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기

연구분야 : A020302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중세사1(위진수당)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135

STNet ID : 9004083

한자 : 窺基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자은대사

UF (비우선어)

 

홍도 [ 洪道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현장 [ 玄奘 ]

河上公의 氣와 王弼의 道 - 『노자』에 대한 하상공과 왕필의 주석 비교 (1) -

Tao and Ch’i in the Lao-tzu ―A Comparing Ho-shang kung with Wang Pi in Their Commentaries

도교문화연구 | 36 | 2012 | 종교학

유·불·선(儒佛仙) 삼교(三敎)의 주체적 수용을 통한 원불교 개체성 확립을 위한 소고

A Study on the Notion of Individuality in Won-Buddhism in Relation to the Subjective Accepta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6 | 2010 | 원불교학

유·불·선(儒佛仙) 삼교(三敎)의 주체적 수용을 통한 원불교 개체성 확립을 위한 소고

A Study on the Notion of Individuality in Won-Buddhism in Relation to the Subjective Accepta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6 | 2010 | 원불교학

조선 왕릉의 능역과 성속의 구분

The Study on the precincts of the royal tomb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sacred area of the royal tomb

서울과 역사 | 75 | 2010 | 역사학

조선 왕릉의 능역과 성속의 구분

The Study on the precincts of the royal tomb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sacred area of the royal tomb

서울과 역사 | | 75 | 2010 | 역사학

주제군징(主制群徵)』에 나타난 서양의학 이론과 중국과 조선에서의 수용 양상

Zhuzhiqunzheng (主制群徵), the Jesuit translation of Western medicine and its influence on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의사학 | 21 | 2 | 2012 | 역사학

‘깃털 달린 인간’의 ‘변신’ 이야기 - ‘숨’의 생명미학을 통해서 본 디오니소스적 인간과 소크라테스적 인간

Metamorphose des ‘beflügelten’ Menschen - Nietzsche und Asiatische Lebensästhetik der ‘Atmung’

니체연구 | 20 | 2011 | 철학

한국 민속춤 수행에서 호흡이 갖는 중요성 -동북아시아의 사상적 관점에서-

A Study of the Importance of Respiration while Performing Korean Folk Dance:Perspective on Northeast Asian

한국문화연구 | 21 | 2011 | 기타인문학

명(名)과 실(實), 보편과 개체에 대한 동서철학의 논의 비교

A Comparison between Western and Chinese Philosophy about the Name and Substance, the Universal and Individual

범한철학 | 64 | 1 | 2012 | 철학

마테오 리치의 리기관(理氣觀)

Matteo Ricci's View of Li and Chi

철학논총 | 60 | 2 | 2010 | 철학

마테오 리치의 리기관(理氣觀)

Matteo Ricci's View of Li and Chi

철학논총 | 60 | 2 | 2010 | 철학

조선 중기 향촌 유학자의 생태학적 상상력과 자연 읽기 -풍수지리에 의한 <지수정가> 재조명-

A Rural Confucian Scholar’s Reading Nature by the Ecological Imagination in the Mid-Joseon Period : A New Interpretation of ‘Jisujeongga’ (Song of Jisu Pavillion) Based on Geomantic Theory

한국학논집 | 41 | 2010 | 기타인문학

汤显祖의 文學思想 形成 중에서 道敎의 影響小考

Study on Taoism's Influence on Tang Xian-zu' s Literary Thought During its Formation Period

중국학논총 | 30 | 2010 | 중국문화학

汤显祖의 文學思想 形成 중에서 道敎의 影響小考

Study on Taoism's Influence on Tang Xian-zu' s Literary Thought During its Formation Period

중국학논총 | | 30 | 2010 | 중국문화학

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

The Real Morality of the Oughtness(所當然) and the Being(所以然) in the Zhu Xi’s NeoConfucianism

법학논총 | 34 | 1 | 2010 | 법학

주희 성리학에서의 소이연과 소당연의 도덕 실재적 함의

The Real Morality of the Oughtness(所當然) and the Being(所以然) in the Zhu Xi’s NeoConfucianism

법학논총 | 34 | 1 | 2010 | 법학

Tasan Chŏng’s and Leibniz’s Concept of God Viewed in the Light of Neo-Confucian Tradition

정다산과 라이프니츠의 신개념에 대한 신유학적 조명

다산학 | 16 | 2010 | 인문학

Tasan Chŏng’s and Leibniz’s Concept of God Viewed in the Light of Neo-Confucian Tradition

정다산과 라이프니츠의 신개념에 대한 신유학적 조명

다산학 | | 16 | 2010 | 인문학

‘인(人)’, ‘기(己)’, ‘심(心)’, ‘욕(欲)’과 공자의 인간 이해

The concept of jen(人), chi(己), hsin(心), yok(欲) in Confucius' Jenlogy(仁學)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인(人)’, ‘기(己)’, ‘심(心)’, ‘욕(欲)’과 공자의 인간 이해

The concept of jen(人), chi(己), hsin(心), yok(欲) in Confucius' Jenlogy(仁學)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현실적 원인과 전환시대의 논리로 본 이황의 생애와 사상

Realistisch, die Logik von Ursache-und Übergangs-Ära über das Leben und Denken dieses Yi Hwang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현실적 원인과 전환시대의 논리로 본 이황의 생애와 사상

Realistisch, die Logik von Ursache-und Übergangs-Ära über das Leben und Denken dieses Yi Hwang

동서철학연구 | | 56 | 2010 | 철학

천태의 가상법(假想法)과 주술법(呪術法)을 이용한 질병의 치료

Healing of Diseases using the Imagination and Incantation of T'ien-tai

禪學(선학) | 31 | 2012 | 응용불교학

『여씨춘추』와 『예기』 「악기」에서 “음악은 천지의 조화[和]”가 갖는 의미 비교

The Concept of Cosmic Harmony of Music in Lüshi chunqiu and “Yueji” of Liji

철학사상 | 43 | 2012 | 철학

「させる」と「시키다」の意味的な関係及びその背景

The Relation and Background in the View of Semantics of 「SASERU」 and 「SIKIDA」

일본학보 | 84 | 2010 | 일본어와문학

「させる」と「시키다」の意味的な関係及びその背景

The Relation and Background in the View of Semantics of 「SASERU」 and 「SIKIDA」

일본학보 | | 84 | 2010 | 일본어와문학

명사화절 「こと・の」와 ‘것・기・음’

Nominalization of Japanese 'koto․・no' & Nominalization of Korean 'kus・ki・m'

일본어문학 | 57 | 2012 | 일본어와문학

朝鮮祖 性理學의 洛論과 艮齋性理學의 특징

朝鮮祖性理学的洛论与艮齋性理学的特征

간재학논총 | 11 | 2011 | 한국유가철학

頤齋 黃胤錫의 洛學 繼承的 性理說 一攷

A Study on Hwang Yoon Seok's Theory of Neo-Confucianism with Succession of Nak-Hak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木山 李基敬의 삶과 思想에 대한 一攷

A Study on the Life and Idea of Lee Gi-gyoung

퇴계학논총 | 18 | 2011 | 기타인문학

현실적 원인과 전환시대의 논리로 본 이황의 생애와 사상

Realistisch, die Logik von Ursache-und Übergangs-Ära über das Leben und Denken dieses Yi Hwang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현실적 원인과 전환시대의 논리로 본 이황의 생애와 사상

Realistisch, die Logik von Ursache-und Übergangs-Ära über das Leben und Denken dieses Yi Hwang

동서철학연구 | | 56 | 2010 | 철학

退溪 讀書法 속의 天과 人

Chun(天) and In(人) in the Reading Method of Toegye

퇴계학논집 | 9 | 2011 | 철학

하곡의 양명사상에서 나타난 개체의 정치사상적 의의

霞谷陽明思想中所表現的政治思想的意义

양명학 | 25 | 2010 | 철학

하곡의 양명사상에서 나타난 개체의 정치사상적 의의

霞谷陽明思想中所表現的政治思想的意义

양명학 | | 25 | 2010 | 철학

張載의 형이상학 비판 - 氣와 神 개념을 중심으로 -

張載形上學批判 [A Critique on ZhangZai's Metaphysics]

퇴계학보 | 129 | 2011 | 유교학

전기와 논설 문체 형성 과정과 자기 형상의 글쓰기

A Study on Figuration of Self-Identity way of Using the Classical Style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동양화의 형(形)과 신(神)에 대한 고찰 - 형․신과 지(知)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form and spiritual being in the traditional Chinesepainting theories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동양화의 형(形)과 신(神)에 대한 고찰 - 형․신과 지(知)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form and spiritual being in the traditional Chinesepainting theories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풍수인테리어의 주술적 요소와 생활지침적 속성 -아파트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Magical factors and Life-Guiding Features of Fengshui Interio

실천민속학 연구 | 15 | 2010 | 역사학

풍수인테리어의 주술적 요소와 생활지침적 속성 -아파트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Magical factors and Life-Guiding Features of Fengshui Interio

실천민속학 연구 | 15 | | 2010 | 역사학

풍수를 적용한 공동주택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Feng-Shui in Apartment House Space Desig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5 | 1 | 2010 | 실내환경디자인

풍수를 적용한 공동주택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Feng-Shui in Apartment House Space Desig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5 | 1 | 2010 | 실내환경디자인

녹문 임성주의 생의(生意)로서의 기(氣)와 마음의 개념

Two Concepts in Im Seong-Joo's Philosophy - 'Ki(氣)' as Vital Force and the 'Mind'

생명연구 | 16 | 2010 | 서양철학

녹문 임성주의 생의(生意)로서의 기(氣)와 마음의 개념

Two Concepts in Im Seong-Joo's Philosophy - 'Ki(氣)' as Vital Force and the 'Mind'

생명연구 | 16 | | 2010 | 서양철학

주희 리기 개념의 체험주의적 해석

對朱熹理氣槪念的體驗主義解釋

동양철학연구 | 68 | 2011 | 철학

선진유학의 인간본성론 - 성자명출(性自命出)을 중심으로 -

Confucianism's Theory of Human Nature In the Pre-Qin Days - a study for Xìng Zì Mìng Chū -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선진유학의 인간본성론 - 성자명출(性自命出)을 중심으로 -

Confucianism's Theory of Human Nature In the Pre-Qin Days - a study for Xìng Zì Mìng Chū -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李瀷의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유교사상문화연구 | 40 | 2010 | 유교학

李瀷의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유교사상문화연구 | | 40 | 2010 | 유교학

왕충의 자연무위설(自然無爲說)과 마음의 관계

關於王充的自然無爲說和心論的硏究

범한철학 | 63 | 4 | 2011 | 철학

풍물굿에 나타난 기(旗)의 의미와 색채의식

Color Consciousness and Symbol of Ki(旗) in Pung-mul Goot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4 | 2011 | 체육

원불교의 물질 개념 - 초기 도가 및 인도 상키야 철학과 연관하여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3 | 2012 | 원불교학

도교수행론에서의 심과 기

Mind and Ki in Taoist practice

도교문화연구 | 33 | 2010 | 종교학

도교수행론에서의 심과 기

Mind and Ki in Taoist practice

도교문화연구 | | 33 | 2010 | 종교학

김소월 「시혼」의 理氣論的 고찰

A study on Kim, So-Wol's poetics Sihon(詩魂) with Liki(理氣)philosophy

어문론총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 「시혼」의 理氣論的 고찰

A study on Kim, So-Wol's poetics Sihon(詩魂) with Liki(理氣)philosophy

어문론총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만금 지역에서 艮齋 田愚의 국혼고취와 도덕적 본성 강조

田愚於新萬金地域鼓动的國魂与强調的道德本性

동양문화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새만금 지역에서 艮齋 田愚의 국혼고취와 도덕적 본성 강조

田愚於新萬金地域鼓动的國魂与强調的道德本性

동양문화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송대 신유학에 대한 대진의 계승과 비판 ― 존재론적 체계를 중심으로

戴震的對宋代新儒家繼承與批評 ― 論本體論結構爲中心

대동철학 | 50 | 2010 | 철학

송대 신유학에 대한 대진의 계승과 비판 ― 존재론적 체계를 중심으로

戴震的對宋代新儒家繼承與批評 ― 論本體論結構爲中心

대동철학 | | 50 | 2010 | 철학

주자(朱子) 기(氣) 사상과 한국춤 사상과의 유관성(有關性)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the relation with the Idea of Korean dance in the view of Chu Hsi’ idea. -With ‘Idea of Spirit’ as the center-

무용예술학연구 | 36 | 36 | 2012 | 무용

“氣是自生”:楚簡『恒先』哲學價值新識

“氣是自生”:楚簡『恒先』의 哲學적 價值에 대한 新認識

중국과 중국학 | 12 | 2010 | 지역학일반

“氣是自生”:楚簡『恒先』哲學價值新識

“氣是自生”:楚簡『恒先』의 哲學적 價值에 대한 新認識

중국과 중국학 | 12 | | 2010 | 지역학일반

기계의 눈과 우울한 오브제-기술제국의 시각지배와 식민지의 사진 (무)의식

The Eye of the Machine and the Melancholic Objects - Visual Control through the Empire of Technology and (Un)consciousness about Photography in the Colony

사이間SAI | 10 | 2011 | 기타국문학

접촉즉흥에 내재된 음양적 성격과 기에 관한연구

The character of Yin Yang and Chi in Contact Improvisation

무용예술학연구 | 34 | 34 | 2011 | 무용

천태의 호흡법과 질병치료

Breathing and Healing of T'ien-tai(天台)

불교학보 | 61 | 2012 | 기타불교학

基撰とされる論疏および『大乘法苑義林章』の成立過程について

기基찬이라고 생각되는 논소 및 『대승법원의림장』의 성립 과정에 대해서

불교학보 | 61 | 2012 | 기타불교학

도가(道家)의 세계관에서 바라본 기의 회화적 해석

Interpretation of Qi through the Taoist Perspectives in Painting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도가(道家)의 세계관에서 바라본 기의 회화적 해석

Interpretation of Qi through the Taoist Perspectives in Painting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대진 인성론의 존재론적 근거와 그 특징

戴震性論的存在論根據及其特點

철학연구 | 120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