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히트의 서사성과 마리루이제 플라이써의 서사성 -뇌과학적 관점으로 바라본 남성과 여성의 성향 차이
Das Epische bei B. Brecht und das Epische bei M. L. Fleißer -Geschlechtsspezifische Präferenzen aus neurowissenschaftlicher Sicht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7 |
2012 |
독일어와문학
Achievements in Natural Science, the Possibility of the Free Will and Autonomous Morality: With Consideration of Moral Psychology and its Educational Implementation
자연과학의 연구 성과에 기초한 자유의지와 자율적 도덕성의 가능성 탐구: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도덕윤리과교육 |
31 |
2010 |
교육학
Achievements in Natural Science, the Possibility of the Free Will and Autonomous Morality: With Consideration of Moral Psychology and its Educational Implementation
자연과학의 연구 성과에 기초한 자유의지와 자율적 도덕성의 가능성 탐구: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도덕윤리과교육 |
|
31 |
2010 |
교육학
도덕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도덕교육적 함의 - 헤이트(J. Haidt)의 뇌과학 연구를 중심으로 -
New Trends in Moral Psychology and their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 Focusing on J. Haidt's neuroscientific research -
초등도덕교육 |
37 |
2011 |
윤리교육학
생태유아교육의 교육내용에 대한 뇌과학적 고찰
Brain-scientific Consideration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Educational Content
생태유아교육연구 |
9 |
3 |
2010 |
유아교육
생태유아교육의 교육내용에 대한 뇌과학적 고찰
Brain-scientific Consideration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Educational Content
생태유아교육연구 |
9 |
3 |
2010 |
유아교육
감정 소통매체로서의 영화와 도덕적 상상력
Film as the Communicating Medium of Emotion and Moral Imagination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감정 소통매체로서의 영화와 도덕적 상상력
Film as the Communicating Medium of Emotion and Moral Imagination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자아정체성 부정을 통한 새로운 윤리의 가능성
The Possibility of New Ethics on the Denial of Identity
철학연구 |
44 |
2011 |
철학
복잡계로서의 물질과 마음
The matter and the mind as the complex system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복잡계로서의 물질과 마음
The matter and the mind as the complex system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생태인문학의 이론적 배경: 바이오 휴머니티
Theoretical Background of Eco-humanism: toward Bio-humanit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마음과 뇌 - 유교의 수양론과 인지과학 -
Mind and Brain: Confucian Self-cultivation and Cognitive science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자유의지와형사책임론의 문제
Free Will in View of Cognitive Science and the Problem of Penal Responsibility
서울대학교 법학 |
51 |
4 |
2010 |
법학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자유의지와형사책임론의 문제
Free Will in View of Cognitive Science and the Problem of Penal Responsibility
서울대학교 법학 |
51 |
4 |
2010 |
법학
내공간의 이론과 『서유기』 해석
Reading Seoyugi by Relying upon the Theory of the Inner Space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공간화된 기술과학적 실천과 실험실의 물질문화: 민속방법론적 참여관찰을 통해 분석한 뇌과학 첨단연구 공간의 이해
Spatialized Technoscientific Practice and Material Culture in the Laboratory
공간과 사회 |
34 |
2010 |
지리학
공간화된 기술과학적 실천과 실험실의 물질문화: 민속방법론적 참여관찰을 통해 분석한 뇌과학 첨단연구 공간의 이해
Spatialized Technoscientific Practice and Material Culture in the Laboratory
공간과 사회 |
|
34 |
2010 |
지리학
소년의 미성숙 뇌에 관한 연구와 형사책임 - 미국의 Roper 판례에 대한 분석과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
The Adolescence Brain and Criminal Responsibility
형사정책 |
24 |
2 |
2012 |
형사정책
뇌과학에 기반한 창의적 글쓰기와 문화콘텐츠기획 —창의적 발상의 문제를 중심으로—
Neuroscience for Creative Writing & Cultural-contents Planning
한국학연구 |
22 |
2010 |
기타인문학
뇌과학에 기반한 창의적 글쓰기와 문화콘텐츠기획 —창의적 발상의 문제를 중심으로—
Neuroscience for Creative Writing & Cultural-contents Planning
한국학연구 |
|
22 |
2010 |
기타인문학
영유아 관련 뇌 기반 연구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brain-based research involving young children
유아교육연구 |
31 |
2 |
2011 |
교육학
뇌과학 기반의 IT융합 신산업 육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Promoting Policy for New IT Convergence Industry based on Brain Science
디지털융복합연구 |
10 |
5 |
2012 |
기타과학기술학
청소년 비행유발에 있어 신경전달물질에 관한 연구 : 세로토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urotransmitters related to the Induction of Juvenile Delinquency : Based on Serotonin
한국범죄심리연구 |
7 |
1 |
2011 |
경찰행정
뇌과학의 교육학적 유용성과 한계성 탐색을 통한 통섭의 방향 정립
A Study on Integrative Approach of Brain Science in Education Research
교육종합연구 |
10 |
3 |
2012 |
교육학
뇌 과학 : 학교 교육과 교육과정에의 시사점
Brain science: Its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the school curriculum
교육과정연구 |
28 |
3 |
2010 |
교육학
뇌 과학 : 학교 교육과 교육과정에의 시사점
Brain science: Its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the school curriculum
교육과정연구 |
28 |
3 |
2010 |
교육학
뇌과학과 형사책임의 새로운 지평
Hirnforschung und strafrechtlicher Schuldbegriff
형사법연구 |
22 |
4 |
2010 |
법학
뇌과학과 형사책임의 새로운 지평
Hirnforschung und strafrechtlicher Schuldbegriff
형사법연구 |
22 |
4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