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교육

연구분야 : B120103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학일반 > 교육사학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203

STNet ID : 1000182

한자 : 近代敎育
영어 : modern education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개화 교육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 () [ 敎育 ]

N1:종류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국 근대 교육 [ 韓國近代敎育 ]

R1:개념적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신교육 운동 [ 新敎育運動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의무 교육 [ 義務敎育 ]

일본 근대 소비자의 탄생, 샐러리맨 가정의 생활과 교양

日本近代消費者の誕生、サラリーマン家庭の生活と教養

이화사학연구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일본 근대 소비자의 탄생, 샐러리맨 가정의 생활과 교양

日本近代消費者の誕生、サラリーマン家庭の生活と教養

이화사학연구 |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이화’가 만든 ‘고급’ 창가집 - 『유희창가집』을 통해 본 식민지 경성의 단면

Ewha Kindergarten and its Quality Songbook: Looking into Colonial Seoul through the Anthology of Yuhui-Changga

音.樂.學 | 19 | 2 | 2011 | 기타음악학

Historiography and National Identity of Colonial Burma: An Analysis of a Vernacular School History Textbook

식민 버마시기 역사문헌과 민족정체성: 버마학교 역사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 15 | 2 | 2012 | 지역학

운동회의 기억: 해방이후 초등학교 운동회를 중심으로

Memories of Athletic Meeting in Primary School in Korea

아시아교육연구 | 12 | 1 | 2011 | 교육학

근대적 교육공간의 성격과 한국의 근대학교

Educational Space and the Korean Modern Schools

한국교육학연구 | 16 | 1 | 2010 | 교육학

근대적 교육공간의 성격과 한국의 근대학교

Educational Space and the Korean Modern Schools

한국교육학연구 | 16 | 1 | 2010 | 교육학

근대 학교운동회 팽창: 그 실태와 동인

The expansion of modern school field meet: its quantitative realities and its cause

한국교육사학 | 33 | 1 | 2011 | 교육학

미국계 선교사와 일본 근대 지식인의 긴장관계 - 미션스쿨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merican Missionaries and Japanese Intelletuals in the Modern Periods

일본어문학 | 50 | 2010 | 일본어와문학

미국계 선교사와 일본 근대 지식인의 긴장관계 - 미션스쿨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merican Missionaries and Japanese Intelletuals in the Modern Periods

일본어문학 | | 50 | 2010 | 일본어와문학

근대적 교육의 형성과정에 나타난 전근대적 가치의 위상

A study on the discontinuity and acceptance of the pre-modernity in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education

한국교육사학 | 32 | 2 | 2010 | 교육학

근대적 교육의 형성과정에 나타난 전근대적 가치의 위상

A study on the discontinuity and acceptance of the pre-modernity in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education

한국교육사학 | 32 | 2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