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관

연구분야 : A020103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정치사(역사학)

클래스 : 인간(지위/벼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775

한자 : 言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S:동의

UF (비우선어)

 

 

간관 [ 諫官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대간 [ 臺諫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사간원 [ 司諫院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사헌부 [ 司憲府 ]

R1:개념적

RT (관련어)

 

 

삼간 불청 즉거 [ 三諫不聽則去 ]

조선후기 孝宗代 政治論과 정국 동향 -是非明辨論을 중심으로-

The King Hyojong Era’s political theories and shifts in politic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 Based on a distinction theory between right and wrong

韓國史學報 | 41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孝宗代 政治論과 정국 동향 -是非明辨論을 중심으로-

The King Hyojong Era’s political theories and shifts in politic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 Based on a distinction theory between right and wrong

韓國史學報 | | 41 | 2010 | 역사학

만력초기 개혁의 배경과 평가 ― 張居正을 중심으로 ―

萬曆初期改革的背景與評價 ― 以張居正爲中心 ―

명청사연구 | 36 | 2011 | 역사학

成化年間(1465-1487)의 經筵과 정국운영 ― 내각제의 쇠퇴와 科道官體系의 성립과 관련하여 ―

成化年間(1465-1487)的經筵和政局運作 ― 有與內閣制度的衰落和科道官體系的成立做爲連繫 ―

명청사연구 | 34 | 2010 | 역사학

成化年間(1465-1487)의 經筵과 정국운영 ― 내각제의 쇠퇴와 科道官體系의 성립과 관련하여 ―

成化年間(1465-1487)的經筵和政局運作 ― 有與內閣制度的衰落和科道官體系的成立做爲連繫 ―

명청사연구 | | 34 | 2010 | 역사학

弘治年間(1488-1505)의 經筵과 政局運營 - 내각제 복원과 공론정치와 관련하여-

弘治年間(1488-1505)的經筵和政局運作

중국사연구 | 73 | 2011 | 동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