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주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1276

STNet ID : 1001207

한자 : 徐廷柱
음차어 : Seo Jeongju
호(號) : 미당(未堂)

y01-01 실존인물

출생지

고창군 (高敞郡)

저작

자화상 (自畵像)

직업

시인 (詩人)

생몰년_t

1915.5.18 ~ 2000.12.24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생명파 () [ 生命派 ]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질마재

RT (관련어)

문예지/편집자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문학춘추 [ 文學春秋 ]

시적 의미의 비변증법적 지향성 연구-서정주와 이동주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Non-dialectic intentionality of Poetic meaning-to centered Seo, Joeng-ju and Lee, Dong-ju's poems-

호남학 | 50 | 2011 | 기타인문학

시적 의미의 비변증법적 지향성 연구-서정주와 이동주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Non-dialectic intentionality of Poetic meaning-to centered Seo, Joeng-ju and Lee, Dong-ju's poems-

호남학 | 50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자화상 시편에 대한 정신분석

Psychoanalysis analysis of poet portraits Japanese colonial era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미당 시의 문둥이 이미지와 그 변용 양상의 의미 해석

An Analysis on Midang's Poetry, Especially on Mundungee Image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미당 시의 문둥이 이미지와 그 변용 양상의 의미 해석

An Analysis on Midang's Poetry, Especially on Mundungee Image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통’ 개념어의 기원과 전통 인식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Tradi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미당 시의 문둥이 이미지와 그 변용 양상의 의미 해석

An Analysis on Midang's Poetry, Especially on Mundungee Image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미당 시의 문둥이 이미지와 그 변용 양상의 의미 해석

An Analysis on Midang's Poetry, Especially on Mundungee Image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관식 시의 생태학적 상상력 연구

A Study on the Ecological Imagination of Kim Kwan-sik's Poetry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관식 시의 생태학적 상상력 연구

A Study on the Ecological Imagination of Kim Kwan-sik's Poetry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에 나타난 윤리의식과 국가의 문제 -오장환과 서정주의 해방기 시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The Problems of Ethical Consciousness and the Nation represented in poems in the Liberating period. -Based upon the comparison between Oh Jang-whan's and Seo Jung-joo's poems

어문론총 | 56 | 2012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시와 산문에 나타난 김범부의 영향

A Study on the Korean Thinker Kim Bumbu's Influence on the Essays and Poetry of the Korean Poet Seo Jungju

국제언어문학 | 23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서정주 시에 나타난 ‘바다’의 의미 변화

A Study on Changes in the Meaning of Sea in Poems of Seo Jeong-Ju

한국시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시에 나타난 ‘바다’의 의미 변화

A Study on Changes in the Meaning of Sea in Poems of Seo Jeong-Ju

한국시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화사집』의 시집 구조와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Poetical Works and the Aesthetic Quality in Hwasajip (『화사집』)

영주어문 | 19 | 2010 | 기타국문학

『화사집』의 시집 구조와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Poetical Works and the Aesthetic Quality in Hwasajip (『화사집』)

영주어문 | 19 | | 2010 | 기타국문학

불교의 緣起論으로 본 서정주의 시

The Poetry of Seo Jeong-Ju in terms of Buddhist philosophy of Karma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불교의 緣起論으로 본 서정주의 시

The Poetry of Seo Jeong-Ju in terms of Buddhist philosophy of Karma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비설화의 현대시 수용 양상 연구- 서정주 시의 여성인물 설화 수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eptive phases of folk tales in modern Korean poems- centering around Seo, Jung-Ju's poems based on folk tales about women -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비설화의 현대시 수용 양상 연구- 서정주 시의 여성인물 설화 수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eptive phases of folk tales in modern Korean poems- centering around Seo, Jung-Ju's poems based on folk tales about women -

배달말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의 『鶴이 울고 간 날들의 詩』 연구

A Study of Seo Jungju's Poems in the Days of the Crane's Singing

한국언어문학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의 『鶴이 울고 간 날들의 詩』 연구

A Study of Seo Jungju's Poems in the Days of the Crane's Singing

한국언어문학 |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초기시의 근대성 재론 -‘육체’와 ‘직정언어’의 문제를 중심으로

Rethinking the Modernity of Seo Jeongju's Early Poems -Focused on the Problem of 'Body' and 'Chikjung-language'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초기시의 근대성 재론 -‘육체’와 ‘직정언어’의 문제를 중심으로

Rethinking the Modernity of Seo Jeongju's Early Poems -Focused on the Problem of 'Body' and 'Chikjung-language'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60년대 서정주 시 연구 - ‘신라’의 신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A study on Suh Jung-Joo's poetry in the 1950~60s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의 초기 시와 언어 미학적 태도

Seo, Jeong-ju’s linguistic and aesthetic attitude in the early Poetry

한국시학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초기문학의 심성 구조

The Mentalitē Shown in Seo, Jeong-joo's Early LiteraryWorld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이야기시의 서사전략

The Narrative Strategy in Seo Jeong-ju’s Narrative Poetry - Centering on 3 types of narrator -

한국문예비평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시의 자연의 재발견과 연생성 : 시집 『귀촉도』, 『서정주 시선』을 중심으로

Rediscovering the Nature and Karma in Poems of Seo Jeong-Ju : focusing on 『Gwichokdo』and 『Seo Jeong-Ju's selected poems』

문학과환경 | 9 | 2 | 2010 | 문학

서정주 시의 자연의 재발견과 연생성 : 시집 『귀촉도』, 『서정주 시선』을 중심으로

Rediscovering the Nature and Karma in Poems of Seo Jeong-Ju : focusing on 『Gwichokdo』and 『Seo Jeong-Ju's selected poems』

문학과환경 | 9 | 2 | 2010 | 문학

서정주 초기시에서의 ‘피’의 근대적 의미

The study of modern meaning of Blood in the poetry of Seo Jung Ju

한중인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시의 ‘신라’ 표상과 불교적 상상력 - 시집『신라초』를 중심으로 -

‘Silla’ Symbol and Buddhist Imagination of Seo Jeong-Ju's Poems :Focusing on Collection of Poems named Sillacho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불교의 緣起論으로 본 서정주의 시

The Poetry of Seo Jeong-Ju in terms of Buddhist philosophy of Karma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불교의 緣起論으로 본 서정주의 시

The Poetry of Seo Jeong-Ju in terms of Buddhist philosophy of Karma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화사집』의 시집 구조와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Poetical Works and the Aesthetic Quality in Hwasajip (『화사집』)

영주어문 | 19 | 2010 | 기타국문학

『화사집』의 시집 구조와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Poetical Works and the Aesthetic Quality in Hwasajip (『화사집』)

영주어문 | 19 | | 2010 | 기타국문학

서정주 향가 취재 시편의 동기와 작법

Motivations and Methods of Creating Lyrical Parody Poems of Hyangga Composed by Seo Jeong-ju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서정주 향가 취재 시편의 동기와 작법

Motivations and Methods of Creating Lyrical Parody Poems of Hyangga Composed by Seo Jeong-ju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서정주 향가 취재 시편의 동기와 작법

Motivations and Methods of Creating Lyrical Parody Poems of Hyangga Composed by Seo Jeong-ju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서정주 향가 취재 시편의 동기와 작법

Motivations and Methods of Creating Lyrical Parody Poems of Hyangga Composed by Seo Jeong-ju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서정주 시에 나타난 ‘바다’의 의미 변화

A Study on Changes in the Meaning of Sea in Poems of Seo Jeong-Ju

한국시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시에 나타난 ‘바다’의 의미 변화

A Study on Changes in the Meaning of Sea in Poems of Seo Jeong-Ju

한국시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의 「김소월 시론」을 통해 본 현대시와 전통 -감각(感覺)과 정조(情調)론을 중심으로 -

Modern Poetry and Tradition Interpreted thru 「Poetics of So-wol Kim」 by Jung-joo Suh :Focused on sensibility and lyric rhyme theory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시의 西方 지향과 정토 사상

Western Orientation and Pure Land Idea of Seo Jeong-Ju’s Poems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서정주 이야기시의 서사전략

The Narrative Strategy in Seo Jeong-ju’s Narrative Poetry - Centering on 3 types of narrator -

한국문예비평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의 초기 시와 언어 미학적 태도

Seo, Jeong-ju’s linguistic and aesthetic attitude in the early Poetry

한국시학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시의 ‘신라’ 표상과 불교적 상상력 - 시집『신라초』를 중심으로 -

‘Silla’ Symbol and Buddhist Imagination of Seo Jeong-Ju's Poems :Focusing on Collection of Poems named Sillacho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