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조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08

한자 : 純祖
재위기간 : 1800-1834
호(號) : 순재(純齋)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이름

 

공 [ 玜 ]

UF (비우선어)

 

공보 [ 公寶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23

a01-04-02 국민 국민
a01-04-02 국민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R] 조선 국왕 () [ 朝鮮國王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순조실록 [ 純祖實錄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인릉 (순조) [ 仁陵 ]

RT (관련어)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효명세자 () [ 孝明世子 ]

RT (관련어)

부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순원왕후 () [ 純元王后 ]

R2:기능적

produces (대상 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만기요람 [ 萬機要覽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헌종 (1834-1849) [ 憲宗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조 (1776-1800) [ 正祖 ]

조선중기 文風의 변화와 科文

Writings for the state examination relating to the change of writing style during the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

대동문화연구 | 74 | 2011 | 기타인문학

이율곡의 십만양병설은 임진왜란용이 될 수 없다 -동북방의 여진 정세와 관련하여-

Lee Yul-gok's argument of nurturing 100,000 soldiers cannot be the one for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called 'Imjin Waeran' -On the Status of Yeo-jin in Northeastern Area-

한일관계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宣祖후반~광해군 초반 궁궐 경영과 ‘慶運宮’의 수립

Palace management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King Seonjo(宣祖)’s reign through the early days of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光海君),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Gyeong’un palace(慶運宮)

서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汾西 朴瀰의 書畵애호와 그 기록 -「丙子亂後集舊藏屛障記」를 중심으로-

Bunseo Park-Mi(朴瀰)’s love with calligraphy and paintings and its recordings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仁祖代 ‘塞門洞王氣’說 생성의 정치사적 의미 - 慶德宮의 역사적 연원에 대한 고찰 -

The Emergence of a rumor regarding an Energy worthy of a King emanating from Saemun-dong (塞門洞王氣) during King Injo/仁祖’s reign, and its political meaning -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Gyeongdeok-gung/慶德宮 palace -

서울학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정순왕후 김씨의 정치적 리더십에 대한 재조명

Rethinking the political leadership of Queen Jeongsoon Kim in the late Joseon dynasty

여성과 역사 | 15 | 2011 | 여성사(역사학)

東皐 李浚慶의 정치적 역할과 정치사상

DongGo Lee, Jun-Gyoung's political role and political thought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東皐 李浚慶의 정치적 역할과 정치사상

DongGo Lee, Jun-Gyoung's political role and political thought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조 ․ 광해군시대 文人士大夫의 佛僧과의 시적 교유 - 李廷龜와 李安訥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oetic friendship between literary noblemen(文人士大夫) and buddhist(佛僧) in the era of Seon Jo(宣祖) and Kwang Hae Gun(光海君)

禪文化硏究 | 11 | 2011 | 기타불교학

임진왜란 직전 조선의 국방 인식과 대응에 대한 재검토 - 동북방 여진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

Joseon’s Perception of National Defense Right Before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Imjin Waeran) and Review of Its Response - Mainly on Response to Yeojin’s Intrusion of Northeastern Area -

역사와 담론 | 57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 직전 조선의 국방 인식과 대응에 대한 재검토 - 동북방 여진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

Joseon’s Perception of National Defense Right Before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Imjin Waeran) and Review of Its Response - Mainly on Response to Yeojin’s Intrusion of Northeastern Area -

역사와 담론 | | 57 | 2010 | 역사학

국왕의 동선과 정치재량권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정조와 순조의 경우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s' Movement and Legal Discretionary Power- Focusing on the Cases of King Jeongjo and King Soonjo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1 | 2011 | 동양정치사상

朝鮮後期 佛敎政策과 性格硏究- 宣祖의 佛敎政策을 中心으로 ―

A Study on Buddhist Policy and its character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 Focussing on Buddhist Policy during the King of SunZo's reign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