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종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91

한자 : 哲宗
재위기간 : 1849-1863

y01-01 실존인물

시대

조선 후기 (朝鮮後期)

직업

왕(王) (王)

정치인 (政治人)

생몰년_t

1831-1863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본명

 

변 [ 昪 ]

UF (비우선어)

초명

 

원범 [ 元範 ]

UF (비우선어)

 

대용재 [ 大勇齋 ]

UF (비우선어)

 

도승 [ 道升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25

a01-04-02 국민 국민
a01-04-02 국민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R] 조선 국왕 () [ 朝鮮國王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철종실록 [ 哲宗實錄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예릉 [ 睿陵 ]

RT (관련어)

부/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철인왕후 [ 哲仁王后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고종 (1863-1907) [ 高宗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헌종 (1834-1849) [ 憲宗 ]

R4:공간적

surrounds (경계(안))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순원왕후 () [ 純元王后 ]

철종 2년(1851) 李明燮 모반 사건의 성격

A Study on the Nature of Lee Myeong-seop's Rebellion in the 2nd Year of King Cheoljong's Reign(1851)

韓國史學報 | 40 | 2010 | 역사학

철종 2년(1851) 李明燮 모반 사건의 성격

A Study on the Nature of Lee Myeong-seop's Rebellion in the 2nd Year of King Cheoljong's Reign(1851)

韓國史學報 | | 40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국왕의 南漢山城 행차

Kings’ Visit to Namhansanseong in the Second Half of the Choseo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60 | 2012 | 역사학

철종대 진찬례와 정재무도홀기 연구 - 『통명전진찬시의주창사회무도(通明殿進饌時儀註唱詞回舞圖)』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urt Banquet(jinchanrye) and Jeongjae Mudo Hol-gi in the Era of King Cheoljong - based on Tongmyeongjeon jinchanshi uiju changsa hoemudo -

국악원논문집 | 25 | 2012 | 한국음악이론/분석

憲宗 10년(1844) 懷平君 李元慶 謀反 사건과 그 의미 - 哲宗 즉위의 숨겨진 배경 -

Hoipyeonggun Lee Won-gyeong's Rebellion in the 10th Year of King Heonjong's Reign(1844) and Its Meanings - Hidden Background of the Enthronement of King Cheoljong -

역사와 담론 | 55 | 2010 | 역사학

憲宗 10년(1844) 懷平君 李元慶 謀反 사건과 그 의미 - 哲宗 즉위의 숨겨진 배경 -

Hoipyeonggun Lee Won-gyeong's Rebellion in the 10th Year of King Heonjong's Reign(1844) and Its Meanings - Hidden Background of the Enthronement of King Cheoljong -

역사와 담론 | | 55 | 2010 | 역사학

한글산문 「當宁登極時筵說」의 성립과정 재론 -『經山日錄』 소재 철종등극 과정 기록과 「긔유긔」와의 대비를 통해서-

A Study on Reviewing the Establishing Process of Classical Korean Prose 「Dangju-Deungguk Si Yun-sul」 -By comparison between the process of Chul-jong's assession recorded in 『Kyung-san Il Lok』 and 「Guiyugisa」-

어문논집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글산문 「當宁登極時筵說」의 성립과정 재론 -『經山日錄』 소재 철종등극 과정 기록과 「긔유긔」와의 대비를 통해서-

A Study on Reviewing the Establishing Process of Classical Korean Prose 「Dangju-Deungguk Si Yun-sul」 -By comparison between the process of Chul-jong's assession recorded in 『Kyung-san Il Lok』 and 「Guiyugisa」-

어문논집 |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