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언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615

STNet ID : 1000660

한자 : 寓言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우화 [ 寓話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골계우언 [ 滑稽寓言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동물우언 [ 動物寓言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권계우언 [ 勸戒寓言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풍자우언 [ 諷刺寓言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우언 문학 [ 寓言文學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풍자 () [ 諷刺 ]

『어우야담』의 서사방식과 초기 야담집으로서의 특성

Between Pilgi and Yadam: Narratives in Eou yadam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어우야담』의 서사방식과 초기 야담집으로서의 특성

Between Pilgi and Yadam: Narratives in Eou yadam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호질>의 원작자, 맥락으로 다시 읽기

The Writer of Ho Jil, Rereading in terms of External Contexts

고전문학과 교육 | 23 | 2012 | 인문학

『열하일기』의 우언 읽기

Research on the allegories of Yeolhailgi(熱河日記)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열하일기』의 우언 읽기

Research on the allegories of Yeolhailgi(熱河日記)

배달말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매월당 김시습의 寓言詩 고찰

A Study on the Fable Poetry of Maeweoldang Kim Si-seup

동양문화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한문과 교육에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 -寓言․說話․小說의 수준과 범위에 대한 試論-

The level and range of text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 the level and range of allegory, folk take, novel -

漢文敎育硏究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맹자(孟子)』·「제인유일처일첩(齊人有一妻一妾)」장의 성격에 관한 소고(小考)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pter “Mengzi - Qi ren you yi qi yi qie”

아시아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

蘇軾의 小品文 創作과 문학적 접근 -비판적 현실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access of Fimiliar essay in SuShi

중국학논총 | 30 | 2010 | 중국문화학

蘇軾의 小品文 創作과 문학적 접근 -비판적 현실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access of Fimiliar essay in SuShi

중국학논총 | | 30 | 2010 | 중국문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