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파

연구분야 : A110207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시(국문학)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7407

한자 : 生命派

y06-03 학파/종파명

시대4

일제강점기 (日帝强占期)

설립목적_t

기교주의적이며 감각주의적인 경향에 반대

설립일자_t

1935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달진 [ 金達鎭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오장환 () [ 吳章煥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동리 () [ 金東里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치환 () [ 柳致環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서정주 (1915-2000) [ 徐廷柱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여상현 [ 呂尙玄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시인부락 [ 詩人部落 ]

RT (관련어)

대항 학파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시문학파 [ 詩文學派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생명시 () [ 生命詩 ]

1930년대 한국지성사에서 니체사상의 수용

Die Rezeption des Gedanken Nietzsches in der koreanischen Geistesgeschichte um 1930er

범한철학 | 63 | 4 | 2011 | 철학

오장환 시에 나타난 질병과 생명의 문제

The matter of disease and life in Oh jang-hwan’s poems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에 나타난 윤리의식과 국가의 문제 -오장환과 서정주의 해방기 시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The Problems of Ethical Consciousness and the Nation represented in poems in the Liberating period. -Based upon the comparison between Oh Jang-whan's and Seo Jung-joo's poems

어문론총 | 56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