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학

연구분야 : B160000 사회과학 > 지리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5832

STNet ID : 9000700

한자 : 地理學
스페인어 : geografia
영어 : geography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시간 지리학 [ --地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학 지리학 [ 文學地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지역 지리학 [ 地域地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계통 지리학 [ 系統地理學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기후학 [ 氣候學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지도학 [ 地圖學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관련 학문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지리 교육학 [ 地理敎育學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지리 연구 방법 [ 地理硏究方法 ]

지오파크(Geopark) 명칭에 대한 논의

Debates on the Korean Name of Geopark

한국지형학회지 | 18 | 1 | 2011 | 지리학

古代朝鲜的世界观与 ≪山海经≫ —以朝鲜王朝时期 ≪天下图≫ 为中心

고대 조선의 세계관과 ≪山海经≫ ―조선왕조시기의 ≪天下图≫를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古代朝鲜的世界观与 ≪山海经≫ —以朝鲜王朝时期 ≪天下图≫ 为中心

고대 조선의 세계관과 ≪山海经≫ ―조선왕조시기의 ≪天下图≫를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하 민족운동과 종교

The racial and religious movement in the Korea under Japanese Imperialism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1 | 2012 | 원불교학

Geography and Civilization: Chŏng Yagyong and Late Chosŏn Notions of Chunghwa

지리와 문명 : 정약용과 조선후기의 중화개념

다산학 | 16 | 2010 | 인문학

Geography and Civilization: Chŏng Yagyong and Late Chosŏn Notions of Chunghwa

지리와 문명 : 정약용과 조선후기의 중화개념

다산학 | | 16 | 2010 | 인문학

조선시대 잡과의 음양과(陰陽科) 연구- 택일과목을 중심으로 -

Study on eumyang-gwa(陰陽科) of japgwa(雜科) of the Joseon Dinasty - Focus on Choosing an auspicious day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1 | 2012 | 원불교학

근대 중국에서 지리학 학지의 형성

The Formation of Modern Geography in China

개념과 소통 | 7 | 2011 | 역사학

더글라스 하울랜드, 『중국 문명의 경계; 제정(帝政) 말기의 지리학과 역사학』

D. R. Howland, Borders of Chinese Civilization: Geography and History at Empire’s End (Durham, N.C. : Duke University Press, 1996)

중국사연구 | 67 | 2010 | 동양사

더글라스 하울랜드, 『중국 문명의 경계; 제정(帝政) 말기의 지리학과 역사학』

D. R. Howland, Borders of Chinese Civilization: Geography and History at Empire’s End (Durham, N.C. : Duke University Press, 1996)

중국사연구 | | 67 | 2010 | 동양사

서양 지리학과 동양인식 ─ 20세기 전환기 동아시아를 지리적으로 위치짓기 ─

Western Geography and his Locating East Asia fin-de-siècle

아시아문화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Philosophy in Strabo’s Geography: Shadows of Posidonian Stoicism

스트라보의 <지리학>의 철학적 기반: 포세이도니오스의 스토아주의

서양고전학연구 | 42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Philosophy in Strabo’s Geography: Shadows of Posidonian Stoicism

스트라보의 <지리학>의 철학적 기반: 포세이도니오스의 스토아주의

서양고전학연구 | | 42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선진국 지리학사를 통해 본 지리교육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f Geography through the Study for History of Geography in Advanced Nations

국토지리학회지 | 44 | 3 | 2010 | 지리학

선진국 지리학사를 통해 본 지리교육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f Geography through the Study for History of Geography in Advanced Nations

국토지리학회지 | 44 | 3 | 2010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