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원왕후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906

STNet ID : 9001954

한자 : 純元王后
동의어(UF) : 순조비(純祖妃)

y01-01 실존인물

생몰년_t

1789-1857

성별2

여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왕후 [ 王后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수렴청정 () [ 垂簾聽政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인릉 (순조) [ 仁陵 ]

RT (관련어)

남매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유근 () [ 金逌根 ]

RT (관련어)

남매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좌근 () [ 金左根 ]

RT (관련어)

부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순조 (1800-1834) [ 純祖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헌종 (1834-1849) [ 憲宗 ]

R4:공간적

isSurroundedBy (경계(밖))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철종 (1849-1863) [ 哲宗 ]

한글산문 「當宁登極時筵說」의 성립과정 재론 -『經山日錄』 소재 철종등극 과정 기록과 「긔유긔」와의 대비를 통해서-

A Study on Reviewing the Establishing Process of Classical Korean Prose 「Dangju-Deungguk Si Yun-sul」 -By comparison between the process of Chul-jong's assession recorded in 『Kyung-san Il Lok』 and 「Guiyugisa」-

어문논집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글산문 「當宁登極時筵說」의 성립과정 재론 -『經山日錄』 소재 철종등극 과정 기록과 「긔유긔」와의 대비를 통해서-

A Study on Reviewing the Establishing Process of Classical Korean Prose 「Dangju-Deungguk Si Yun-sul」 -By comparison between the process of Chul-jong's assession recorded in 『Kyung-san Il Lok』 and 「Guiyugisa」-

어문논집 |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