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화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197

STNet ID : 1001241

한자 : 寓話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우언 [ 寓言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알레고리 () [Allegory]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라 퐁텐 [La Fontaine, Jean de]

RT (관련어)

 

 

비유담 () [ 譬喩談 ]

스페인문학에 나타난 『칼릴라와 딤나』의 전승과 변이 - 설화 텍스트의 대중화과정을 중심으로-

Transmisión y popularización del Calila y Dimna en la literatura española

중동문제연구 | 9 | 1 | 2010 | 지역학

스페인문학에 나타난 『칼릴라와 딤나』의 전승과 변이 - 설화 텍스트의 대중화과정을 중심으로-

Transmisión y popularización del Calila y Dimna en la literatura española

중동문제연구 | 9 | 1 | 2010 | 지역학

데리다의 정치성: 늑대 우화를 중심으로

Derrida, She-wolf and the Question of the Political

비평과이론 | 16 | 2 | 2011 | 영어와문학

근대계몽기 한글 신문의 환상적 단형서사연구

A Study on the Fantastic Narratives of Early Modern Hangeul Paper

국학연구론총 | 9 | 2012 | 기타인문학

‘삶’을 지나 ‘우화(fable)’하다 - 카마 긴카스 연출 <삶은 아름다워, 체호프에 의하면!>의 우화성 연구 -

Making 'Fable' out of 'Life' - A Study on Kama Ginkas’ Directing of Chekhov’s Short Trilogy -

드라마 연구 | 35 | 2011 | 연극이론

근대계몽기 독본, 수신 교과서의 우화 텍스트의 변화 양상

The Process of Change Regarding the Allegory Texts During the Pre-Modern Period in Korea

우리말글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1900년대 사회비평서사와 근대적 글쓰기 -학회보를 중심으로-

The meaning of literary history and the influence on modern writings, based on the social critical description during the 1900s -Focus on the Journal of Academic Society-

겨레어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00년대 사회비평서사와 근대적 글쓰기 -학회보를 중심으로-

The meaning of literary history and the influence on modern writings, based on the social critical description during the 1900s -Focus on the Journal of Academic Society-

겨레어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龍馬 硏究

A Study on Yongma in Folklore

온지논총 | 30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