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신

연구분야 : A049900 인문학 > 종교학 > 기타종교학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579

STNet ID : 9001393

한자 : 迷信
영어 : superstition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신앙 () [ 信仰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기복신앙 [ 祈福信仰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민간 신앙 [ 民間信仰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무속 신앙 () [ 巫俗信仰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미신론 [ 迷信論 ]

RT (관련어)

 

 

유사 종교 [ 類似宗敎 ]

RT (관련어)

 

a01-07 준인간 준인간

귀신 [ 鬼神 ]

북녘의 무당들 -어느 탈북 무녀(巫女)의 이야기-

Understanding Shamanism in North Korea-A Narrative of a Female North Korean Shaman

한국문화연구 | 21 | 2011 | 기타인문학

1950년대 여성잡지에 나타난 계몽과 수치심의 관계 고찰 - 잡지 「여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enlightenment which is shown on the women's magazine writing in the 1950' - with 「yeowon」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종교에 대한 흄과 칸트의 견해: 상이한 중용 찾기

Hume and Kant on Religion: taking the different medium

철학연구 | 115 | 2010 | 철학

종교에 대한 흄과 칸트의 견해: 상이한 중용 찾기

Hume and Kant on Religion: taking the different medium

철학연구 | 115 | | 2010 | 철학

민간신앙을 활용한 한국어와 문화 교육-문학작품을 중심으로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through Folk-beliefs(Focusing on Korean Literatures)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공간 이동에 따른 「나(余)」의 미신 인식의 변화 고찰 ―나쓰메 소세키의 『유령의 소리(琴のそら音)』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ange in my superstitious perception depending on teleportation -focusing on ‘Ghost Sounds’ in the work of Natsume Soseki-

일본근대학연구 | 29 | 2010 | 일본문화학

공간 이동에 따른 「나(余)」의 미신 인식의 변화 고찰 ―나쓰메 소세키의 『유령의 소리(琴のそら音)』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ange in my superstitious perception depending on teleportation -focusing on ‘Ghost Sounds’ in the work of Natsume Soseki-

일본근대학연구 | | 29 | 2010 | 일본문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