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어

연구분야 : A090500 인문학 > 언어학 > 통사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10

한자 : 述語
영어 : predicate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서술어 [ 敍述語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장 성분 () [ 文章成分 ]

N1:종류

hasKind (종류)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복합 술어 () [ 複合述語 ]

hasKind (종류)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이차술어 [ 二次述語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이차 서술어 [ 二次敍述語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술어 구문 [ 述語構文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장종결 보조사 () [ 文章終結補助詞 ]

RT (관련어)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피동문 [ 被動文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계사 [ 繫辭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반사실적 조건문 [ 反事實的條件文 ]

RT (관련어)

 

 

술보 구조 () [述补结构]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복합 서술어 () [ 複合敍述語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서술성 명사 () [ 敍述性名詞 ]

朝鮮朝 鄕樂呈才의 性理學的 談論 − 宗廟佾舞와 五方處容舞를 中心으로 −

A Neo-Confucian Discourse on Joseon Hyangakjeongjae (royal feast dance and music) - Focused on Jongmyoilmu (Royal Shrine Dance) and Obangcheoyongmu (Five-Direction Cheoyong Dance)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러시아어 조격 재조명

A Reflection on the Russian Instrumental Case

러시아연구 | 21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술어와 논항 개념을 통해 본 프랑스어 친족관계 형용사의 특이성

La particularité des adjectifs de parenté: une approche basée sur les notions de prédicat et d'argument

한국프랑스학논집 | 70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술어와 논항 개념을 통해 본 프랑스어 친족관계 형용사의 특이성

La particularité des adjectifs de parenté: une approche basée sur les notions de prédicat et d'argument

한국프랑스학논집 | 70 |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명사화절 「こと・の」와 ‘것・기・음’

Nominalization of Japanese 'koto․・no' & Nominalization of Korean 'kus・ki・m'

일본어문학 | 57 | 2012 | 일본어와문학

스페인어 부사, 부가어인가 술어인가

Análisis de los adverbios españoles en -mente, ¿adjunto o predicado?

스페인어문학 | 55 | 2010 | 기타스페인문학

스페인어 부사, 부가어인가 술어인가

Análisis de los adverbios españoles en -mente, ¿adjunto o predicado?

스페인어문학 | | 55 | 2010 | 기타스페인문학

러셀에 있어서의 사실과 관련된 의미론적 관점

A Viewpoint in the Theory of Meaning in Russell’s Fact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