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권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6394

한자 : 民權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권리 [ 權利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참정권 [ 參政權 ]

재일조선유학생들의 ‘국민론’과 ‘애국론’ -『親睦會會報』(1896~1898)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The Discourse on ‘Kungmin’ and ‘Patriotism’ of the Chosŏn Students Studying in the Japan(1896~189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6 | 2011 | 역사학

개화기 ‘자유주의’ 수용과 기능 그리고 정치적 함의

The Acception and Function of Liberalism and its political meaning in 19th century Korea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1 | 2011 | 동양정치사상

民의 대척점에 선 「王權」의 표상 ; 「天皇」과 「征夷大將軍」

Representation of Imperial Authority in Contrast with Civil Power; 「Emperor」 & 「Great Gen. Jungi(征夷)」

日本思想 | 20 | 2011 | 철학

日本明治初期의 ‘民法’과 ‘民權’ 개념 - ‘droit civil’을 둘러싼 두 개의 視座 -

日本明治初期の ‘民法’と ‘民權’ 槪念

성균관법학 | 24 | 1 | 2012 | 법학

조선후기 실학파의 ‘民’에 대한 인식과 정치권력론의 새로운 지평 – 民本主義에서 民權主義로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 –

The Concept of "Min (民: People)" of the Silhak (實學: Korean Pragmatic Philosophy) School in the Late Chosun Period and the New Perspective on Discussions of Political Power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일본 메이지유신(明治維新)기 메이로쿠샤(明六社)결성과 문명개화론의 성격

明治維新期の明六社の結成と文明開化論の性格 The formation of Meirokusha(明六社) and the characteritic of civilization during the period of Meijiishin(明治維新)

日本學硏究 | 33 | 2011 | 일본어와문학

국권상실에 대한 일진회의 인식 -문명화론과 합방론의 관계를 중심으로-

Ilchinhoe(一進會)’s Recognition of the Loss of ‘sovereignty(國權)’ -Centering in Relationship of Civilization theory and Annexation theory-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0 | 2011 | 역사학

한말‘민권’인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개인’과 ‘사회’인식에 대한 원형적 고찰: 한말 사회과학적 언설에 나타난‘인민’관과‘민권’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Primitive Perception of ‘Individual’ and ‘People’s Right’ in the Late Choson Dynasty and Taehan Empire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3 | 2 | 2012 | 정치외교학

중국 근대의 형성과 문화 ― 세계화시대의 동아시아 담론 ―

Formation of modernity and culture in China: a discourse of East Asia in globalized age

동양사학연구 | 115 | 2011 | 역사학

한말 ‘민권’ 용례와 분기 양상

Examples of ‘Civil Rights’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and Divergent Aspects

역사교육 | 121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