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어

연구분야 : A090500 인문학 > 언어학 > 통사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277

STNet ID : 1000414

한자 : 補語
영어 : complement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기움말

UF (비우선어)

 

 

보족어 [ 補足語 ]

UF (비우선어)

 

 

보충어 [ 補充語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주성분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장 성분 () [ 文章成分 ]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대명사 [ 代名詞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삽입어 [ 揷入語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부속 확장소 () [ 附屬擴張素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동사 보어절 내포문 [ 動詞補語節內包文 ]

RT (관련어)

 

 

술보 구조 () [述补结构]

영어 문장형식의 연구 및 적용 - 영문법 5형식의 재조명

A Study on English Sentence Patterns and Its Application : English 5 verb patterns revisited

교양교육연구 | 4 | 2 | 2010 | 학제간연구

영어 문장형식의 연구 및 적용 - 영문법 5형식의 재조명

A Study on English Sentence Patterns and Its Application : English 5 verb patterns revisited

교양교육연구 | 4 | 2 | 2010 | 학제간연구

한문 문법에서의 보어 개념 재고 -한문과 학교문법과 관련하여-

關於漢文科語法教學中“補語”概念的商榷

漢字漢文敎育 | 1 | 28 | 2012 | 한문교육

2009 개정 교육과정 『독서와 문법』 교과서의 문장 단원 고찰

An Examination of the Sentence Unit in the Textbook "Reading and Grammar"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영어의 외치 현상

Extraposition in English

언어학 연구 | 16 | 2010 | 기타언어학

영어의 외치 현상

Extraposition in English

언어학 연구 | | 16 | 2010 | 기타언어학

운용소 “faire”의 구조분석

Constructions de “faire” comme verbe opérateur

프랑스 문화 연구 | 23 | 2011 | 프랑스문화학

어휘문법 기반‘N-에’보어 구문 연구

Etude des compléments en -e dans les constructions adjectivales et dans les constructions verbales intransitives basée sur le lexique-grammaire

프랑스어문교육 | 3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어휘문법 기반‘N-에’보어 구문 연구

Etude des compléments en -e dans les constructions adjectivales et dans les constructions verbales intransitives basée sur le lexique-grammaire

프랑스어문교육 | | 3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국어 문법에서의 ‘가’ 보어 설정 문제- 심리형용사 구문의 NP2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Complement '가(ga)' in Korean Grammar -Focus on the NP2 of Psychological Adjective Constructions-

어문론총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문법에서의 ‘가’ 보어 설정 문제- 심리형용사 구문의 NP2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Complement '가(ga)' in Korean Grammar -Focus on the NP2 of Psychological Adjective Constructions-

어문론총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