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 전승

연구분야 : A020502 인문학 > 역사학 > 인류학 > 문화인류학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99

STNet ID : 9001568

한자 : 口碑傳承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구전 [ 口傳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전승 () [ 傳承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구비 [ 口碑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구비 설화 () [ 口碑說話 ]

‘궁예미륵’석불입상의 구비전승적 연구 -안성 기솔리 석불입상, 포천 구읍리 석불입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lktale about‘ Gungye Maitreya’stone Buddha statue

민속학연구 | 30 | 2012 | 역사학

중국 서사의 전파와 조선적 수용의 가능성

The propagation of Chinese narrative literature to Joseon and the possibility of “Joseon style accommodation proces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포은 설화의 전승 현황과 그 유형

A Study on the Status and Classification of Poeun Jeong Mong-ju Tales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재소고려인의 구전가요(노랫말)의 존재양상

The Aspects of Korean Forlksong in CIS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소고려인의 구전가요(노랫말)의 존재양상

The Aspects of Korean Forlksong in CIS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설화전승자의 의식 변화와 ‘祭祀說話’의 미래 - <644-3 제사 차린 정성 부족하다고 해 끼친 혼령> 설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uture of oral transmission of the 'folktales' especially about the 'folktales related to ancestor memorial rites'

어문론총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설화전승자의 의식 변화와 ‘祭祀說話’의 미래 - <644-3 제사 차린 정성 부족하다고 해 끼친 혼령> 설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uture of oral transmission of the 'folktales' especially about the 'folktales related to ancestor memorial rites'

어문론총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중 서사의 교류와 구비전승의 역할

Intercourse of Narrative between Joseon and China on the Role of Oral Tradition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낙동강 하구 구비전승 구연자의 장소성에 대한 인식 양상

A study on aspects of placeness in the mouth of NakDong river oral speaker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낙동강 하구 구비전승 구연자의 장소성에 대한 인식 양상

A study on aspects of placeness in the mouth of NakDong river oral speaker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