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성분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414

STNet ID : 1000357

한자 : 文章成分
영어 : constituent of sentence
영어 : constituent
영어 : Sentence Constituent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월조각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장 () [ 文章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술어 [ 述語 ]

hasComponent (구성요소)

독립성분

 

독립어

hasComponent (구성요소)

부속성분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관형어 [ 冠形語 ]

hasComponent (구성요소)

부속성분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부사어 [ 副詞語 ]

hasComponent (구성요소)

주성분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주어 [ 主語 ]

hasComponent (구성요소)

주성분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보어 () [ 補語 ]

hasComponent (구성요소)

주성분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목적어 [ 目的語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오류 양상 () [ 誤謬樣相 ]

2009 개정 교육과정 『독서와 문법』 교과서의 문장 단원 고찰

An Examination of the Sentence Unit in the Textbook "Reading and Grammar"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독일어 주어의 한국어 번역 양상 - 문장성분의 출현유형과 빈도수를 중심으로 -

Ein Aspekt der Übersetzung des deutschen Subjekts ins Koreanisch - bezüglich der Erscheinungsformen der Satzglieder und ihrer Häufigkeit -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28 | 2011 | 독일어와문학

체언 선행 부사에 대한 관견

A View on Some Adverbs in the Pre-Nominal Position

國語學 | 61 | 2011 | 한국어와문학

여격 주어 구문의 갈래와 형성

The classification of the dative subject construction and the condition for forming this construction in Korean

어문론총 | 56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주민 여성들이 잘못 쓰는 조사와 어미

A study on the postposition․ending errors of women immigrants

새국어교육 | 84 | 2010 | 국어교육

이주민 여성들이 잘못 쓰는 조사와 어미

A study on the postposition․ending errors of women immigrants

새국어교육 | | 84 | 2010 | 국어교육

국어 문장 구조에 대한 이해

A Study on the Sentence Structures of Korean

언어과학연구 | 54 | 2010 | 언어학

국어 문장 구조에 대한 이해

A Study on the Sentence Structures of Korean

언어과학연구 | | 54 | 2010 | 언어학

현행 학교 문법에 나타난 두 가지 모순점 - ‘자릿수’ 설정과 관련하여 -

Two contradictory facts in current Korean school grammar -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valency’ -

우리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행 학교 문법에 나타난 두 가지 모순점 - ‘자릿수’ 설정과 관련하여 -

Two contradictory facts in current Korean school grammar -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valency’ -

우리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일어 형용사와 부사의 경계

Grenzziehung zwischen deutschen Adjektiven und Adverbien

독어학 | 22 | 2010 | 독일어와문학

독일어 형용사와 부사의 경계

Grenzziehung zwischen deutschen Adjektiven und Adverbien

독어학 | | 22 | 2010 | 독일어와문학

독일어 주어의 한국어 번역 양상 - 문장성분의 출현유형과 빈도수를 중심으로 -

Ein Aspekt der Übersetzung des deutschen Subjekts ins Koreanisch - bezüglich der Erscheinungsformen der Satzglieder und ihrer Häufigkeit -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28 | 2011 | 독일어와문학

한문 문법에서의 보어 개념 재고 -한문과 학교문법과 관련하여-

關於漢文科語法教學中“補語”概念的商榷

漢字漢文敎育 | 1 | 28 | 2012 | 한문교육

독일어 소유 3격과 한국어 대격중출 구문

Possessiver Dativ im Deutschen und die Doppelakkusativkonstruktion im Koreanischen

독어교육 | 54 | 54 | 2012 | 독일어와문학

학교 문법의 문장 성분 설정에 나타난 몇 문제

Some problems in instituting Constituent of current Korean school grammar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교 문법의 문장 성분 설정에 나타난 몇 문제

Some problems in instituting Constituent of current Korean school grammar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문장 성분 호응 관계 오류 연구

A Study on Korean Language Learners’ Sentence Error Patterns in the Sequence of Sentence Constituents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문장 성분 호응 관계 오류 연구

A Study on Korean Language Learners’ Sentence Error Patterns in the Sequence of Sentence Constituents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