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연구분야 : A070200 인문학 > 유교학 > 유교윤리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909

STNet ID : 9002043

한자 : 論語
영어 : Analects of Confucius
영어 : Analects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심성 구조 [ 心性構造 ]

hasSubject (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선진 유가 철학 [ 先秦儒家哲學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사서 [ 四書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십삼경 [ 十三經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구경 [ 九經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R] 동서양 철학 고전 () [ 東西洋哲學古典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경서 [ 經書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논어질서 () [ 論語疾書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충(忠) () [ 忠 ]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유교 () [ 儒敎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충서 [ 忠恕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서(恕) () [ 恕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인(仁) () [ 仁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효제 [ 孝悌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경서변의 [ 經書辨疑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정명론 [ 正名論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온고지신 [ 溫古知新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인수 [ 仁壽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이순 [ 耳順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정명 [ 正名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극기복례 () [ 克己復禮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위기지학 () [ 爲己之學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a01-05 인간(능력/성향) 인간(능력/성향)

무본지심 [ 務本之心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관련 문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종심 [ 從心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불혹 [ 不惑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이립 (연령) [ 而立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지학 () [ 志學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지천명 [ 知天命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논어 번역 [ 論語飜譯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논어언해 [ 論語諺解 ]

RT (관련어)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군자 [ 君子 ]

文廟 佾舞의 審美形象 -『春官通考』를 중심으로 -

文廟佾舞之審美形象 - 以『春官通考』为中心 -

유학연구 | 21 | 2010 | 철학

文廟 佾舞의 審美形象 -『春官通考』를 중심으로 -

文廟佾舞之審美形象 - 以『春官通考』为中心 -

유학연구 | 21 | | 2010 | 철학

漢字의 언어적 특성과 <論語> 읽기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and Reading forthe Analects of Confucius

한국철학논집 | 30 | 2010 | 한국철학일반

漢字의 언어적 특성과 <論語> 읽기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and Reading forthe Analects of Confucius

한국철학논집 | | 30 | 2010 | 한국철학일반

공자 사후 공문 후계구도와 ≪논어≫의 편찬-학이편을 중심으로-

Confucian Students' Succession to Confucius and Editing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 Study Focusing on Chapter Xue'er

중국어문학 | 58 | 2011 | 중국어와문학

향교설립 이전의 유가경전 수용과 교육현황

The State of Classics, Education before the establish of Hyanggyo(鄕校) in Korea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논어』에서의 ‘배려 실천’ 고찰

The study for practice of caring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論語)

인격교육 | 5 | 2 | 2011 | 기타교육학

1900~10년대 최남선의 ‘고전/번역’ 활동과 전통에 대한 인식

Activity of ‘Translation of Classics’ and Acknowledgement of Tradition by Namsun Choi in 1900~10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1900~10년대 최남선의 ‘고전/번역’ 활동과 전통에 대한 인식

Activity of ‘Translation of Classics’ and Acknowledgement of Tradition by Namsun Choi in 1900~10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소학 저술이전 시기 주자의 소학론

The theory of xiaoxue of Zhuzi before Xiaoxue writing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오뢰천의 기독교와 유교 비교 연구 — 논어, 중용 해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Confucianism's Influences in Wu LeiChuan's Christianism. - Focusing on Interpretations of Analects and Doctrine of the Mean

동방학 | 24 | 2012 | 기타인문학

현암 이을호의 국역『四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yeon-am Lee Eul-ho's Korean Translation of Sa-seo(四書: Four Confucian Books of Ancient China)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현암 이을호의 국역『四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yeon-am Lee Eul-ho's Korean Translation of Sa-seo(四書: Four Confucian Books of Ancient China)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향교설립 이전의 유가경전 수용과 교육현황

The State of Classics, Education before the establish of Hyanggyo(鄕校) in Korea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孝’에 대한 유가와 도가의 관점을 논함

A study on ‘Xiao’(孝) of the Confucianism and Taoism

중국학논총 | 30 | 2010 | 중국문화학

‘孝’에 대한 유가와 도가의 관점을 논함

A study on ‘Xiao’(孝) of the Confucianism and Taoism

중국학논총 | | 30 | 2010 | 중국문화학

『論語徵』에 나타난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의 道 인식

A recognize of Ohgyusorayiui’s Tao(道) appeared 『Noneojing(論語徵)』

漢文古典硏究 | 23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論語徵』에 나타난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의 道 인식

A recognize of Ohgyusorayiui’s Tao(道) appeared 『Noneojing(論語徵)』

漢文古典硏究 | 23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논어』의 중용사상과 마음공부

Zhōngyōng(中庸) Thoughts of the Analects(論語) and Mind Training

사회사상과 문화 | 25 | 2012 | 사회학

근세의 왕인(王仁)전승 - 왕인이 가져온 한적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近世における王仁伝承 - 王仁が伝えた漢籍に対する論議を中心に -

日本學硏究 | 35 | 2012 | 일본어와문학

유교 윤리의 근거로서의 종교성 - [論語]를 중심으로 -

Religiosity as the basement of Confucian ethics - centered on Analects of Confucius -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유교 윤리의 근거로서의 종교성 - [論語]를 중심으로 -

Religiosity as the basement of Confucian ethics - centered on Analects of Confucius -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한국행정학자의 『논어』 읽기: 한국의 유교적 행정 연구 검토

Reading of Analects of Confucius and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한국조직학회보 | 8 | 3 | 2011 | 행정조직/관리

<<論語>>에 나타난 孔子의 君子論

《论语》中出现的孔子的君子论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韓國․中國․日本 출토 論語木簡의 비교 연구

韩、中、日三国出土论语简的比较研究

동양사학연구 | 114 | 2011 | 역사학

『논어』<학이>에 나타난 ‘배움[學]’의 본질과 도덕교육 - 『논어집주』와 『논어고금주』를 중심으로 -

The Essence of Learning in Chapter ‘Hagi’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he Meaning in Moral Education ― focused on Nonǒjibju and Nonǒkogǔmju

도덕윤리과교육 | 33 | 2011 | 교육학

‘從心所欲、不踰矩’를 통해 본 공자의 인성론

Confucius's theory of Human Nature in view of “Confucius' freedom that he did nothing wrong”

동양고전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從心所欲、不踰矩’를 통해 본 공자의 인성론

Confucius's theory of Human Nature in view of “Confucius' freedom that he did nothing wrong”

동양고전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조후기논어연구사

A History of Studies on the Analect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Yi Dynasty

인문논총 | 29 | 2012 | 기타인문학

孔子的敎育思想 ― 以≪論語≫爲中心 ―

중국인문과학 | 45 | 2010 | 중국어와문학

孔子的敎育思想 ― 以≪論語≫爲中心 ―

중국인문과학 | | 45 | 2010 | 중국어와문학

退溪의『論語釋義』에 대한 一考 ― 『論語』에 대한 해석 방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oegye’ 『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論語>>에 나타난 孔子의 君子論

《论语》中出现的孔子的君子论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韓國․中國․日本 출토 論語木簡의 비교 연구

韩、中、日三国出土论语简的比较研究

동양사학연구 | 114 | 2011 | 역사학

梅泉 黃玹의 文學에 나타난 선비精神

Scholarly Spirit in Maecheon Hwang-hyeon's Literary Works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梅泉 黃玹의 文學에 나타난 선비精神

Scholarly Spirit in Maecheon Hwang-hyeon's Literary Works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의 적법성과 도덕성 개념의 시각에서 본 [논어]에 대한 이해

Eine Verstaendnis fuers Lunyu unter dem Gesichtspunkt der Begriffe von Legalitaet und Moralitaet in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의 적법성과 도덕성 개념의 시각에서 본 [논어]에 대한 이해

Eine Verstaendnis fuers Lunyu unter dem Gesichtspunkt der Begriffe von Legalitaet und Moralitaet in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논어』의 행복론

The Happiness of The Analects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7 | 2010 | 유교학

『논어』의 행복론

The Happiness of The Analects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7 | 2010 | 유교학

James Legge의 『論語』 번역의 특징과 위상

理雅各『論語』翻譯的特徵及其地位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왕필의 『논어』해석

Wang-Bi's Interpretation on 『Lunyu』

동서철학연구 | 63 | 2012 | 철학

실천이성비판과 논어에 있어서 도덕적 동기에 대한 연구

Eine Untersuchung ueber die moralische Triebfeder in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und dem Lunyu

칸트연구 | 25 | 2010 | 철학

실천이성비판과 논어에 있어서 도덕적 동기에 대한 연구

Eine Untersuchung ueber die moralische Triebfeder in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und dem Lunyu

칸트연구 | | 25 | 2010 | 철학

壺山 朴文鎬의 經學 說에 대한 제 1고찰 『論語』

The first study for Chines Classics Theory of Hosan Park Mun-Ho『Nonoe』

범한철학 | 56 | 1 | 2010 | 철학

壺山 朴文鎬의 經學 說에 대한 제 1고찰 『論語』

The first study for Chines Classics Theory of Hosan Park Mun-Ho『Nonoe』

범한철학 | 56 | 1 | 2010 | 철학

‘인(人)’, ‘기(己)’, ‘심(心)’, ‘욕(欲)’과 공자의 인간 이해

The concept of jen(人), chi(己), hsin(心), yok(欲) in Confucius' Jenlogy(仁學)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인(人)’, ‘기(己)’, ‘심(心)’, ‘욕(欲)’과 공자의 인간 이해

The concept of jen(人), chi(己), hsin(心), yok(欲) in Confucius' Jenlogy(仁學)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선진(先秦) 유가철학에서 위험사회론: 『맹자(孟子)』 ‘무항산(無恒産)’을 중심으로

Rethinking Risk Society within the Early Confucian Context: With a Special Focus on the Problem of Uncertainty in Mencius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

문제중심학습법(PBL)을 통한 ≪論語≫<學而>篇의 쟁점 내용 분석

The analysis of a disputed point on Confucius ana's chapter 'xueer' through PBL

중국문학연구 | 40 | 2010 | 중국어와문학

문제중심학습법(PBL)을 통한 ≪論語≫<學而>篇의 쟁점 내용 분석

The analysis of a disputed point on Confucius ana's chapter 'xueer' through PBL

중국문학연구 | | 40 | 2010 | 중국어와문학

‘인(人)’, ‘기(己)’, ‘심(心)’, ‘욕(欲)’과 공자의 인간 이해

The concept of jen(人), chi(己), hsin(心), yok(欲) in Confucius' Jenlogy(仁學)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인(人)’, ‘기(己)’, ‘심(心)’, ‘욕(欲)’과 공자의 인간 이해

The concept of jen(人), chi(己), hsin(心), yok(欲) in Confucius' Jenlogy(仁學)

철학논총 | 59 | 1 | 2010 | 철학

다산 정약용의 『논어』 해석(1): 性개념을 중심으로

Dasan's interpretation of Confucian analects (I)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다산 정약용의 『논어』 해석(1): 性개념을 중심으로

Dasan's interpretation of Confucian analects (I)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James Legge의 『論語』 번역의 특징과 위상

理雅各『論語』翻譯的特徵及其地位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고대 동양 弓문화의 가치와 의의 - 논어를 중심으로 -

The Oriental Archery Culture Focused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인문연구 | 61 | 2011 | 기타인문학

유교의 인성교육론: 공자의 경우와 성리학의 관점

A Study on the Character Education in Confucianism: Focused on the Teachings of Confucius and Afterwards

교육사상연구 | 25 | 3 | 2011 | 교육학

『論語』를 통해 본 전통적 말하기와 글쓰기 - 『戰國策』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ditional Speaking and Writing of {The Discourses of Confucius (論語)}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論語』를 통해 본 전통적 말하기와 글쓰기 - 『戰國策』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ditional Speaking and Writing of {The Discourses of Confucius (論語)}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壺山 朴文鎬의 『論語』 이해와 그 특징 - 『論語集註詳說』 「學而」를 中心으로

Ho San Park Mun Ho's understanding and its features about Analects of Confucius-with a variorum edition of Analects of Confucius(論語集註詳說) Hak-i(學而) as the center figure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壺山 朴文鎬의 『論語』 이해와 그 특징 - 『論語集註詳說』 「學而」를 中心으로

Ho San Park Mun Ho's understanding and its features about Analects of Confucius-with a variorum edition of Analects of Confucius(論語集註詳說) Hak-i(學而) as the center figure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논어의 예악 화용론

A Study on Propriety Amusement’s Pragmatics in the Analects

종교교육학연구 | 35 | 2011 | 종교학

『論語』를 통해 본 전통적 말하기와 글쓰기 - 『戰國策』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ditional Speaking and Writing of {The Discourses of Confucius (論語)}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論語』를 통해 본 전통적 말하기와 글쓰기 - 『戰國策』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ditional Speaking and Writing of {The Discourses of Confucius (論語)}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論語集解』와 『論語集註』의 註釋 比較를 통해 본 『論語』經文의 理解 [2] -<爲政>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on the text of the Analects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Collected Explanations of the Analects and Collected Annotations on the Analects [2]

漢文敎育硏究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論語集解』와 『論語集註』의 註釋 比較를 통해 본 『論語』經文의 理解 [2] -<爲政>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on the text of the Analects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Collected Explanations of the Analects and Collected Annotations on the Analects [2]

漢文敎育硏究 |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論語의 仁:개념분석과 행정학적 함의

Perfect Virtue[仁] of the Analects of Confucius:The Conceptual Analysis and Its Implic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한국행정논집 | 22 | 3 | 2010 | 행정학

論語의 仁:개념분석과 행정학적 함의

Perfect Virtue[仁] of the Analects of Confucius:The Conceptual Analysis and Its Implic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한국행정논집 | 22 | 3 | 2010 | 행정학

『論語』首篇初三句 卮解

유교사상문화연구 | 49 | 2012 | 유교학

義 실천의 근원적 모순과 이에 대한 공자의 고뇌와 선택

Contradictions arising from Appropriate action(義) and Confucius' solutions

유교사상문화연구 | 40 | 2010 | 유교학

義 실천의 근원적 모순과 이에 대한 공자의 고뇌와 선택

Contradictions arising from Appropriate action(義) and Confucius' solutions

유교사상문화연구 | | 40 | 2010 | 유교학

諸註釋을 통해 본 『論語』 經文의 解釋學的 理解〔4〕— 「里仁」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on the text of the Analects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Collected Explanations of the Analects and Collected Annotations on the Analects[4]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의 『논어』 해석 - 주자의 해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伊藤仁齋的<論語>解釋

동양철학연구 | 69 | 2012 | 철학

유가경전해석학과 <논어>의 “해석”

儒敎經典詮釋學,與<論語>的“詮釋”

동양철학연구 | 62 | 2010 | 철학

유가경전해석학과 <논어>의 “해석”

儒敎經典詮釋學,與<論語>的“詮釋”

동양철학연구 | | 62 | 2010 | 철학

《論語》에서의 군자의 인격 경계

Personality realm of Gentleman in Lunyu

중국문학연구 | 44 | 2011 | 중국어와문학

≪論語≫ ‘辭達而已矣’ 句 考察

중국인문과학 | 47 | 2011 | 중국어와문학

諸註釋을 통해 본 『論語』 經文의 解釋學的 理解[5] — 「公冶長」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on the text of the Analects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Collected Explanations of the Analects and Collected Annotations on the Analects[5]

漢文古典硏究 | 24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論語集解』와 『論語集註』의 註釋 比較를 통해 본 『論語』 經文의 理解[3] -「八佾」을 중심으로-

The Understanding on the text of the Analects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Collected Explanations of the Analects and Collected Annotations on the Analects [3]

漢文敎育硏究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술이부작과 온고지신의 교육학적 해석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shu-er-bu-zuo(述而不作) and wen-gu-zhi-xin(溫故知新)

인격교육 | 5 | 2 | 2011 | 기타교육학

『논어』의 시교육론

Theory of Poem Education in the『Confucian Analects』

한국교육사학 | 34 | 3 | 2012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