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화집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0963

한자 : 皇華集

y02-01 문헌명

시대1

조선 후기 (朝鮮後期)

장르/유형

시(詩) (詩)

저작년_t

1773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편저자/편저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류성룡 (1542-1607) [ 柳成龍 ]

R2:기능적

isManagedBy (관리 주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규장각 () [ 奎章閣 ]

明나라 使臣들의 조선 使行과 조선 문인들과의 교류 -龔用卿, 朱之蕃을 중심으로-

Chinese Ming Dynasty’s Envoys to Korea and its communication with Korean Intellectuals - Focusing on Gong Yongqing and Zhu Zhifan -

동방한문학 | 52 | 2012 | 한국어와문학

『皇華集』을 통해 본 企齋 申光漢의 작가 의식 - 明使 張承憲과의 酬唱 樣相을 中心으로

The Writer’s Consciousness of Gijae Shin Gwang Han Expressed in 『Hwanghwajip(皇華集)』- Focusing on the Aspect in Exchanging Poems with Ming Envoy Jang Seung Heon

漢文古典硏究 | 23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고전서』에 실린 서경덕 시의 격률에 관하여

A Study on the Rhyme and Rhythm of Seo, Kyung-deok's Poems included in The Four Treasuries(四庫全書)

동양한문학연구 | 34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皇華集』소재 한시의 특징과 양상-명 사신과 조선 접반사의 수창-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Poetry in Hwanghwajip(皇華集) -Poetry interchange between Chosŏn's government officials and Ming's envoys-

동방한문학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皇華集』소재 한시의 특징과 양상-명 사신과 조선 접반사의 수창-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Poetry in Hwanghwajip(皇華集) -Poetry interchange between Chosŏn's government officials and Ming's envoys-

동방한문학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