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림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A11021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문학비평(국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477

STNet ID : 1000204

한자 : 金起林
음차어 : Kim Ki-rim
음차어 : Kim Gi-rim
호(號) : 편석촌(片石村)
동의어(UF) : 김인손(金仁孫)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아명

 

김인손 [ 金仁孫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구인회 [ 九人會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조선문학가동맹 [ 朝鮮文學家同盟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신시론 [ 新詩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관련 내용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김기림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경린 [ 金璟麟 ]

한국미술에 있어서 ‘모더니즘’의 의미와 특징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in Korean Art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2 | 2011 | 미술

한국미술에 있어서 ‘모더니즘’의 의미와 특징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in Korean Art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2 | 2011 | 미술

매체 간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현대시교육 연구

A Study on Poetry Education Through Intertextuality between Poems and Films

문학교육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매체 간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현대시교육 연구

A Study on Poetry Education Through Intertextuality between Poems and Films

문학교육학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시론』의 작품들에 나타난 모더니즘 성격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odernistic Poetry in The Sinsiron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시론』의 작품들에 나타난 모더니즘 성격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odernistic Poetry in The Sinsiron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현대시 관련 근대성 담론의 층위와 특성

The Quality and Hierarchy of Modernity Discourse in Korean poetry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문학과 ‘감각’의 문제 - 김기림과 임화의 시론을 중심으로

‘Sensation’ and Literature in 1930s - Focusing on Poetics of Kim, Gi-rim and Im, Hwa

한국시학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문학과 ‘감각’의 문제 - 김기림과 임화의 시론을 중심으로

‘Sensation’ and Literature in 1930s - Focusing on Poetics of Kim, Gi-rim and Im, Hwa

한국시학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시교육에서 알레고리 문제 -김기림의 「바다와 나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llegory in Poetry Education

문학교육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교육에서 알레고리 문제 -김기림의 「바다와 나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llegory in Poetry Education

문학교육학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현대시 관련 근대성 담론의 층위와 특성

The Quality and Hierarchy of Modernity Discourse in Korean poetry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T. S. 엘리엇의 「황무지」와 김기림의 「기상도」

T. S. Eliot’s The Waste Land and Kim Ki-Rim’s Ki-Sang-Do

T. S. 엘리엇연구 | 21 | 1 | 2011 | 영어와문학

‘이상’의 이데올로기적 기원 : 김기림과 최재서의 이상론

Origins of the Ideology of Yi Sang-ism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상’의 이데올로기적 기원 : 김기림과 최재서의 이상론

Origins of the Ideology of Yi Sang-ism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상’의 이데올로기적 기원 : 김기림과 최재서의 이상론

Origins of the Ideology of Yi Sang-ism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상’의 이데올로기적 기원 : 김기림과 최재서의 이상론

Origins of the Ideology of Yi Sang-ism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과 김기림의 문학적 상관성

Poetic Correlation between Jeong, Ji-Yong & Kim, Gi-rim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과 김기림의 문학적 상관성

Poetic Correlation between Jeong, Ji-Yong & Kim, Gi-rim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기림 시론에서의 모더니티와 역사성의 문제

Modernity and Historicity in the Poetics of Kim Kirim

한국현대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기림 시론에서의 모더니티와 역사성의 문제

Modernity and Historicity in the Poetics of Kim Kirim

한국현대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기림의 ‘광화문(통)’, 소멸과 신생의 거리 -「遊覽버스」, 「光化門通」, 「除夜」에 나타난 경성 인식을 중심으로-

Kim Gi-rim's ‘Gwanghwamun(tong)', the street of extinction and creation. - Focusing on his perception of Gyeongseong on 「Yuram Bus」, 「Gwanghwamuntong」, and 「Jeya」 -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기림 시어의 혼재 양상 연구

A Study about the hybridism represented in Kim Ki-rim's poetry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기림의 전체시론 재고(再考)

The Re-thinking on Kim, ki-rim's Poetics on Totality

우리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문학에 나타난 시각 체계의 다원성 - 새로운 ‘풍경’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試論)

The Plurality of Vision in Korean Modernist Literature of the 1930s - An Essay on the Concept of a New "Landscape"

상허학보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기림 초기시의 범주와 「태양의 풍속」 이 가진 문제들 -발표작과 수록작 사이의 차이를 중심으로-

A Category of Kim Gi-rim's Early Poetry and 「The Sun's Custom」 's problems -Focusing on some differences between works released and works contained

한국학연구 | 40 | 2012 | 기타인문학

김기림의 ‘광화문(통)’, 소멸과 신생의 거리 -「遊覽버스」, 「光化門通」, 「除夜」에 나타난 경성 인식을 중심으로-

Kim Gi-rim's ‘Gwanghwamun(tong)', the street of extinction and creation. - Focusing on his perception of Gyeongseong on 「Yuram Bus」, 「Gwanghwamuntong」, and 「Jeya」 -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 후 김기림의 한글 전용 논의에 대하여(Ⅰ) - 논의의 맥락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On the Discussion on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of Kim Girim in the Liberation Period(Ⅰ)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시적 주체의 탄생과 경성 아케이드의 시적 고찰 : 30년대 모더니즘 문학과 장 콕토 예술의 공유점에 대해서

The Birth of the Poetic Subject and Poetic Reflections on the Kyoungsung-arcade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ean Cocteau's art and Korean Modernist Literature of the 1930s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기림 초기시의 범주와 「태양의 풍속」 이 가진 문제들 -발표작과 수록작 사이의 차이를 중심으로-

A Category of Kim Gi-rim's Early Poetry and 「The Sun's Custom」 's problems -Focusing on some differences between works released and works contained

한국학연구 | 40 | 2012 | 기타인문학

김기림 시론에서의 모더니티와 역사성의 문제

Modernity and Historicity in the Poetics of Kim Kirim

한국현대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기림 시론에서의 모더니티와 역사성의 문제

Modernity and Historicity in the Poetics of Kim Kirim

한국현대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문학에 나타난 시각 체계의 다원성 - 새로운 ‘풍경’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試論)

The Plurality of Vision in Korean Modernist Literature of the 1930s - An Essay on the Concept of a New "Landscape"

상허학보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시적 주체의 탄생과 경성 아케이드의 시적 고찰 : 30년대 모더니즘 문학과 장 콕토 예술의 공유점에 대해서

The Birth of the Poetic Subject and Poetic Reflections on the Kyoungsung-arcade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ean Cocteau's art and Korean Modernist Literature of the 1930s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기림 시론 연구 - 유기체적 세계관을 중심으로

A Study of Kim, Ki-rim's Poetics ― Focused on the Theory of the Organicism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도착적 보편과 마주선 특수자의 요청 : 김기림의 경우

A Study on Kim Gi-rim’s Attitude toward ‘the Modern’ and the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한국학연구 | 27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