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승

연구분야 : A030204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유가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33

STNet ID : 9002369

한자 : 奇大升
시호(諡號) : 문헌(文憲)
호(號) : 존재(存齋)
호(號) : 고봉(高峯)
기타 : Gobong
시호(諡號) : 문헌(文憲)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명언 [ 明彦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퇴고 [ 退高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문헌공 [ 文憲公 ]

R1:개념적

RT_Y (◄관련어)

배향(配享)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월봉서원 [ 月峯書院 ]

주자의 ‘횡설’과 ‘수설’: 프레임으로 보는 주자의 성향과 감정 이론

Semiological Analysis of Zhu Xi's Moral Psychology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수선사 16국사의 위상과 추념 : 송광사의 승보종찰 설정과 관련하여 試攷함

Status and Memory of Sixteen National Monks of the Sooseon Temple: Designation the Songgwang Temple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보조사상 | 34 | 2010 | 종교학

수선사 16국사의 위상과 추념 : 송광사의 승보종찰 설정과 관련하여 試攷함

Status and Memory of Sixteen National Monks of the Sooseon Temple: Designation the Songgwang Temple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보조사상 | 34 | | 2010 | 종교학

현암 이을호의 호남유학연구와 그 관점

玄庵李乙浩的湖南儒學硏究及其觀點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현암 이을호의 호남유학연구와 그 관점

玄庵李乙浩的湖南儒學硏究及其觀點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여말선초 영남사림의 ‘도통’과 ‘학통’

The Scholastic Lineage of Dotong and Haktong of Yeongnam 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光州 地域의 漢文學 活動에 관한 硏究 - 光山 地域을 中心으로

The research on the literature activity written by Korean-chinese letter in gwang- ju (Focus on the gwang-san area)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퇴계 호발설의 ‘七情氣發’에 대한 고봉의 비판과 수용

Kobong Ki Dae-sung’s Critics on Toegye's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퇴계 호발설의 ‘七情氣發’에 대한 고봉의 비판과 수용

Kobong Ki Dae-sung’s Critics on Toegye's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退溪의 「陶山雜詠」의 理學的 含意와 그 전승

The implication of Toegye(退溪)'s Dosanjobyoung(陶山雜詠) in the perspective of the studyof Li(理學) and its succession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陶山雜詠」의 理學的 含意와 그 전승

The implication of Toegye(退溪)'s Dosanjobyoung(陶山雜詠) in the perspective of the studyof Li(理學) and its succession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황과 기대승의 사칠논변에 대한 분석적 검토 - ‘소취이언(所就以言)’과 ‘소종래(所從來)’의 함의를 중심으로 -

유교사상문화연구 | 44 | 2011 | 유교학

성리학의 기호 배치방식과 조선유학의 분기

Semiotic Frames and Divergence of Joseon Neo-Confucianism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우계의 ‘횡설’과 율곡의 ‘수설’: 율곡의 퇴계 비판을 겸해서 논함

Different Semiotic Frames of Toegye and Yulgok

유교사상문화연구 | 48 | 2012 | 유교학

퇴계의 ‘횡설’과 고봉의 ‘수설' - 프레임의 차이로 보는 조선유학의 분기(分岐)

Semiotic Frames and Divergence of Toegye and Kobong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논쟁 전․후기 退溪 四七論의 변이 양상과 退溪學派 四七論의 전개

A aspect of change of Toegye’s thought of Four Clues and Seven Emotion of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part of Debate and development in it of Toegye School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退溪 四七論에서 四端의 純善함에 대하여

A Study on Pure good of Four Beginning in Toegye’s Four Seven Debate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고봉 기대승의 학문관

Backgrounds of Formation of Academic Philosophy of Gobong, Gi Deaseong and its Essential Points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고봉 기대승의 학문관

Backgrounds of Formation of Academic Philosophy of Gobong, Gi Deaseong and its Essential Points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퇴계 四七說의 일상 언어적 이해와 INUS 조건

退溪四七说之日常语言的理解和INUS条件

철학연구 | 45 | 2012 | 철학

高峯의 性理學과 修養論

Kobong(高峯)'s Philophy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修養)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고봉 기대승의 낙향과 삶으로서의 철학 -비애의 정조를 넘어서-

Gobong GiDaeSeung’s Rustication and his Philosophy as life – Overcoming the Sentiment of Sorrow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고봉 기대승: 과거공부와 이학공부의 길항과 그 극복

A Study on Ki Dae-Seung: Focused on the Transcendence of Conflict between Gwageo-gongfu and Yihak-gongfu

한국교육사학 | 33 | 2 | 2011 | 교육학

고봉 기대승의 학문관

Backgrounds of Formation of Academic Philosophy of Gobong, Gi Deaseong and its Essential Points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고봉 기대승의 학문관

Backgrounds of Formation of Academic Philosophy of Gobong, Gi Deaseong and its Essential Points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고봉 기대승의 태극⋅이기론

A study on the theory of Taeguk and Ligi in Ki Dae-seung's thoughts

유학연구 | 23 | 2010 | 철학

고봉 기대승의 태극⋅이기론

A study on the theory of Taeguk and Ligi in Ki Dae-seung's thoughts

유학연구 | 23 |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