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287

한자 : 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이름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순조 (1800-1834) [ 純祖 ]

하이데거와 선불교(禪佛敎) -형이상학 극복의 관점에서의 비교-

Heidegger und Zen-buddhismus- im Hinblick auf die Überwindung der Metaphysik -

철학∙사상∙문화 | 10 | 2010 | 기타인문학

하이데거와 선불교(禪佛敎) -형이상학 극복의 관점에서의 비교-

Heidegger und Zen-buddhismus- im Hinblick auf die Überwindung der Metaphysik -

철학∙사상∙문화 | | 10 | 2010 | 기타인문학

천태지의의 성구설(性具說)에 대한 소고

On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Xing Ju Yi-qie Fa of Tian-Tai Zhiyi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천태지의의 성구설(性具說)에 대한 소고

On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Xing Ju Yi-qie Fa of Tian-Tai Zhiyi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사적인 언어의 정치화와 공론장: 하버마스와 아렌트를 넘어

The Politicalization of Private Language and Public Sphere: Beyond Habermas J. and Arendt H.

사회와 철학 | 22 | 2011 | 철학일반

무한분할을 통해서 본 베르그송의 ‘지속’과 나가르주나의 ‘공’

Bergson’s ‘Duration’ and Nāgārjuna’s ‘Emptiness’ through the infinitesimal division

동아시아불교문화 | 8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존재와 무’를 달리 이해해 보기 -하이데거와 선불교의 비교론에 대한 하나의 생각-

Das Sein und Nichts bei Heidegger - besser verstehen und anders verstehen

철학논집 | 23 | 2010 | 철학

‘존재와 무’를 달리 이해해 보기 -하이데거와 선불교의 비교론에 대한 하나의 생각-

Das Sein und Nichts bei Heidegger - besser verstehen und anders verstehen

철학논집 | 23 | | 2010 | 철학

星湖 李瀷의 窮理涵養功夫와 退溪學

Seongho Yi Ik(星湖 李瀷)'s Theory of Self- Cultivation(功夫論) of 'Investigation of Principle(窮理)' with 'Mind-Cultivation(涵養)' and T’oegyehak(退溪學)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칸트의 『순수이성비판』과 나가르주나의 『中論』 비교 연구-칸트의 오류추리와 이율배반을 중심으로

Investigation on the comparision between Kant's Kritik der rein Vernunft and Nagarjuna's Madhyamaka-Sastra

철학연구 | 119 | 2011 | 철학

삶의 존재론인가 죽음의 변증법인가?-하이데거의 죽음이해에 대한 다나베 하지메의 비판-

Die Ontologie des Lebens oder die Dialektik des Todes? -Danabe Hajimes Kritik über das Verständnis des Todes bei M. Heidegger-

현대유럽철학연구 | 26 | 2011 | 서양철학

대승불교의 진리관-龍樹의 空과 二諦說에 대한 中觀學派와 唯識學派의 논쟁을 중심으로

Truth of Mahāyāna Thought-The Controversy Between The Madhyamaka and The Yogācāra on Sunya and The two truth theories of Nāgārjuna

철학연구 | 116 | 2010 | 철학

대승불교의 진리관-龍樹의 空과 二諦說에 대한 中觀學派와 唯識學派의 논쟁을 중심으로

Truth of Mahāyāna Thought-The Controversy Between The Madhyamaka and The Yogācāra on Sunya and The two truth theories of Nāgārjuna

철학연구 | 116 | | 2010 | 철학

남당(南唐) 후주(後主) 이욱(李煜)과 불교 관계 고찰

A study of the Southern Tang Dynastic Li Yu with Buddhist relation

아시아문화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남당(南唐) 후주(後主) 이욱(李煜)과 불교 관계 고찰

A study of the Southern Tang Dynastic Li Yu with Buddhist relation

아시아문화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정보사회에 대한 불교적 이해

Buddhist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society

동아시아불교문화 | 9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칸트와 붓다, 나가르주나(龍樹)의 논리와 세계관 연구

Investigation on the comparision between Kant’s and Buddha’s, Nagarjuna’s logic and view of the world

코기토 | 69 | 2011 | 기타인문학

천태지의의 불성론 -삼인불성(三因佛性)을 중심으로-

The Buddha-nature Theory of T’ian-T’ai Zhiyi

철학사상 | 35 | 2010 | 철학

천태지의의 불성론 -삼인불성(三因佛性)을 중심으로-

The Buddha-nature Theory of T’ian-T’ai Zhiyi

철학사상 | | 35 | 2010 | 철학

『상서』에 제시된 훌륭한 왕이 되는 길에 대한 두 가지 번안: 맹자와 순자를 중심으로

Two variations of the way to be a great king, presented in The Book of Documents-focusing on Mengzi and Xunzi

철학연구 | 88 | 2010 | 철학

『상서』에 제시된 훌륭한 왕이 되는 길에 대한 두 가지 번안: 맹자와 순자를 중심으로

Two variations of the way to be a great king, presented in The Book of Documents-focusing on Mengzi and Xunzi

철학연구 | | 88 | 2010 | 철학

반야사상에 대한 헤겔 철학적 접근 -空과 시원(Anfang)을 중심으로-

Hegel’s Philosophical Approach to Prajna -śūnya and Anfang-

한국불교학 | 56 | 2010 | 종교학

반야사상에 대한 헤겔 철학적 접근 -空과 시원(Anfang)을 중심으로-

Hegel’s Philosophical Approach to Prajna -śūnya and Anfang-

한국불교학 | | 56 | 2010 | 종교학

플라톤의 덕(a)reth/)론과 용수의 공의 윤리학

Plato's discourse on virtues and Nāgārjuna's ethics from perspective of emptiness

동아시아불교문화 | 8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이규보와 최승호의 시세계 비교 연구 - 불교생태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of Poetry Fields Between Lee, Guy-Bo and Choi, Seung-Ho - In the Buddhist View of Ecological Theory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이규보와 최승호의 시세계 비교 연구 - 불교생태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of Poetry Fields Between Lee, Guy-Bo and Choi, Seung-Ho - In the Buddhist View of Ecological Theory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초심 영어 지도법의 접근방법, 교수-학습설계, 수업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Beginner's Mind Approach to Teaching English: Approaxh, Design, and Procedure

현대영미어문학 | 28 | 3 | 2010 | 영어와문학

초심 영어 지도법의 접근방법, 교수-학습설계, 수업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Beginner's Mind Approach to Teaching English: Approaxh, Design, and Procedure

현대영미어문학 | 28 | 3 | 2010 | 영어와문학

백호관(白虎觀) 회의를 통한 이념의 제도화와 공(公)의 독점 - 염철(鹽鐵) 회의와 석거각(石渠閣) 회의와의 비교 -

Institutionalizing ideology in process of Conference in White Tiger Hall and Monopoly of Publicity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1 | 2 | 2012 | 동양정치사상

불교의 마음 이해 -緣起적 관점과 性起적 관점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Mind in Buddhism: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Dependent Arising' and 'Nature Arising'

철학연구 | 123 | 2012 | 철학

아니슈 카포(Anish Kapoor): 공과 색, 이름을 넘어서

Anish Kapoor: the emptiness and the objectness, beyond the name

현대미술학 논문집 | 14 | 2010 | 예술일반

아니슈 카포(Anish Kapoor): 공과 색, 이름을 넘어서

Anish Kapoor: the emptiness and the objectness, beyond the name

현대미술학 논문집 | 14 | | 2010 | 예술일반

발레리 시에 나타난 불교적 사유 - ‘공(空)’을 향한 ‘노젓기’

Une pensée bouddhique chez Valéry - ‘ramer’ vers la Vacuité

불어불문학연구 | 82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발레리 시에 나타난 불교적 사유 - ‘공(空)’을 향한 ‘노젓기’

Une pensée bouddhique chez Valéry - ‘ramer’ vers la Vacuité

불어불문학연구 | | 82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기독교의 자기 비움(Kenosis)과 대승불교 전통의 공(空, Sunyata)

Kenosis Theology in Christianity and Sunyata in Mahayana-Buddhism

철학∙사상∙문화 | 9 | 2010 | 기타인문학

기독교의 자기 비움(Kenosis)과 대승불교 전통의 공(空, Sunyata)

Kenosis Theology in Christianity and Sunyata in Mahayana-Buddhism

철학∙사상∙문화 | | 9 | 2010 | 기타인문학

公(publicness)와 私(privateness)의 대립 속에 묻혀버린 공(commonness)

Commonness Vanishing into the Conflict between Publicness and Privateness : Focusing on the Theory of Sovereignty and Constitutional Dialogues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평화학연구 | 12 | 3 | 2011 | 정치외교학

근대 독일 철학자의 대립적 불교 이해와 수용

Das gegensätzliche Verstehen und die Rezeption des Buddhismus unter den deutschen Denkern

헤겔연구 | 29 | 2011 | 철학

그림자 개념에 관하여

On Shadow Concepts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그림자 개념에 관하여

On Shadow Concepts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공(空) 개념의 현대적 해석의 문제점 고찰

A Critical Review on Modern Interpretationof the Concept of ‘śūnya’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공(空) 개념의 현대적 해석의 문제점 고찰

A Critical Review on Modern Interpretationof the Concept of ‘śūnya’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최승호의 시 세계와 불교적 상상

Poetry World of Seung Ho Choi and Buddhism Ecological World View

한국언어문화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승호의 시 세계와 불교적 상상

Poetry World of Seung Ho Choi and Buddhism Ecological World View

한국언어문화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무회전 축구공의 유체역학적 기초연구

Fundamental Aerodynamics of Non-spinning Soccer Ball

체육과학연구 | 21 | 3 | 2010 | 체육

무회전 축구공의 유체역학적 기초연구

Fundamental Aerodynamics of Non-spinning Soccer Ball

체육과학연구 | 21 | 3 | 2010 | 체육

중국적 공사 관념의 근현대적 전환에 관한 시론

關與中國公私觀念的近現代轉換之試論

동양철학연구 | 68 | 2011 | 철학

정의로운 평화와 “민에 의한 통일”- 심원 안병무 선생의 통일이론

Just Peace and "Reunification by the Minjung"- On the Theory of Reunification in Byung Mu Ahn

신학사상 | 155 | 2011 | 기독교신학

‘公共哲學’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試論 -중앙대학 이명한 교수의 비판적 견해에 대한 반론을 포함해서

A Critical Essay on Prof. Lee Myeong-Han's Misunderstanding of Public Philosophy

윤리교육연구 | 25 | 2011 | 윤리교육학

公(publicness)와 私(privateness)의 대립 속에 묻혀버린 공(commonness)

Commonness Vanishing into the Conflict between Publicness and Privateness : Focusing on the Theory of Sovereignty and Constitutional Dialogues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평화학연구 | 12 | 3 | 2011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