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역량강화를 위한 몇 가지 단상 - 주체, 공동체, 연대 그리고 우정의 윤리 -
A fragmentary thought for women’s empowerment - subject, community, solidarity and the virtue of friendship -
한국여성철학 |
14 |
2010 |
여성철학
여성의 역량강화를 위한 몇 가지 단상 - 주체, 공동체, 연대 그리고 우정의 윤리 -
A fragmentary thought for women’s empowerment - subject, community, solidarity and the virtue of friendship -
한국여성철학 |
14 |
|
2010 |
여성철학
18세기 후반기 정국동향과 호남 鄕儒 黃胤錫의 官職 任免
The Trends of the Political Situation and Hwang Yoon-seok's Career as Goverment offical in the 18th century
전북사학 |
39 |
2011 |
역사학
옥시덴탈리즘의 역동성과 離散의 문제 ― <압록강은 흐른다>의 경우 ―
The Dynamics of Occidentalism and Diaspora in Modern Korea; A case of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의 「김소월 시론」을 통해 본 현대시와 전통 -감각(感覺)과 정조(情調)론을 중심으로 -
Modern Poetry and Tradition Interpreted thru 「Poetics of So-wol Kim」 by Jung-joo Suh :Focused on sensibility and lyric rhyme theory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朝鮮後期 正祖代『大典通編』 兵典」편찬의 성격
A Nature of Publication of Daejeontongpyeon, Military Code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군사 |
76 |
2010 |
역사학
朝鮮後期 正祖代『大典通編』 兵典」편찬의 성격
A Nature of Publication of Daejeontongpyeon, Military Code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군사 |
|
76 |
2010 |
역사학
동아시아 문화의 타자성과 한문소설의 문화교육적 가치
The Altrui of the East Asian Culture and the Cultule-educational Value of Korean Chinese Novels
漢文敎育硏究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아시아 문화의 타자성과 한문소설의 문화교육적 가치
The Altrui of the East Asian Culture and the Cultule-educational Value of Korean Chinese Novels
漢文敎育硏究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正祖 年間의 文衡 硏究
A Study on the Munhyung[文衡] in Jeongjo[正祖] Period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正祖 年間의 文衡 硏究
A Study on the Munhyung[文衡] in Jeongjo[正祖] Period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經史講義」에 나타난 正祖의 맹자관 — 「孟子條問」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ing Jeongjo’s View of Mencius’s Philosophy Presented in Gyeongsagangeui(經史講義)
퇴계학논총 |
19 |
2012 |
기타인문학
뉴욕의 아일랜드인: The Mulligan Guard Ball에서의 아이리쉬 캐릭터, 정체성, 기억의 문제
Irish Men in New York: Irish Characters, Identity and Memory in The Mulligan Guard Ball
현대영미드라마 |
24 |
2 |
2011 |
현대영미희곡
朝鮮後期 正祖代『大典通編』 兵典」편찬의 성격
A Nature of Publication of Daejeontongpyeon, Military Code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군사 |
76 |
2010 |
역사학
朝鮮後期 正祖代『大典通編』 兵典」편찬의 성격
A Nature of Publication of Daejeontongpyeon, Military Code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군사 |
|
76 |
2010 |
역사학
‘淫獄’에 비친 正祖代의 性 인식:『審理錄』을 중심으로
The Discourses on Sexuality in the Period of King Jung-Jo in the Mirror of the Sex-Related Crime Cases: With Special Reference to Shimnirok
규장각 |
39 |
2011 |
기타인문학
영조의 제왕학과 『御製自省編』
King Yeongjo’s Study and Eoje-jaseongpyeon(御製自省編)
藏書閣 |
27 |
2012 |
역사학
≪병학지남≫ 이판본의 계통과 신자료 ≪병학지남육조언해≫(兵學指南陸操諺解) 연구
A Study on lineage of Byeonghak jinam and a new Korean material Byeonghak jinam Yukjo eonhae
國語學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잡지 『아리랑』과 명랑소설의 ‘명랑성’ :가족서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gazine 'Arirang' and the Brightness in the Humor Novels during the 1950"s
인문학연구 |
43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 영조대 무신란과 안동 지방의 ‘의병’
The Musin Revolt in 1728 and ‘Patriotic Soldiers’ in the Andong Area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n the Joseon Dynasty
韓國史學報 |
42 |
2011 |
역사학
김억의 번역론, 조선적 운율의 정초 가능성
Kim Eok's Theses on Translation: Pursuit of Authentic Korean Poetic Rhythm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론, 조선적 운율의 정초 가능성
Kim Eok's Theses on Translation: Pursuit of Authentic Korean Poetic Rhythm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소고려인의 구전가요(노랫말)의 존재양상
The Aspects of Korean Forlksong in CIS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소고려인의 구전가요(노랫말)의 존재양상
The Aspects of Korean Forlksong in CIS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영조대 무신란과 안동 지방의 ‘의병’
The Musin Revolt in 1728 and ‘Patriotic Soldiers’ in the Andong Area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n the Joseon Dynasty
韓國史學報 |
42 |
2011 |
역사학
정조의 문예정책에 나타나는 ‘복고주의(復古主義)’성격 연구- ‘악(樂)’에 대한 정책을 중심으로 - - ‘악(樂)’에 대한 정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 of Reactionism Showed in Policy of Literary Art of the 18th Century; With a Focus on the Policy of Ak Kyo(楽教)
인문과학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의 문예정책에 나타나는 ‘복고주의(復古主義)’성격 연구- ‘악(樂)’에 대한 정책을 중심으로 - - ‘악(樂)’에 대한 정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 of Reactionism Showed in Policy of Literary Art of the 18th Century; With a Focus on the Policy of Ak Kyo(楽教)
인문과학연구 |
|
2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국왕의 南漢山城 행차
Kings’ Visit to Namhansanseong in the Second Half of the Choseo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60 |
2012 |
역사학
미그리튀드, 혼종적 정체성의 미로 - 다니엘 비야울라의 사례를 중심으로
Migritude, labyrinthe de l'identité hybride - autour du cas de Daniel Biyaoula
불어불문학연구 |
91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한원국 희곡의 변모 양상과 연변 조선족 사회의 변화상 연구
A Study on an Aspect of Change of Han Wonguk's Works and Korean-Chinese Society in Yanbian
인문과학연구 |
25 |
2010 |
기타인문학
한원국 희곡의 변모 양상과 연변 조선족 사회의 변화상 연구
A Study on an Aspect of Change of Han Wonguk's Works and Korean-Chinese Society in Yanbian
인문과학연구 |
|
25 |
2010 |
기타인문학
18세기 官人·實學者의 政治批評과 蕩平策-耳溪 洪良浩를 중심으로-
Political Critiques Made by Government Officials and Sirhak Scholars during the 18^th Century and T΄angp΄yŏng Politics ‐With a Special Focus on Hong Yangho‐
역사와경계 |
78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국왕의 南漢山城 행차
Kings’ Visit to Namhansanseong in the Second Half of the Choseo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60 |
2012 |
역사학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朝鮮의 歲時風俗書와 ‘일상’의 記述
The Books of Seasonal Customs and Description of ‘Dailiness’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o the Earlier Half of the 19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역사교육 |
120 |
2011 |
역사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정순왕후 김씨의 정치적 리더십에 대한 재조명
Rethinking the political leadership of Queen Jeongsoon Kim in the late Joseon dynasty
여성과 역사 |
15 |
2011 |
여성사(역사학)
근대 연애 담론의 양식적 변용과 정치적 재생산 - 강명화(康明花) 소재 텍스트 양식을 중심으로 -
Political reproduction and genre transformation of love discussion in modern area - focused on text style of Kang Myeong-Hwa -
한국문예비평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朝鮮의 歲時風俗書와 ‘일상’의 記述
The Books of Seasonal Customs and Description of ‘Dailiness’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o the Earlier Half of the 19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역사교육 |
120 |
2011 |
역사학
정조의 문예정책에 나타나는 ‘복고주의(復古主義)’성격 연구- ‘악(樂)’에 대한 정책을 중심으로 - - ‘악(樂)’에 대한 정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 of Reactionism Showed in Policy of Literary Art of the 18th Century; With a Focus on the Policy of Ak Kyo(楽教)
인문과학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의 문예정책에 나타나는 ‘복고주의(復古主義)’성격 연구- ‘악(樂)’에 대한 정책을 중심으로 - - ‘악(樂)’에 대한 정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 of Reactionism Showed in Policy of Literary Art of the 18th Century; With a Focus on the Policy of Ak Kyo(楽教)
인문과학연구 |
|
26 |
2010 |
기타인문학
영조의 제왕학과 『御製自省編』
King Yeongjo’s Study and Eoje-jaseongpyeon(御製自省編)
藏書閣 |
27 |
2012 |
역사학
유태인의 만주 이산과 삶
猶太人的满洲移居和生活
중국근현대사연구 |
54 |
2012 |
중국현대사
조선 속의 명나라 ― 大報壇을 통해서 본 조선 지배층의 중화 인식 ―
The Altar of Great Gratitude: Korean Elites’ Adoration for Ming China under Manchu Dominance
명청사연구 |
35 |
2011 |
역사학
英ㆍ正祖代 豊山 洪鳳漢家門의 부흥과 분열
The reconstruction and division of Poongsan hong' family during the reigns of Kings yeongjo and jeongjo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英ㆍ正祖代 豊山 洪鳳漢家門의 부흥과 분열
The reconstruction and division of Poongsan hong' family during the reigns of Kings yeongjo and jeongjo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華山館 李命基의 生涯와 繪畵世界
The Life and Artistic Career of Yi Myeong-gi
미술사학연구 |
265 |
265 |
2010 |
미술
華山館 李命基의 生涯와 繪畵世界
The Life and Artistic Career of Yi Myeong-gi
미술사학연구 |
265 |
265 |
2010 |
미술
이방익 표류 사실에 대한 새로운 기록 -서강대 소장 한글 <표해록>과 관련 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new record about the drift of Lee Bang-ik -Pyohaerok of Seogang Univ. collection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華山館 李命基의 生涯와 繪畵世界
The Life and Artistic Career of Yi Myeong-gi
미술사학연구 |
265 |
265 |
2010 |
미술
華山館 李命基의 生涯와 繪畵世界
The Life and Artistic Career of Yi Myeong-gi
미술사학연구 |
265 |
265 |
2010 |
미술
중국의 18세기 -서유럽과 조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China in the 18th Century: with a Focus on the Comparison with Western Europe and Joseon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陳賀圖>의 정치적 성격과 의미
The Politics of Clebration ─ A Study of Congratulatory Ceremony Offered to the King(Jinhado, 陳賀圖, National Museum of Korea)─
동악미술사학 |
13 |
2012 |
기타예술체육
『奎章總目』과 18세기 후반 조선의 外來知識 集成
Acceptance and Its Attitude in Joseon Society toward Foreign Culture in the Late 18th Century - Centering on 『Kyujang chongmok(奎章總目)』 -
한국문화 |
57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문집에 보이는 중국 언어 문자 연구 조망 ― 李德懋의 《靑莊館全書》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지 |
38 |
2012 |
중국어와문학
조선 속의 명나라 ― 大報壇을 통해서 본 조선 지배층의 중화 인식 ―
The Altar of Great Gratitude: Korean Elites’ Adoration for Ming China under Manchu Dominance
명청사연구 |
35 |
2011 |
역사학
재일 한국인 정의신 희곡 연구
A Study on the Jeong Wi Sin's Drama, a Korean Resident in Japan
한국언어문학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일 한국인 정의신 희곡 연구
A Study on the Jeong Wi Sin's Drama, a Korean Resident in Japan
한국언어문학 |
|
7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방익 표류 사실에 대한 새로운 기록 -서강대 소장 한글 <표해록>과 관련 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new record about the drift of Lee Bang-ik -Pyohaerok of Seogang Univ. collection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奎章總目』과 18세기 후반 조선의 外來知識 集成
Acceptance and Its Attitude in Joseon Society toward Foreign Culture in the Late 18th Century - Centering on 『Kyujang chongmok(奎章總目)』 -
한국문화 |
57 |
2012 |
기타인문학
이방익 표류 사실에 대한 새로운 기록 -서강대 소장 한글 <표해록>과 관련 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new record about the drift of Lee Bang-ik -Pyohaerok of Seogang Univ. collection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내부망명자의 고독 - 안수길 후기소설에 나타난 ‘망명의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An Emigrant's Political Solitude: About the Sense of Emigration in Ahn Su-gil's late works
한국문학논총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Création d'art verbal et affect
언어예술 창조와 정조
불어불문학연구 |
89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閑中錄>에 나타난 實記文學的 성격 Ⅶ -정조의 생애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y Literature in Ⅶ -Focusing on the Life of Jungjo-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대 ≪侍講院志≫ 편찬과 그 의의
正祖时代侍讲院志的编纂意义
태동고전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대 ≪侍講院志≫ 편찬과 그 의의
正祖时代侍讲院志的编纂意义
태동고전연구 |
26 |
|
2010 |
기타인문학
번역과 조선시형의 창안 -김억을 중심으로-
Translation and creation of Choson poetic form
어문논집 |
63 |
2011 |
한국어와문학
역사 추리 콘텐츠, 활자를 거쳐 영상으로 꽃피우다
History, deduction contents come print in type to visual media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역사 추리 콘텐츠, 활자를 거쳐 영상으로 꽃피우다
History, deduction contents come print in type to visual media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南北國時代論과 渤海 Diaspora
The Theory of the Period of South & North Countries and Balhae Diaspora
고구려발해연구 |
40 |
2011 |
한국고대사
태양왕과 만천명월주인옹 -루이 14세와 정조
Louis the XIV the Sun King and King Jeongjo the Mancheonmyungwoljuinong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이정호 소설 연구
A Study on Lee, Jung-Ho’s Novel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조대 후반 탕평정국과 진산사건의 성격
Tangpyeong Political Situation and Political Meaning of Jinsan Affair in the Latter half of King Jeongjo’s Reign
민족문화 |
35 |
35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대 후반 탕평정국과 진산사건의 성격
Tangpyeong Political Situation and Political Meaning of Jinsan Affair in the Latter half of King Jeongjo’s Reign
민족문화 |
35 |
35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과 청나라 사신간의 시문교류
The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and Ching Envoys
중국학논총 |
35 |
2012 |
중국문화학
김유정 소설의 여성 인물과 ‘貞操’
Female Characters of Kim, Yujeong's Novels and 'Fidelit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과 청나라 사신간의 시문교류
The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and Ching Envoys
중국학논총 |
35 |
2012 |
중국문화학
정조대 ≪侍講院志≫ 편찬과 그 의의
正祖时代侍讲院志的编纂意义
태동고전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대 ≪侍講院志≫ 편찬과 그 의의
正祖时代侍讲院志的编纂意义
태동고전연구 |
26 |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대 ≪侍講院志≫ 편찬과 그 의의
正祖时代侍讲院志的编纂意义
태동고전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대 ≪侍講院志≫ 편찬과 그 의의
正祖时代侍讲院志的编纂意义
태동고전연구 |
26 |
|
2010 |
기타인문학
윤행임尹行恁(1762~1801)의 정치 활동과 학문 성향
Yoon Haeng-im(尹行恁)’s Political Activities and Academic Views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正祖의 王世孫 冊禮 연구
A Study on the Ceremony Investing the Eldest Grandson as Heir-apparent to the Throne for Jeongjo
규장각 |
37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의 王世孫 冊禮 연구
A Study on the Ceremony Investing the Eldest Grandson as Heir-apparent to the Throne for Jeongjo
규장각 |
|
37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後期 學界와 京畿學人
Academia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Scholars of Gyeonggi Province
동양문화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後期 學界와 京畿學人
Academia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Scholars of Gyeonggi Province
동양문화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구기자의 유혹(枸杞の實の誘惑)』에 나타난 붉은색 열매와 소녀의 성(性)
The red colored berries and the young lady’s sexuality emergedin “Kuko no mi no yuwaku”
일어일문학 |
47 |
2010 |
일본어와문학
『구기자의 유혹(枸杞の實の誘惑)』에 나타난 붉은색 열매와 소녀의 성(性)
The red colored berries and the young lady’s sexuality emergedin “Kuko no mi no yuwaku”
일어일문학 |
|
47 |
2010 |
일본어와문학
朝鮮後期 學界와 京畿學人
Academia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Scholars of Gyeonggi Province
동양문화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後期 學界와 京畿學人
Academia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Scholars of Gyeonggi Province
동양문화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규장각의 문서제도와 그 위상
Document System of Kyujanggak(奎章閣) and its Status
영남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이산의 문학적 체험과 다문화 인식 지평의 확장 -일제하 한국현대시 작품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Experience of Diaspora and the Horizon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산의 문학적 체험과 다문화 인식 지평의 확장 -일제하 한국현대시 작품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Experience of Diaspora and the Horizon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英祖 後半 政局과 通共策 論議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late King Yeongjo and the debate on TongGong policy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英祖 後半 政局과 通共策 論議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late King Yeongjo and the debate on TongGong policy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김유정과 아리랑
You-jeong Kim and Arirang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英祖 後半 政局과 通共策 論議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late King Yeongjo and the debate on TongGong policy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英祖 後半 政局과 通共策 論議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late King Yeongjo and the debate on TongGong policy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華寧殿의 건립과 제향
The built and memorial Ceremony(祭享) of Wha-leong-jun(華寧殿)
조선시대사학보 |
59 |
2011 |
역사학
클로드 맥케이와 흑인 이산 —"할렘의 그림자들"을 중심으로
Claude McKay and Black Diaspora in Harlem Shadows
영어영문학연구 |
52 |
3 |
2010 |
영어와문학
클로드 맥케이와 흑인 이산 —"할렘의 그림자들"을 중심으로
Claude McKay and Black Diaspora in Harlem Shadows
영어영문학연구 |
52 |
3 |
2010 |
영어와문학
윤행임尹行恁(1762~1801)의 정치 활동과 학문 성향
Yoon Haeng-im(尹行恁)’s Political Activities and Academic Views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정조 초 영조의 國葬 절차와 의미
The Procedures for the Late King Yeongjo's Funeral(國葬), and the Meaning of that National Funeral, in the Early years of King Jeongjo's reign
태동고전연구 |
27 |
2011 |
기타인문학
正祖의 王世孫 冊禮 연구
A Study on the Ceremony Investing the Eldest Grandson as Heir-apparent to the Throne for Jeongjo
규장각 |
37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의 王世孫 冊禮 연구
A Study on the Ceremony Investing the Eldest Grandson as Heir-apparent to the Throne for Jeongjo
규장각 |
|
37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화교의 ‘귀환’이주와 새로운 적응
‘Return’ Migration and New Adaptation of Korean ‘Overseas Chinese’
한국문화인류학 |
45 |
3 |
2012 |
역사학
朝鮮後期 學界와 京畿學人
Academia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Scholars of Gyeonggi Province
동양문화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後期 學界와 京畿學人
Academia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Scholars of Gyeonggi Province
동양문화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규장각의 문서제도와 그 위상
Document System of Kyujanggak(奎章閣) and its Status
영남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華寧殿의 건립과 제향
The built and memorial Ceremony(祭享) of Wha-leong-jun(華寧殿)
조선시대사학보 |
59 |
2011 |
역사학
침묵하는 타자에서 저항하는 주체로의 귀환 -해외 여성 입양인 문학의 한 지평-
The returned from the silent other to the resistant subject - a study on the overseas adoptee poet Shin Sun Yung and Maya Lee Langvad -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침묵하는 타자에서 저항하는 주체로의 귀환 -해외 여성 입양인 문학의 한 지평-
The returned from the silent other to the resistant subject - a study on the overseas adoptee poet Shin Sun Yung and Maya Lee Langvad -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조 초 영조의 國葬 절차와 의미
The Procedures for the Late King Yeongjo's Funeral(國葬), and the Meaning of that National Funeral, in the Early years of King Jeongjo's reign
태동고전연구 |
27 |
2011 |
기타인문학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陳賀圖>의 정치적 성격과 의미
The Politics of Clebration ─ A Study of Congratulatory Ceremony Offered to the King(Jinhado, 陳賀圖, National Museum of Korea)─
동악미술사학 |
13 |
2012 |
기타예술체육
正祖의 <大老祠碑>(1787년) 前面 篆書 연구
On the Seal Characters of King Chong-jo's Daerosabi (in 1787)
서예학연구 |
16 |
2010 |
서예
正祖의 <大老祠碑>(1787년) 前面 篆書 연구
On the Seal Characters of King Chong-jo's Daerosabi (in 1787)
서예학연구 |
|
16 |
2010 |
서예
윤행임尹行恁(1762~1801)의 정치 활동과 학문 성향
Yoon Haeng-im(尹行恁)’s Political Activities and Academic Views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經史講義」에 나타난 正祖의 맹자관 — 「孟子條問」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ing Jeongjo’s View of Mencius’s Philosophy Presented in Gyeongsagangeui(經史講義)
퇴계학논총 |
19 |
2012 |
기타인문학
정조대 의례 정비와 ..春官通考.. 편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ceremonies and the Compilation of Chungwantonggo in the Era of King Jeongjo
규장각 |
38 |
2011 |
기타인문학
정조의 문체 비판 재론
Rediscussion about King Cheongjo’s comments on literary style
한국문화 |
49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의 문체 비판 재론
Rediscussion about King Cheongjo’s comments on literary style
한국문화 |
|
49 |
2010 |
기타인문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의 道敎修鍊觀에 대한 一考
King Jeongjo’s View of the Discipline for Taoism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의 道敎修鍊觀에 대한 一考
King Jeongjo’s View of the Discipline for Taoism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의 문체 비판 재론
Rediscussion about King Cheongjo’s comments on literary style
한국문화 |
49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의 문체 비판 재론
Rediscussion about King Cheongjo’s comments on literary style
한국문화 |
|
49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正祖)에 있어서 왕의 위상과 의미 -「만천명월주인옹자서」에 나타난 리일분수의 개념변화를 중심으로-
The Transition to New Kingship -li yi fen shu as a Political Metaphor for Relation between King and Subjects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9 |
2 |
2010 |
동양정치사상
정조(正祖)에 있어서 왕의 위상과 의미 -「만천명월주인옹자서」에 나타난 리일분수의 개념변화를 중심으로-
The Transition to New Kingship -li yi fen shu as a Political Metaphor for Relation between King and Subjects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9 |
2 |
2010 |
동양정치사상
정조의 경세론과 孝悌윤리
The national governing theory of King Jeongjo(正祖) and Hyoje(孝悌) ethics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국왕의 동선과 정치재량권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정조와 순조의 경우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s' Movement and Legal Discretionary Power- Focusing on the Cases of King Jeongjo and King Soonjo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1 |
2011 |
동양정치사상
조선시대 정조대 장용영의 무예
A Study on Martial Arts of the Jang Yong Young During King Jeongjo's Rule in the Joseon Dynasty
대한무도학회지 |
13 |
1 |
2011 |
무도학
조선 후기 중국 활자 제작 방식의 도입과 활자의 구입
The Introduction of Chinese Methods of Producing Printing Types and the Import of Chinese Types in the Late Joseon Period
규장각 |
38 |
2011 |
기타인문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조(正祖)의 문체정책의 양면성: 학문적 성격과 정치적 성격
Two Aspects of the King Jeongjo's Policy on Writing Style: Academic and Political aspects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1 |
1 |
2012 |
동양정치사상
「經史講義」에 나타난 正祖의 맹자관 — 「孟子條問」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ing Jeongjo’s View of Mencius’s Philosophy Presented in Gyeongsagangeui(經史講義)
퇴계학논총 |
19 |
2012 |
기타인문학
正祖의 孝治思想 構造
A structure on the Filial piety Thought of King JeongJo
유교사상문화연구 |
43 |
2011 |
유교학
正祖 御諱의 改定: ‘이산’과 ‘이성’ -『奎章全韻』의 편찬과 관련하여 -
Amendment of King Jeongjo’s Name: ‘Isan’ and ‘Iseong’ - In connection with Compilation of Gyujangjeonun -
한국문화 |
52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 御諱의 改定: ‘이산’과 ‘이성’ -『奎章全韻』의 편찬과 관련하여 -
Amendment of King Jeongjo’s Name: ‘Isan’ and ‘Iseong’ - In connection with Compilation of Gyujangjeonun -
한국문화 |
|
52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의 古文 指向과 御定 《唐宋八子百選》
A Study on the King Jeong Jo's Viewpoint on Classical Prose and 《One Hundred Proses Written by Eight Great Writers (八子百選)》
중국문학 |
67 |
2011 |
중국어와문학
18세기 서울 편중 人事와 正祖의 地域 인재 선발 ―正祖代 人事 관련 傳敎文을 중심으로
The personnel weighted towards Seoul in the 18th century and Jungjo (正祖)’s several policies for selecting the local talents.
대동문화연구 |
76 |
2011 |
기타인문학
문체반정 독법 ― 정조의 정치-교육론 미시분석
Scene analysis on the restoration project of King Jeongjo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s and education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문체반정 독법 ― 정조의 정치-교육론 미시분석
Scene analysis on the restoration project of King Jeongjo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s and education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의 韓愈文 受容 樣相
중국문학 |
70 |
2012 |
중국어와문학
정조(正祖)의 문체정책의 양면성: 학문적 성격과 정치적 성격
Two Aspects of the King Jeongjo's Policy on Writing Style: Academic and Political aspects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1 |
1 |
2012 |
동양정치사상
조선 후기 중국 활자 제작 방식의 도입과 활자의 구입
The Introduction of Chinese Methods of Producing Printing Types and the Import of Chinese Types in the Late Joseon Period
규장각 |
38 |
2011 |
기타인문학
정조대 의례 정비와 ..春官通考.. 편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ceremonies and the Compilation of Chungwantonggo in the Era of King Jeongjo
규장각 |
38 |
2011 |
기타인문학
정조正祖·정약용丁若鏞·서유구徐有榘의 십삼경十三經 이해
King Jeongjo’s and Jeong Yagyong’s and Seo Yugu’s Understanding of the Thirteen Confucian Classics
다산학 |
16 |
2010 |
인문학
정조正祖·정약용丁若鏞·서유구徐有榘의 십삼경十三經 이해
King Jeongjo’s and Jeong Yagyong’s and Seo Yugu’s Understanding of the Thirteen Confucian Classics
다산학 |
|
16 |
2010 |
인문학
正祖의 왕실재정 개혁과 ‘宮府一體’論
King Jeongjo's Reformation of Royal Finance and the Gungbuilcheron
대동문화연구 |
76 |
2011 |
기타인문학
「經史講義」에 나타난 正祖의 맹자관 — 「孟子條問」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ing Jeongjo’s View of Mencius’s Philosophy Presented in Gyeongsagangeui(經史講義)
퇴계학논총 |
19 |
2012 |
기타인문학
국왕의 동선과 정치재량권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정조와 순조의 경우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s' Movement and Legal Discretionary Power- Focusing on the Cases of King Jeongjo and King Soonjo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1 |
2011 |
동양정치사상
18세기 서울 편중 人事와 正祖의 地域 인재 선발 ―正祖代 人事 관련 傳敎文을 중심으로
The personnel weighted towards Seoul in the 18th century and Jungjo (正祖)’s several policies for selecting the local talents.
대동문화연구 |
76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정조대 장용영의 무예
A Study on Martial Arts of the Jang Yong Young During King Jeongjo's Rule in the Joseon Dynasty
대한무도학회지 |
13 |
1 |
2011 |
무도학
正祖의 <四部手圈> 小考
A Study on the of King Jeongjo (正祖)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正祖의 <四部手圈> 小考
A Study on the of King Jeongjo (正祖)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조(正祖)의 문체정책의 양면성: 학문적 성격과 정치적 성격
Two Aspects of the King Jeongjo's Policy on Writing Style: Academic and Political aspects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1 |
1 |
2012 |
동양정치사상
正祖의 왕실재정 개혁과 ‘宮府一體’論
King Jeongjo's Reformation of Royal Finance and the Gungbuilcheron
대동문화연구 |
76 |
2011 |
기타인문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正祖의 孝治思想 構造
A structure on the Filial piety Thought of King JeongJo
유교사상문화연구 |
43 |
2011 |
유교학
正祖의 文武兼全論과 兵書 간행 -認識과 意味를 中心으로-
Munmugyeomjeonron(文武兼全論) and Publishment of Military Tactical Manual by King Jeongjo
역사민속학 |
39 |
2012 |
역사학
정조의 인물인식 - 『해동신감』을 중심으로 -
King Jeongjo's a Perceptions of figures revealed in 『Haedongshingam』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정조의 경세론과 孝悌윤리
The national governing theory of King Jeongjo(正祖) and Hyoje(孝悌) ethics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正祖의 生生字・整理字 제작과 中國活字 購入
The Production of Saengsaengja and Jeongnija Types under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the Import of Chinese Wooden Types
한국사연구 |
151 |
2010 |
역사학
정조의 인물인식 - 『해동신감』을 중심으로 -
King Jeongjo's a Perceptions of figures revealed in 『Haedongshingam』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정조의 경세론과 孝悌윤리
The national governing theory of King Jeongjo(正祖) and Hyoje(孝悌) ethics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正祖의 학문관과 공부 방법론
Jôngjo(正祖)'s View about Scholarshipand His Doctrine of Study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正祖의 학문관과 공부 방법론
Jôngjo(正祖)'s View about Scholarshipand His Doctrine of Study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正祖의 孝治思想 構造
A structure on the Filial piety Thought of King JeongJo
유교사상문화연구 |
43 |
2011 |
유교학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Diaspora
한국계 이산문학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Diaspora
한국계 이산문학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정조正祖·정약용丁若鏞·서유구徐有榘의 십삼경十三經 이해
King Jeongjo’s and Jeong Yagyong’s and Seo Yugu’s Understanding of the Thirteen Confucian Classics
다산학 |
16 |
2010 |
인문학
정조正祖·정약용丁若鏞·서유구徐有榘의 십삼경十三經 이해
King Jeongjo’s and Jeong Yagyong’s and Seo Yugu’s Understanding of the Thirteen Confucian Classics
다산학 |
|
16 |
2010 |
인문학
正祖의 『孟子』論(Ⅰ) - 『鄒書春記』를 중심으로 -
King Jeongjo(正祖)'s Comprehension of the Book of Mencius(『孟子』)- Focusing on Discussions on the Book of Mencius in Spring(『鄒書春記』)-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正祖의 ‘湖洛論爭’ 주제에 관한 평가와 입장 분석: <近思錄講義>와 <四書講義> 및 <日得錄> 등을 중심으로
An Analysis into the philosophical stand of Jôngjo(正祖) about the Debate of Horak(湖洛) - focusing on the three texts of Guensalokgangui, Sasôgangui and Ildeuklok-
한국실학연구 |
19 |
2010 |
역사학
正祖의 ‘湖洛論爭’ 주제에 관한 평가와 입장 분석: <近思錄講義>와 <四書講義> 및 <日得錄> 등을 중심으로
An Analysis into the philosophical stand of Jôngjo(正祖) about the Debate of Horak(湖洛) - focusing on the three texts of Guensalokgangui, Sasôgangui and Ildeuklok-
한국실학연구 |
|
19 |
2010 |
역사학
정조의 사대부 인식과 정치철학적 입장 연구
Study on viewpoints of Jôngjo(正祖) about Sadaebuthe and his political philosophy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정조의 사대부 인식과 정치철학적 입장 연구
Study on viewpoints of Jôngjo(正祖) about Sadaebuthe and his political philosophy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정조의 사대부 인식과 정치철학적 입장 연구
Study on viewpoints of Jôngjo(正祖) about Sadaebuthe and his political philosophy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정조의 사대부 인식과 정치철학적 입장 연구
Study on viewpoints of Jôngjo(正祖) about Sadaebuthe and his political philosophy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正祖의 文武兼全論과 兵書 간행 -認識과 意味를 中心으로-
Munmugyeomjeonron(文武兼全論) and Publishment of Military Tactical Manual by King Jeongjo
역사민속학 |
39 |
2012 |
역사학
正祖의 『孟子』論(Ⅰ) - 『鄒書春記』를 중심으로 -
King Jeongjo(正祖)'s Comprehension of the Book of Mencius(『孟子』)- Focusing on Discussions on the Book of Mencius in Spring(『鄒書春記』)-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正祖의 훈련대장 具善復제거와 壯勇大將임명
Elimination of Ku sunbock, the Military Camp General and Appointment of Jangyong Camp General By King Jeongjo
역사와 실학 |
44 |
2011 |
기타역사일반
문체반정 독법 ― 정조의 정치-교육론 미시분석
Scene analysis on the restoration project of King Jeongjo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s and education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문체반정 독법 ― 정조의 정치-교육론 미시분석
Scene analysis on the restoration project of King Jeongjo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s and education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의 壯勇營 운영과 정치적 구상
King Jeongjo(正祖)’s Operation of Jangyongyoung(壯勇營) and Political Construction
조선시대사학보 |
53 |
2010 |
역사학
正祖의 壯勇營 운영과 정치적 구상
King Jeongjo(正祖)’s Operation of Jangyongyoung(壯勇營) and Political Construction
조선시대사학보 |
|
53 |
2010 |
역사학
正祖 御諱의 改定: ‘이산’과 ‘이성’ -『奎章全韻』의 편찬과 관련하여 -
Amendment of King Jeongjo’s Name: ‘Isan’ and ‘Iseong’ - In connection with Compilation of Gyujangjeonun -
한국문화 |
52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 御諱의 改定: ‘이산’과 ‘이성’ -『奎章全韻』의 편찬과 관련하여 -
Amendment of King Jeongjo’s Name: ‘Isan’ and ‘Iseong’ - In connection with Compilation of Gyujangjeonun -
한국문화 |
|
52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의 『孟子』論(Ⅰ) - 『鄒書春記』를 중심으로 -
King Jeongjo(正祖)'s Comprehension of the Book of Mencius(『孟子』)- Focusing on Discussions on the Book of Mencius in Spring(『鄒書春記』)-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正祖의 生生字・整理字 제작과 中國活字 購入
The Production of Saengsaengja and Jeongnija Types under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the Import of Chinese Wooden Types
한국사연구 |
151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