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

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6906

STNet ID : 1001298

한자 : 傳承
영어 : transmission
일본어 : 伝承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구비 전승 () [ 口碑傳承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전승 의식 [ 傳承儀式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전승 민요 () [ 傳承民謠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전승 양상 () [ 傳承樣相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전통 계승 [succession of tradition]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전승 지역 ()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전승 주체 () [ 傳乘主體 ]

R2:기능적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전승담 () [ 戰勝談 ]

남성 주체의 결핍과 상실을 대리 표상하는 ‘사그라진 신부(新婦)’ -<첫날밤에 소박맞은 신부> 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Image of ‘Vanishing Bride’ Representing the Loss and Melancholy of the Male-Subject -The Study on the Oral Narrative of "the Bride Deserted on Wedding Night"-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통 무예단체 조직정비 방안

A Study on Organizing Maintenance Repair of Traditional Martial Arts Groups

대한무도학회지 | 12 | 1 | 2010 | 무도학

전통 무예단체 조직정비 방안

A Study on Organizing Maintenance Repair of Traditional Martial Arts Groups

대한무도학회지 | 12 | 1 | 2010 | 무도학

<장끼전> 작품군의 존재 양상과 전승 과정 연구

A Study of an Existence Aspect and the Hand Down Process of Pieces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장끼전> 작품군의 존재 양상과 전승 과정 연구

A Study of an Existence Aspect and the Hand Down Process of Pieces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서사민요에 나타난 지역문학의 창의와 융합 연구 -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Study on Creation and Combination of Local Literature in Korean Folk Ballads: Focused on Gangwon District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藥性歌’의 성립과 전승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Yaksungga(藥性歌)"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족 전통예술의 전승 기반

Korean Ethnic Arts of Transmission Base

통일인문학 | 49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족 전통예술의 전승 기반

Korean Ethnic Arts of Transmission Base

통일인문학 | 49 | | 2010 | 기타인문학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Pansori and Kazakh Jyr

한국 판소리와 카작 즈르의 비교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Pansori and Kazakh Jyr

한국 판소리와 카작 즈르의 비교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헌 기록에 나타난 연산군 형상의 전승 양상

A Study on the Tradition of the Image of Lord Yeonsan in the Archives

한국학 | 35 | 2 | 2012 | 기타인문학

동초제 수궁가의 유파적 특성과 전승 양상

The Sectarian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Aspect of Dongcho-je

공연문화연구 | 24 | 2012 | 기타예술일반

촌락공동체신앙 전승의 현재적 의미 - 경북 문경시 부곡리 별신굿을 중심으로 -

村落共同体信仰传承的当今意义 : 以庆尚北道闻庆市富谷里的村神祭为中心

민족문화논총 | 49 | 2011 | 기타인문학

전통공예의 전승과 변화 -복조리 사례를 중심으로-

Transmission and change of the traditional craft focusing on the example of bokjori

실천민속학 연구 | 20 | 2012 | 역사학

‘선녀결연 설화’의 유형과 전승 양상 - 中․韓 <견우와 직녀>와 <나무꾼과 선녀>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Types and Aspects of the Transmission of the Angel-twinning Fairy-tales - In particular on Sino-Korean tales : Niu Lang and Zhi Nu vs. Gyonu and Jingnyo respectively

비교문학 | 51 | 2010 | 인문학

‘선녀결연 설화’의 유형과 전승 양상 - 中․韓 <견우와 직녀>와 <나무꾼과 선녀>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Types and Aspects of the Transmission of the Angel-twinning Fairy-tales - In particular on Sino-Korean tales : Niu Lang and Zhi Nu vs. Gyonu and Jingnyo respectively

비교문학 | | 51 | 2010 | 인문학

「처용설화」를 통한 전승 중심 문학교육 시론

An Essay on Literary Education Central of Transmission based on the cheoyong narrative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2 | 2010 | 국어교육

「처용설화」를 통한 전승 중심 문학교육 시론

An Essay on Literary Education Central of Transmission based on the cheoyong narrative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2 | 2010 | 국어교육

晩淸官書局與近代文獻傳承

The Late-Qing official publishing House and the modern Classics in heritance

중국어문학 | 60 | 2012 | 중국어와문학

朗原君 李偘의 시조 연구

A Study on Nangwongoon's Sijo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朗原君 李偘의 시조 연구

A Study on Nangwongoon's Sijo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학리 지게놀이의 초등학교 무용교육 활용방안

Dance Apply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Education* (Use of Sunhak-ly Gigae play)

우리춤과 과학기술 | 7 | 1 | 2011 | 무용

한국 산후조리 문화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Postpartum Care in Korea

아시아문화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書評 再現中華飲食文化的傳承與衍變 -評王學泰, 『中國飲食文化史』

서평 중화음식문화의 전승과 연변 -評王學泰,『中國飲食文化史』

중국사연구 | 73 | 2011 | 동양사

이야기 스키마와 구비설화의 전승과 변이

Story Schema and Folk-tales' Variation

실천민속학 연구 | 16 | 2010 | 역사학

이야기 스키마와 구비설화의 전승과 변이

Story Schema and Folk-tales' Variation

실천민속학 연구 | 16 |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