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지리학

연구분야 : H990000 복합학 > 학제간연구
B160299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 기타인문지리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986

한자 : 文學地理學
영어 : literacy geography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문학지리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지리학 [ 地理學 ]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등주(登州

Deungju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terary Geography

국어국문학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등주(登州

Deungju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terary Geography

국어국문학 |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천(堤川) 의림지(義林池)의 문학지리와 그 의미

The Literary Geography of Uirimji in Jecheon and It’s Meaning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천(堤川) 의림지(義林池)의 문학지리와 그 의미

The Literary Geography of Uirimji in Jecheon and It’s Meaning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시에 나타난 ‘지도’ 표상과 세계의 상상 ―정지용, 임화, 김기림, 신석정의 시를 중심으로

'Map' Representation and Imagination of the Worldin the 1930s' Poetry

한국민족문화 | 43 | 2012 | 기타인문학

식민지 도시 ‘경성’과 ‘모던 서울’의 표상 - 유리, 강철, 대리석, 지폐, 잉크가 끓는 도시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Colonial city ‘Gyeong-seong’ and ‘Modern Seoul’

한국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도시 ‘경성’과 ‘모던 서울’의 표상 - 유리, 강철, 대리석, 지폐, 잉크가 끓는 도시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Colonial city ‘Gyeong-seong’ and ‘Modern Seoul’

한국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제주도의 양상과 의미

Aspect and meaning of Jeju-do that appear in Modern Poems

영주어문 | 19 | 2010 | 기타국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제주도의 양상과 의미

Aspect and meaning of Jeju-do that appear in Modern Poems

영주어문 | 19 | | 2010 | 기타국문학

문학지리학으로 읽어본 1980년대 신경림 시의 장소

The Place in Shin, kyeong-rim's Poetry of 1980's read by Literacy Geography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학지리학으로 읽어본 신경림 문학 속의 농촌 - 1950-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The rural community Read by Literacy Geography in Shin, kyeong-rim’s Literature of 1950-7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