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만강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B160100 사회과학 > 지리학 > 지리학일반

클래스 : 바다/강/호수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663

STNet ID : 1000293

한자 : 豆滿江
기타 : Tumen River

x01-05 바다/강/호수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강(江) () [ 江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두만강 유역 [ 頭滿江流域 ]

RT (관련어)

 

 

월강 () [ 越江 ]

RT (관련어)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압록강 () [ 鴨綠江 ]

麗末鮮初 朝・明간 女眞 귀속 경쟁과 그 意義

The competition of Where Jurchen Has to Belong between Chosun and Ming Dynasty from the end of Koryo to the early of Chosun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근현대 농민소설에 나타난 농민의 표상과 민족 -조정래의 『아리랑』과 이기영의 『두만강』에 나타난 사회연결망을 중심으로-

A Research of The Image of Peasants and the nation in Modern Korean Peasants fictions -with a focus on the web of social connections at Tuman River and Arirang-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중간의 경계분쟁과 고지도

朝鮮と中国との間の境界紛争と古地図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역사적 서사 유형 연구 -1950년대 장편 농민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Historic Narrative Types - Focusing 1950's Nongmin(Peasant) novels -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두만강전설>의 전승과 의미

A Study on Transmission and Meanings of

한국언어문학 | 80 | 2012 | 한국어와문학

러시아 연해주 두만강 하구의 한인마을 크라스노예 셀로(鹿屯島)의 형성과 변화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the Korean Village, Krasnoe Selo at the Mouth of the Tuman River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Primorye)

한국근현대사연구 | 54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녹둔도(鹿屯島)의 역사와 영역 변화

The History of Nokdun Island(鹿屯島) and Transition of Area during the Chosun Dynasty

한국학 | 34 | 1 | 2011 | 기타인문학

The Mult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for Tumen River Area and China’s Leadership: From the TRADP of UNDP to Chinese Plan of “Chang-Ji-Tu” Development and Opening-up Pilot Area

두만강 지역의 다자간 경제 협력과 중국의 리더십: 유엔 개발 계획(UNDP)의 두만강 지역 개발 계획(TRADP)부터 중국의 “창지투” 개발 개방 선도구 계획까지

국제정치연구 | 13 | 2 | 2010 | 사회과학

The Mult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for Tumen River Area and China’s Leadership: From the TRADP of UNDP to Chinese Plan of “Chang-Ji-Tu” Development and Opening-up Pilot Area

두만강 지역의 다자간 경제 협력과 중국의 리더십: 유엔 개발 계획(UNDP)의 두만강 지역 개발 계획(TRADP)부터 중국의 “창지투” 개발 개방 선도구 계획까지

국제정치연구 | 13 | 2 | 2010 | 사회과학

元末明初 朝鮮・明의 요동쟁탈전과 국경분쟁 고찰

Analysis of the Liaodong(遼東) Territory Problems during the Early Ming Dynasty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