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공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6831

STNet ID : 1001297

한자 : 朝貢

b01-01 행위/활동

행위대상(자)

중국 (中國)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1 대륙(반도)명 대륙(반도)명

동아시아 () [ 東-- ]

R1:개념적

isBaseFor (근거.토대의 대상)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조공 체제 [ 朝貢體制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중화주의 () [ 中華主義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입공 [ 入貢 ]

R3:시간적

co-occursWith (동시발생)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공무역 () [ 公貿易 ]

여몽 관계의 성격과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 중국 학계의 '책봉과 조공' 관계 연구의 한계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s, and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The Limits of “Investiture-Tribute” Relations in Studies on China

동북아역사논총 | 35 | 2012 | 역사학

麗末鮮初 朝・明간 女眞 귀속 경쟁과 그 意義

The competition of Where Jurchen Has to Belong between Chosun and Ming Dynasty from the end of Koryo to the early of Chosun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정치외교적 측면에서 본 明·淸代중국의 朝鮮觀연구: ‘中國正史朝鮮傳’을 중심으로

A Study on Ming & Ching China's View of the Chosun Dynasty in Politico-diplomatic Aspects: through the Special References to Chosun Chronicle in Chinese Authentic History

한국정치학회보 | 45 | 5 | 2011 | 정치외교학

명대(明代) 중국의 조선관(朝鮮觀) 연구 -명사(明史) 「조선열전(朝鮮列傳)」을 중심으로-

A Study on Ming China's View of the Chosun Dynasty -through the Special References to Chosun Chronicle in Chinese Ming Authentic History-

21세기정치학회보 | 21 | 1 | 2011 | 정치외교학

淸代 中國의 外國人 漂流民의 救助와 送還에 대하여 ― 朝鮮人과 日本人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Rescue and Repatriation of Foreign Drifters by Qing China: Focusing on Cases Involving Koreans and Japanese

동북아역사논총 | 28 | 2010 | 역사학

淸代 中國의 外國人 漂流民의 救助와 送還에 대하여 ― 朝鮮人과 日本人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Rescue and Repatriation of Foreign Drifters by Qing China: Focusing on Cases Involving Koreans and Japanese

동북아역사논총 | | 28 | 2010 | 역사학

고구려 中期 服屬觀念의 검토

A Study on Koguryo's Vassalage Perception in the Middle Years

백산학보 | 91 | 2011 | 역사학

乾隆年間 <萬國來朝圖> 硏究

A Study on Wanguo-laichao-tu During the Qianlong Emperor's Reign

중국사연구 | 72 | 2011 | 동양사

유교문명권의 국제관계: 책봉제도를 중심으로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Confucian World: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Investiture System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1 | 2 | 2010 | 정치외교학

유교문명권의 국제관계: 책봉제도를 중심으로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Confucian World: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Investiture System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1 | 2 | 2010 | 정치외교학

陶瓷를 통해 본 4세기 초 百濟와 東晉의 交流

Exchanges between Baekje and Eastern Jin during the early 4th Century as viewed through Porcelains

韓國史學報 | 42 | 2011 | 역사학

明代 北邊의 互市와 朝貢

明代北边互市和朝贡

중국사연구 | 72 | 2011 | 동양사

唐·新羅 交流史에서 본 新羅求法僧

从唐和新罗之间的交流史来看, 新羅求法僧的活动

중국사연구 | 75 | 2011 | 동양사

조청관계에 대한 편의적 이해 사례

Two Cases of Arbitrary Understandings of the Relationshipbetween Joseon and Qing China

동북아역사논총 | 35 | 2012 | 역사학

魏晉南北朝-五代시기 <冊府元龜>外臣部에 기록된 조공 香 고찰

A Study on Tributary Incense of the Wei,Jin and Southern and Northen Dynasties Period and the Five Dynasties Period that is Described in the Foreign Subject Section of

한복문화 | 15 | 2 | 2012 | 의상

조선·청조의 조공관계와 외교질서 - 『중국역대조공제도연구』의 비판적 분석

Tribute Relation and Diplomatic Order of Joseon and Ching Dynasty - Critical Analysis of 『Research on Historical Tribute Systems of China and Korea』

人文科學硏究 | 29 | 2011 | 기타인문학

중국 고대 정권찬탈자들의 重譯來庭論 -朝貢·冊封 질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단서를 찾아서-

中國古代政權簒奪者與重譯來庭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