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간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4

STNet ID : 1000021

한자 : 諺簡
영어 :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기타 : Eongan
기타 : 언문간찰(諺文簡札)
기타 : 언문편지(諺文片紙)
기타 : 언서(諺書)
기타 : old typed Hangul letters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S:동의

UF (비우선어)

 

 

내간 () [內簡]

UF (비우선어)

 

 

한글 간찰 [ --簡札 ]

UF (비우선어)

 

 

언찰 [ 諺札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서간 문학 [ 書簡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편지 () [ 便紙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조선 후기 한글 간찰 () [ 朝鮮後期--簡札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훈민정음 () [ 訓民正音 ]

RT (관련어)

 

 

부녀자 [ 婦女子 ]

R5:물리적

hasForm (형태/외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한글 () [Hangeul]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과 특성

On the Characteristics of Eon'gan(諺簡, vernacular letters) as Linguistic Materials

국어사연구 | 10 | 2010 | 국어사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과 특성

On the Characteristics of Eon'gan(諺簡, vernacular letters) as Linguistic Materials

국어사연구 | | 10 | 2010 | 국어사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고문서의 연구 방법

A research methodology of Korean old letters and old documents through investigation of linguistic life history

국어사연구 | 10 | 2010 | 국어사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고문서의 연구 방법

A research methodology of Korean old letters and old documents through investigation of linguistic life history

국어사연구 | | 10 | 2010 | 국어사

창원 황씨 한글 간찰의 종결어미 형태

A Study of final ending in the Changwon Hwangs' Eongan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고문서의 연구 방법

A research methodology of Korean old letters and old documents through investigation of linguistic life history

국어사연구 | 10 | 2010 | 국어사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고문서의 연구 방법

A research methodology of Korean old letters and old documents through investigation of linguistic life history

국어사연구 | | 10 | 2010 | 국어사

朝鮮通事가 남긴 對馬島의 한글편지에 대하여

A Study on Hangeul letters of Tsushima written by Joseon Interpreters

어문논집 | 65 | 2012 | 한국어와문학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고문서의 연구 방법

A research methodology of Korean old letters and old documents through investigation of linguistic life history

국어사연구 | 10 | 2010 | 국어사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고문서의 연구 방법

A research methodology of Korean old letters and old documents through investigation of linguistic life history

국어사연구 | | 10 | 2010 | 국어사

근대국어 ‘하압’ 체의 형성 과정과 대우 성격

On the Formation and Honorific Characteristic of the ‘hʌʌp(하압)’ Style in Modern Korean Language

國語學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국어 ‘하압’ 체의 형성 과정과 대우 성격

On the Formation and Honorific Characteristic of the ‘hʌʌp(하압)’ Style in Modern Korean Language

國語學 |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글 簡札의 安否人事에 대한 通時的 考察

A Diachronic Study on Safety Expression of Hangul Ganchal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하야[爲]’의 통시적 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Diachronic Change of ‘하야(haya)’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언간 자료와 사전의 표제어

Vernacular Script Data and Headword of Dictionary

언어학 연구 | 18 | 2010 | 기타언어학

언간 자료와 사전의 표제어

Vernacular Script Data and Headword of Dictionary

언어학 연구 | | 18 | 2010 | 기타언어학

나주임씨 언간의 구개음화 교정 현상 연구

A Study on the Corrections of t-palatalization in the Hangeul Letter of Naju Lim Family

한글 | 289 | 2010 | 한국어와문학

나주임씨 언간의 구개음화 교정 현상 연구

A Study on the Corrections of t-palatalization in the Hangeul Letter of Naju Lim Family

한글 | | 28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세언적』과 『자손보전』에 실린 17-19세기 여성 한글 간찰의 특질 고찰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17-19th Century Women’s Korean Letters

한국학 | 34 | 4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