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 산성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D150700 공학 > 건축공학 > 건축문화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775

한자 : 南漢山城
영어 : Namhansanseong Fortress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사적 (史蹟)

유형/장르

산성 (山城)

제작자

조선 인조

유이주 (柳爾胄)

제작시대

조선 후기 (朝鮮後期)

소재지

경기도 광주시

소장처(자)

국유 (國有)

관리자(처)

광주시 (光州市)

지정호수_t

사적 57호

지정일자_t

1963. 1. 21.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옹성 [ 甕城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산성 취락 [ 山城聚落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북한산성 () [ 北漢山城 ]

국립극단을 통해 본 한국 역사극의 지형도: 1950년부터 1979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Drawing the Landscape of Korean Historical Drama Through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Focusing on the period between 1950 through 1979

드라마 연구 | 34 | 2011 | 연극이론

서울에 온 청의 칙사 馬夫大와 삼전도비

A Study on the Manchu Envoy Mafuta and the Samjeondobi

서울학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서울에 온 청의 칙사 馬夫大와 삼전도비

A Study on the Manchu Envoy Mafuta and the Samjeondobi

서울학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廣州邑治에 대한 硏究

A Study on Gwangju Eupchi

서울과 역사 | 77 | 2011 | 역사학

소설 텍스트 시제이동의 한 가지 새로운 기능 - 김훈의 <남한산성>을 중심으로 -

A New Function of Tense Shift in Novel Texts

텍스트언어학 | 28 | 2010 | 언어학

소설 텍스트 시제이동의 한 가지 새로운 기능 - 김훈의 <남한산성>을 중심으로 -

A New Function of Tense Shift in Novel Texts

텍스트언어학 | 28 | | 2010 | 언어학

산성도시 남한산성의 도시 기능성 변화

The Changing Urban Functionality of the Namhansanseong Fortress City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15 | 1 | 2012 | 지리학

조선후기 국왕의 南漢山城 행차

Kings’ Visit to Namhansanseong in the Second Half of the Choseo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60 | 2012 | 역사학

南漢山城 新南城의 構造와 築城 意味

The Structure of Namhan-Sanseong Fortress and Significance of the Construction

문화사학 | 35 | 2011 | 문화사(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