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조

연구분야 :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72

한자 : 禮曺

y06-01 조직/단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육조 [ 六曹 ]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예조판서 () [ 禮曹判書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예조 좌랑 [ 禮曺佐郞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관상감 [ 觀象監 ]

고종 때 광화문 육조앞길의 관아배치와 처소변경

The Governmental Offices Arrangement and Location Change at The Gwanghwamun Yukjoapgil(The Street in front of The Six Boards) during The King Gojong Era

서울과 역사 | 78 | 2011 | 역사학

농업속신의 체계와 생산기술적 이해

Types of Agricultural Folk Beliefs and Their Technological Roles in Agriculture

실천민속학 연구 | 18 | 2011 | 역사학

罷繼 행정을 통해 본 18세기 입후법 운용-장서각 소장『繼後謄錄』을 중심으로

The Successor-Designation Law of the 18th Century, Examined through the “Successor-Releasement(罷繼) Order” -Analysis of Gyehu-deungnok (繼後謄錄), in the Jangseogak Archives

藏書閣 | 25 | 2011 | 역사학

전통사회 교원평가의 원칙과 실제 : 조선후기 예조(禮曺) 소속 교원을 중심으로

The principle and Practice of Teacher Assessment in Traditional Society : Focusing on the Teacher in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in Late Chosun Dynasty

교육행정학연구 | 30 | 2 | 2012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