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만강 유역

연구분야 : B160100 사회과학 > 지리학 > 지리학일반

클래스 : 자연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9422

STNet ID : 1002186

한자 : 頭滿江流域
영어 : the basin of the Duman River

e04-03 자연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두만강 () [ 豆滿江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유역 () [ 流域 ]

신석기 후기 동북한문화권의 시간과 공간범위

Temporal and spatial range of the east-northern Korea cultural area in the late Neolithic Era

한국상고사학보 | 77 | 77 | 2012 | 역사학

朝鮮前期 豆滿江流域에 나타나는두 개의 ‘朝鮮’

Two of the ‘Joseon’ in the Tumen River basin in early Joseon

명청사연구 | 37 | 2012 | 역사학

조선전기 두만강유역 ‘女眞 藩籬・藩胡’의 형성과 성격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Jurchen Fence・boundary Jurchens’ in Tumen River basin

韓國史學報 | 41 | 2010 | 역사학

조선전기 두만강유역 ‘女眞 藩籬・藩胡’의 형성과 성격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Jurchen Fence・boundary Jurchens’ in Tumen River basin

韓國史學報 | | 41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