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록강

연구분야 : B101102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북한
B160401 사회과학 > 지리학 > 지역지리학 > 한국지리

클래스 : 바다/강/호수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27

STNet ID : 1000019

한자 : 鴨綠江
영어 : Yalu river
중국어 : 鸭绿江

x01-05 바다/강/호수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강(江) () [ 江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월강 () [ 越江 ]

isTributaryOf (합류/통합)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삼교천 [ 三橋川 ]

RT (관련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고산리 [ 高山里 ]

RT (관련어)

 

e02-02 패턴 패턴

탈북 경로 [ 脫北經路 ]

RT (관련어)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토문강 [ 土門江 ]

RT (관련어)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임진강 () [ 臨津江 ]

RT (관련어)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두만강 () [ 豆滿江 ]

1930년대 일제의 조지 엘 쇼(George L. Shaw) 탄압ㆍ축출공작과 그 성격

Japanese Imperial Government’s Maneuver for the Oppression and Expulsion of George L. Shaw in 1930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9 | 2011 | 역사학

高句麗 王號와 葬地에 관한 檢證

Verification of the Names of Kings in Goguryeo and their Burial Grounds

경주사학 | 34 | 34 | 2011 | 기타인문학

16~17세기 여진의 성장과 요동 변경지대 성격 연구 - 변경지대의 변화를 통해 본 만리장성 동단기점설 비판 -

The Growth of Jurchens and the Character of the Liaodong Border Area : A Criticism on the Eastern Point of the Great Wall through the Change of Border Areas

동북아역사논총 | 34 | 2011 | 역사학

淸初 柳條邊墙의 건축과 그 역할

The Construction and itś Role of the Lyujo Border-fence in early Ching dynasty

백산학보 | 92 | 2012 | 역사학

조・중간의 경계분쟁과 고지도

朝鮮と中国との間の境界紛争と古地図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鴨綠江 中·上流域 出土 高句麗 遺物 檢討

A Study on the Goguryeo Relics in the Middle and Upper area of the Yalu-river(鴨綠江)

단군학연구 | 22 | 2010 | 기타역사학

鴨綠江 中·上流域 出土 高句麗 遺物 檢討

A Study on the Goguryeo Relics in the Middle and Upper area of the Yalu-river(鴨綠江)

단군학연구 | 22 | | 2010 | 기타역사학

고려 성종-현종초 북방 개척과 州鎭 설치

Pioneering in the Northern Border region during the reigns of King Seongjong and through the Early days of King Hyeonjong,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Ju'jin/州鎭 Units

역사문화연구 | 38 | 2011 | 역사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 성종-현종초 북방 개척과 州鎭 설치

Pioneering in the Northern Border region during the reigns of King Seongjong and through the Early days of King Hyeonjong,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Ju'jin/州鎭 Units

역사문화연구 | 38 | 2011 | 역사학

허준의 <잔등> 연구

A study on Heo Jun's 『The Faint Lamplight』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허준의 <잔등> 연구

A study on Heo Jun's 『The Faint Lamplight』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元末明初 朝鮮・明의 요동쟁탈전과 국경분쟁 고찰

Analysis of the Liaodong(遼東) Territory Problems during the Early Ming Dynasty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元・明交替期 한반도 북방경계인식의 변화와 성격 -明의 遼東衛所와 3衛(東寧・三萬・鐵嶺)를 중심으로-

A change of Korean peninsula northern boundary perception and its character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Yuan and Ming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시론 ‘長白山’과 ‘鴨綠水’의 위치 검토-고려이전을 중심으로-

Contemporary opinion, Review for location of Jangbaeksan Mountain(長白山) and Aproksu(鴨綠水) -Focused on before Goryeo dynasty-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