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

연구분야 :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4842

STNet ID : 9001314

한자 : 李燦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이무종 [ 李務種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a01-05-03 인간(성향) /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혁명 시인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a01-04-03 인간(거주상황) /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재북 시인 () [ 在北詩人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소련기행 [ 蘇聯紀行 ]

북한문학에서 프로시의 위상과 가치

Prestige and Value of Proletariat-poetry in North Korean Literature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문학에서 프로시의 위상과 가치

Prestige and Value of Proletariat-poetry in North Korean Literature

한국근대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에서의 이찬 시의 정치적 대응과 변모양상

Political action and Transformation poem in North Korea Lee Chan patterns

우리말글 | 54 | 2012 | 한국어와문학

The Shaping and Progress of Korean Historical Geography Since 1945

현대 한국 역사지리학의 형성과 발전

대한지리학회지 | 47 | 4 | 2012 | 지리학

이찬의 개작시(改作詩) 양상과 의의

Focusing on aspects of the adaptation poem of Lee Chan and its significance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찬 시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about Lee Chan’s poetry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of North Korea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1 | 기타국문학

해방 이후의 이찬의 시 세계

The Poetic World of Lee Chan after liberation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