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장각

연구분야 : B120103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학일반 > 교육사학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149

한자 : 奎章閣
음차어 : Kyujanggak

y06-01 조직/단체명

시대4

조선 후기 (朝鮮後期)

설립일자_t

1776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내각 (규장각) [ 內閣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조 (1776-1800) [ 正祖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직학사 [ 直學士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덕무 (1741-1793) [ 李德懋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규장각 제학 [ 奎章閣提學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규장각 소장본 [ 奎章閣所藏本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규장각 부제학 [ 奎章閣副提學 ]

R2:기능적

manages (관리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산경표 () [ 山經表 ]

manages (관리 대상)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상변통고 [ 常變通攷 ]

manages (관리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만옹집 [ 晩翁集 ]

manages (관리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호곡집 [ 壺谷集 ]

manages (관리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황화집 () [ 皇華集 ]

manages (관리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국조속오례의 [ 國朝續五禮儀 ]

조선 후기 路文에 관한 연구 -『路文式例』와 문서 양식을 중심으로 -

朝鮮後期の路文に関する研究 -『路文式例』と文書様式を中心に –

古文書硏究 | 40 | 2012 | 역사학

조선후기 어진 관계 의례 연구 :의례를 통해 본 어진의 기능

Rites for Royal Potratis in the late Joseon Dynasty

미술사와 시각문화 | 10 | 2011 | 미술

뮈텔 주교의 한국천주교회사 자료 발굴과 이해

Bishp Mutel's Documentation of Historical Data - about Catholic Church in Korea -

韓國史學史學報 | 23 | 2011 | 역사학

正祖 年間의 文衡 硏究

A Study on the Munhyung[文衡] in Jeongjo[正祖] Period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正祖 年間의 文衡 硏究

A Study on the Munhyung[文衡] in Jeongjo[正祖] Period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어진 관계 의례 연구 :의례를 통해 본 어진의 기능

Rites for Royal Potratis in the late Joseon Dynasty

미술사와 시각문화 | 10 | 2011 | 미술

조선 후기 路文에 관한 연구 -『路文式例』와 문서 양식을 중심으로 -

朝鮮後期の路文に関する研究 -『路文式例』と文書様式を中心に –

古文書硏究 | 40 | 2012 | 역사학

淸代 文言小說『螢窗異草』의 판본과 국내유입

The Study of Yingchuangyicao - Focus on the Writer and Printed book

비교문화연구 | 23 | 2011 | 문학

正祖 年間의 文衡 硏究

A Study on the Munhyung[文衡] in Jeongjo[正祖] Period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正祖 年間의 文衡 硏究

A Study on the Munhyung[文衡] in Jeongjo[正祖] Period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조의 사대부 인식과 정치철학적 입장 연구

Study on viewpoints of Jôngjo(正祖) about Sadaebuthe and his political philosophy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정조의 사대부 인식과 정치철학적 입장 연구

Study on viewpoints of Jôngjo(正祖) about Sadaebuthe and his political philosophy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正祖의 학문관과 공부 방법론

Jôngjo(正祖)'s View about Scholarshipand His Doctrine of Study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正祖의 학문관과 공부 방법론

Jôngjo(正祖)'s View about Scholarshipand His Doctrine of Study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경사강의』를 통해 본 정조시대 학문적 논쟁의 양상 ― 사서에 관한 정조와 학인들의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the Scholarly Debates of Jôngjo's Era ―focusing on the dialogues between Jôngjo and his scholars about Sasô(四書) in Gyôngsagangui(經史講義)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奎章閣再生本 <坤輿萬國全圖>(2010)의 原本은 옛 奉先寺藏本이다

규장각 | 38 | 2011 | 기타인문학

『奎章總目』과 18세기 후반 조선의 外來知識 集成

Acceptance and Its Attitude in Joseon Society toward Foreign Culture in the Late 18th Century - Centering on 『Kyujang chongmok(奎章總目)』 -

한국문화 | 57 | 2012 | 기타인문학

『奎章總目』과 18세기 후반 조선의 外來知識 集成

Acceptance and Its Attitude in Joseon Society toward Foreign Culture in the Late 18th Century - Centering on 『Kyujang chongmok(奎章總目)』 -

한국문화 | 57 | 2012 | 기타인문학

규장각 소장 의궤(儀軌)의 현황과 특징

The present condition and distinct features of Euigwe (儀軌) housed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규장각 | 37 | 2010 | 기타인문학

규장각 소장 의궤(儀軌)의 현황과 특징

The present condition and distinct features of Euigwe (儀軌) housed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규장각 | | 37 | 2010 | 기타인문학

규장각 소장 조선왕실의 악기제작 의궤 고찰

The Consideration of the Royal Protocols uigwe of the Joseon Dynasty Concerning the Manufacturing of Musical Instruments, Owned at Kyujanggak

국악원논문집 | 23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규장각의 문서제도와 그 위상

Document System of Kyujanggak(奎章閣) and its Status

영남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규장각의 문서제도와 그 위상

Document System of Kyujanggak(奎章閣) and its Status

영남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산서(算書) 연구 : 규장각 소장 산서 연구의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mathematics books of Joseon Dynasty

수학교육 논문집 | 25 | 1 | 2011 | 수학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