와 과제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Pertinence and Benefits Justice and Rights Discourse in Contemporary Urban Studies

공간과 사회 | 21 | 1 | 2011 | 지리학

Victims’ Rights and Restitution in California

캘리포니아주의 피해자의 권리와 피해보상

가천법학 | 4 | 3 | 2011 | 법학

두 수준 공리주의와 권리

The Two-Level Utilitarianism and the Rights

대동철학 | 58 | 2012 | 철학

가톨릭 교회의 정의론-토마스 아퀴나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The Catholic Theory of Justice Centered on Thomas Aquinas’ Thoughts

대구사학 | 98 | 2010 | 역사학

가톨릭 교회의 정의론-토마스 아퀴나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The Catholic Theory of Justice Centered on Thomas Aquinas’ Thoughts

대구사학 | 98 | | 2010 | 역사학

피히테(J. G. Fichte)의‘인정’으로서의 권리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정치학회보 | 45 | 1 | 2011 | 정치외교학

프라이버시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인터넷 규제의 의의와 한계 -‘잊혀질 권리’ 논의를 중심으로-

The Korean Way of Balancing Two Fundamental Rights, the Right to Be Forgotten and the Right to Know

언론과 법 | 10 | 2 | 2011 | 신문방송학

사회복지법의 실체적 권리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legal rights under social welfare laws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4 | 3 | 2012 | 사회복지학

형사소송법에서 권리의 구체적인 의미 - 변호인의 피의자신문참여권과 압수물 반환청구권을 중심으로-

The concrete meaning of right in korean criminal procedure

경찰법연구 | 8 | 2 | 2010 | 법학

형사소송법에서 권리의 구체적인 의미 - 변호인의 피의자신문참여권과 압수물 반환청구권을 중심으로-

The concrete meaning of right in korean criminal procedure

경찰법연구 | 8 | 2 | 2010 | 법학

교육과정 결정에 있어서의 국가의 간섭 조건

Conditions for the State to Intervene in Curriculum Decision

교육사상연구 | 25 | 3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