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 운동

연구분야 : A020105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사회사(역사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934

STNet ID : 9009852

한자 : 農民運動
영어 : a peasant movement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농부 운동 [ 農夫運動 ]

UF (비우선어)

 

 

농민 대회 [ 農民大會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사회 운동 [ 社會運動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인간 문제 () [ 人間問題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청년운동 [ 靑年運動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가나안농군학교 [ --農軍學校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배민수 [ 裵敏洙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동학농민혁명 () [ 東學農民革命 ]

식민지사회와 한국 기독교인들의 근대시민사회 지향 -서북지역인들을 중심으로-

Colonial Society and Korean Christians’ Pursuit of Modern Civil Society -Focusing on the Northwesterners-

숭실사학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식민지사회와 한국 기독교인들의 근대시민사회 지향 -서북지역인들을 중심으로-

Colonial Society and Korean Christians’ Pursuit of Modern Civil Society -Focusing on the Northwesterners-

숭실사학 |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텃밭 공간을 통해 본 여성과 장소의 정치 :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언니네텃밭’ 사업을 중심으로

Women and the Politics of Place through the Space of Kitchen Garden : ‘Sisters’ kitchen garden’ project of the Korean Women Peasant Association

농촌사회 | 21 | 2 | 2011 | 사회학

해방과 전쟁, 그리고 전쟁 이후의 농민운동

Emancipation and War, Peasant Movement after Korean War

농촌사회 | 20 | 1 | 2010 | 사회학

해방과 전쟁, 그리고 전쟁 이후의 농민운동

Emancipation and War, Peasant Movement after Korean War

농촌사회 | 20 | 1 | 2010 | 사회학

1970년대 이후 주류 농민운동의 형성과 도전

The Current of main Peasant Movement since 1970s

농촌사회 | 20 | 1 | 2010 | 사회학

1970년대 이후 주류 농민운동의 형성과 도전

The Current of main Peasant Movement since 1970s

농촌사회 | 20 | 1 | 2010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