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

연구분야 : A041100 인문학 > 종교학 > 무(巫)교

클래스 : 준인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122

STNet ID : 1000176

한자 : 鬼神
영어 : ghost

a01-07 준인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신귀 [ 神鬼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7 준인간 준인간

도깨비 () [Dokkaebi]

hasKind (종류)

 

 

염매 [ 厭魅 ]

hasKind (종류)

 

a01-07 준인간 준인간

흡혈귀 [ 吸血鬼 ]

hasKind (종류)

 

 

삼신 할머니 [ 三神-- ]

hasKind (종류)

 

 

물 귀신 () [ --鬼神 ]

hasKind (종류)

 

 

무자귀 [ 無子鬼 ]

hasKind (종류)

 

 

나무 귀신 [ --鬼神 ]

hasKind (종류)

 

a01-07 준인간 준인간

요괴 () [ 妖怪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괴담 [ 怪談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공포 영화 () [ 恐怖映畵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흠향 [ 歆饗 ]

RT (관련어)

 

 

신악 [ 神樂 ]

RT (관련어)

 

 

사후 세계 [ 死後世界 ]

RT (관련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미신 [ 迷信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민간 신앙 [ 民間信仰 ]

아름다움의 서사를 활용한 기이함과 신성성의 기호학적 소통 구조 연구 - 『삼국유사』속 여성의 기술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the Semiotic communicative Structure of the Strangeness and the Sacred utilizing beauty Narratives — Focusing on the female description of

기호학 연구 | 31 | 2012 | 언어학

栗谷 李珥의 死生觀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Yul- Gok's Thought about Death and Life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栗谷 李珥의 死生觀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Yul- Gok's Thought about Death and Life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栗谷 李珥의 死生觀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Yul- Gok's Thought about Death and Life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栗谷 李珥의 死生觀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Yul- Gok's Thought about Death and Life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孔子와 墨子의 天槪念 비교

The Comparison of Tien Concept between Confucius and Mo Tzu

동양철학연구 | 68 | 2011 | 철학

栗谷 李珥의 死生觀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Yul- Gok's Thought about Death and Life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栗谷 李珥의 死生觀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Yul- Gok's Thought about Death and Life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삼바소(三番叟)의 형성과 배경 연구 -미얄할미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The Research on the Formation andBackground of Sambaso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with Miyal Grandmother-

구비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바소(三番叟)의 형성과 배경 연구 -미얄할미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The Research on the Formation andBackground of Sambaso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with Miyal Grandmother-

구비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불교의 내세관 소고

仙佛教的来世观研究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백석 시에 수용된 한국 고전시가의 전통

The Tradi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inherited in Baekseok(白石)'s Poetry

고전문학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이생규장전」의 특징과 그 의미

The feature and the meaning of 「Leesaeg-gyujang-jeon」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

人文科學硏究 | 28 | 2010 | 기타인문학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이생규장전」의 특징과 그 의미

The feature and the meaning of 「Leesaeg-gyujang-jeon」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

人文科學硏究 | 28 | | 2010 | 기타인문학

儒敎와 喪禮의 宗敎性에 關한 硏究 - 『家禮輯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igiousness of Confucianism and Funeral Rites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9 | 2011 | 유교학

儒敎와 喪禮의 宗敎性에 關한 硏究 - 『家禮輯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igiousness of Confucianism and Funeral Rites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9 | 2011 | 유교학

조선시대의 초상화와 조상숭배

Portraits and Ancestor Worship in the Joseon Dynasty

미술자료 | 81 | 2012 | 미술사

천태의 가상법(假想法)과 주술법(呪術法)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

Healing of Diseases using the Imagination and Incantation of T'ien-tai

禪學(선학) | 31 | 2012 | 응용불교학

魏晉南朝 시기 관료를 위한 황제의 哀悼禮

A Study on the Mourning Rites for Government Officials of the Emperor in the Wei-Jin-Nanchao(魏晉南朝) Period

중국고중세사연구 | 28 | 2012 | 역사학

성리학적 귀신론의 틈새와 귀신의 귀환-조선 전·중기 필기·야담류의 귀신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Fissures of Neo-Confucian System of Thought and Return of the Guishins(鬼神)

고전과 해석 | 9 | 2010 | 국문학사

성리학적 귀신론의 틈새와 귀신의 귀환-조선 전·중기 필기·야담류의 귀신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Fissures of Neo-Confucian System of Thought and Return of the Guishins(鬼神)

고전과 해석 | 9 | | 2010 | 국문학사

성리학적 귀신론의 틈새와 귀신의 귀환-조선 전·중기 필기·야담류의 귀신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Fissures of Neo-Confucian System of Thought and Return of the Guishins(鬼神)

고전과 해석 | 9 | 2010 | 국문학사

성리학적 귀신론의 틈새와 귀신의 귀환-조선 전·중기 필기·야담류의 귀신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Fissures of Neo-Confucian System of Thought and Return of the Guishins(鬼神)

고전과 해석 | 9 | | 2010 | 국문학사

주희의 귀신론에 비추어 본 교사의 역할

The Role of Teacher in Light of Chu Hsi's Concept of Spirit

도덕교육연구 | 23 | 1 | 2011 | 교육학

『중용』과 귀신의 관계, ‘중용’의 정식화의 연구

A study on relation of Zhongyong and Supernatural being, Formulation of ‘zhongyong’

유교사상문화연구 | 41 | 2010 | 유교학

『중용』과 귀신의 관계, ‘중용’의 정식화의 연구

A study on relation of Zhongyong and Supernatural being, Formulation of ‘zhongyong’

유교사상문화연구 | | 41 | 2010 | 유교학

귀신의 형성조건에 대한 시론

An Essay on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Ghosts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에 잠복된 사회적 적대

The Latent Social Antagonisms in the Ghost Stori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17, 18세기 韓中 鬼神·妖怪談의 逸脫과 欲望

A Study on Deviation and Desire in the Ghost and Apparition Tales of Chosun and China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필기·야담류에 나타난 귀신의 세 유형과 그 역사적 변모

The Types of Guishin(鬼神) and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필기·야담류에 나타난 귀신의 세 유형과 그 역사적 변모

The Types of Guishin(鬼神) and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필기·야담류에 나타난 귀신의 세 유형과 그 역사적 변모

The Types of Guishin(鬼神) and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필기·야담류에 나타난 귀신의 세 유형과 그 역사적 변모

The Types of Guishin(鬼神) and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에 잠복된 사회적 적대

The Latent Social Antagonisms in the Ghost Stori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