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운동

연구분야 : B081200 사회과학 > 사회학 > 정치사회학/사회운동론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971

한자 : 社會運動
영어 : social movement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청소년 운동 [ 靑少年運動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한국 사회 운동 [ 韓國社會運動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여성 운동 () [ 女性運動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대안 세계화 운동 [ 代案世界化運動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생명 운동 () [ 生命運動 ]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환경 보호 운동 [ 環境保護運動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학생 운동 () [ 學生運動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도시 빈민 운동 [ 都市貧民運動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현실 참여 [ 現實參與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기독교 우파 () [ 基督敎右派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농민 운동 [ 農民運動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영화 운동 [ 映畫運動 ]

hasKind (종류)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대중 운동 [ 大衆運動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노동 운동 [ 勞動運動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개화운동 () [ 開化運動 ]

R1:개념적

RT (관련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민중 교회 () [ 民衆敎會 ]

RT (관련어)

 

d03-02 분석방법 분석방법

프레임 분석 () [ --分析 ]

RT (관련어)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정치적 기회 구조 () [ 政治的機會構造 ]

RT (관련어)

 

 

좌익 세력 [ 左翼勢力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공진회 [ 共進會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형평사 운동 [ 衡平社運動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애국계몽주의 [ 愛國啓蒙主義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스케일 정치

온라인 소셜 미디어와 참여적 사회 자본: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연결적 vs. 결속적 이용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 Media on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A Comparative Study of Bridging and Bonding Network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한국방송학보 | 24 | 5 | 2010 | 신문방송학

온라인 소셜 미디어와 참여적 사회 자본: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연결적 vs. 결속적 이용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 Media on Participatory Social Capital: A Comparative Study of Bridging and Bonding Network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한국방송학보 | 24 | 5 | 2010 | 신문방송학

4·18고대생시위 주체의 정체성과 사회운동 전개 -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

The Identity of KU Student Movement’s Leaders and Development of Social Movement - Based on Oral History Data -

史叢(사총)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4·18고대생시위 주체의 정체성과 사회운동 전개 -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

The Identity of KU Student Movement’s Leaders and Development of Social Movement - Based on Oral History Data -

史叢(사총) |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사회운동과 정당정치: 볼리비아 MAS 사례를 중심으로

Social Movements and Political Party: the Case of MAS(Movimiento al Socialismo) of Bolivia

라틴아메리카연구 | 23 | 4 | 2010 | 지역학

사회운동과 정당정치: 볼리비아 MAS 사례를 중심으로

Social Movements and Political Party: the Case of MAS(Movimiento al Socialismo) of Bolivia

라틴아메리카연구 | 23 | 4 | 2010 | 지역학

오방 최흥종의 생애와 민족운동

Life and National Movement of Obang Choi, Heung-jong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臺灣民进黨以意识形态立黨的原因和过程分析-Ⅰ

A Study on the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in Taiwan-Ⅰ

중국학논총 | 30 | 2010 | 중국문화학

臺灣民进黨以意识形态立黨的原因和过程分析-Ⅰ

A Study on the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in Taiwan-Ⅰ

중국학논총 | | 30 | 2010 | 중국문화학

근대 신분제도의 변동과 일상생활의 재편 -형평운동과 백정들의 일상-

Changes in Modern Status System and the Reorganization of Daily Lives - Social Equality Movement and the Daily Lives of Butchers -

동양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 신분제도의 변동과 일상생활의 재편 -형평운동과 백정들의 일상-

Changes in Modern Status System and the Reorganization of Daily Lives - Social Equality Movement and the Daily Lives of Butchers -

동양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SNS에 관한 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쟁점

The Trend and Issues of Sociological Studies of Social Network Service

정보화정책 | 19 | 2 | 2012 | 사회과학

평화권, 아래로부터 만들어지는 인권 : 한국 사회운동의 ‘평화권’ 담론을 중심으로

The Right to Peace, Human Rights from the Grassroots Up : Focused on ‘Right to Peace’ Discourses by Korean Social Movements

경제와 사회 | 91 | 2011 | 사회학

세계시민사회의 성장과 환경운동

The Growth of Global Civil Society and the Role of Environmental Movement

국제정치연구 | 13 | 2 | 2010 | 사회과학

세계시민사회의 성장과 환경운동

The Growth of Global Civil Society and the Role of Environmental Movement

국제정치연구 | 13 | 2 | 2010 | 사회과학

학원안정법파동 연구 - 한국 민주화 이행에서 통치와 정치 그리고 사회운동 일제하 서울시내 광장의 형성과 활용

A Study on the Conflict over the Legislation of Campus Stabilization Act: - Governing, Politics, and Social Movements during the Transition to Democracy in South Korea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1 | 2011 | 사회학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사회운동의 변화: 대안 공론장과 네트워크 포퓰리즘

Social Network Services and the Social Movement: Alternative Public Sphere and Network Populism

동향과 전망 | 84 | 2012 | 사회과학일반

세계사회포럼의 조직과 전략

Organization and Strategies of the World Social Forum

마르크스주의 연구 | 7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세계사회포럼의 조직과 전략

Organization and Strategies of the World Social Forum

마르크스주의 연구 | 7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신문 사설의 보도 프레임 분석을 통한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emaul Undong in the 1970s through the News Frame Analysis of the Newspaper Editorials

한국비교정부학보 | 16 | 1 | 2012 | 행정학

사이버 공간에서의 핵티비즘 전개동향 분석

An Analysis of Developing Trend of Hacktivism in Cyber Space

한국민간경비학회보 | 11 | 1 | 2012 | 경찰행정

에콰도르 원주민 운동의 등장배경과 변천과정: 국민국가형성부터 현재까지

La génesis y el proceso de cambios del movimiento indígena ecuatoriano: desde la formación del Estado nacional hasta el presente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 21 | 2 | 2010 | 스페인어와문학

에콰도르 원주민 운동의 등장배경과 변천과정: 국민국가형성부터 현재까지

La génesis y el proceso de cambios del movimiento indígena ecuatoriano: desde la formación del Estado nacional hasta el presente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 21 | 2 | 2010 | 스페인어와문학

20세기 전반 한인의 일본 이주와 정착 -이주 현지의 사회적 영향을 중심으로-

Koreans’ Immigration and Settlement in Japan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Focusing on Their Social Impact

역사학보 | 212 | 2011 | 역사학

네트워크 사회의 사회적 개인의 발현과 공조: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의제제안, 의제연결, 집단화 과정을 중심으로

Social Individual and Network Cooperation in the Network Society: Focus on Issue Proposal, Issue Link and Grouping

시민사회와 NGO | 9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도시권의 측면에서 바라본 광장의 정치

Analysis of Politics of Agora in the Right to the City

공간과 사회 | 21 | 1 | 2011 | 지리학

2000년대 일본 비정규노동운동의 전개양상

O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Japanense Irregular Labour Movement in 2000’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2 | 2011 | 사회학

公共事件與文本解讀 -以1946年沈崇事件爲中心-

公共事件과 텍스트 해독 -1946年 沈崇事件을 中心으로- the Public Event and the Explanation of Text -the expression of the Chen Chong case in 1946

중국사연구 | 64 | 2010 | 동양사

公共事件與文本解讀 -以1946年沈崇事件爲中心-

公共事件과 텍스트 해독 -1946年 沈崇事件을 中心으로- the Public Event and the Explanation of Text -the expression of the Chen Chong case in 1946

중국사연구 | | 64 | 2010 | 동양사

시민사회 및 사회운동의 지형과 민주주의의 발전 방향: 한국, 필리핀, 칠레의 비교

The Terrains of Civil Society and Social Movements, and the Direction of Democracy: Comparison between Korea, Philippine and Chile

동향과 전망 | 83 | 2011 | 사회과학일반

참여연대를 통해 본 한국 시민운동의 변화: ‘대의의 대행 에서 ‘진보적 공론장의 형성자'로

Changes in Korean Civic Movement through the Lens of PSPD’s Development: From Intermediary of Representation to Producer of the Progressive Public Sphere

기억과 전망 | 26 | 2012 | 사회학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설교의 역사적 배경: 1960년대 미국의 사회운동들과 종교현상들에 대한 강단의 반응

Historical Context for Preaching on the Social Issues : Pulpits’ Responses to the American Social Movements and Religious Phenomena in the 1960s

신학논단 | 63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전문성의 정치와 사회운동 의미와 유형

Politics of Expertise and Social Movements

경제와 사회 | 93 | 2012 | 사회학

지역사회 개혁운동 혹은 소비자 운동? - 춘천지역 로컬푸드 운동의 프레임 변화와 그 현재

Community Reformism or Consumer Activism? - Framing and Frame Bridging in the Case of Local Food Movement in Chooncheon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13 | 2 | 2012 | 사회학

2008년 촛불집회시위의 공간성에 관한 고찰

Analysis on the Spaciality of the 2008 Candlelight Protests in South Korea

경제와 사회 | 90 | 2011 | 사회학

온라인 사회운동의 출현에 따른 사회운동학습 담론의 확장 가능성

Possibilities of Social Movement Learning Discourses Extension Considering Online Social Movement

평생교육학연구 | 18 | 3 | 2012 | 교육학

한국사회의 사회운동과 정치엘리트: 역대국회의원들(제헌국회-18대국회)중 사회운동참여 경험자를 중심으로

Social Movements and Political Elites in Korea: Especially focused on members from 1st to present 18th Korean National Assembly with experiences as social movement activists

한국사회 | 12 | 1 | 2011 | 사회변동/발전사회학

새로운 사회운동 방식을 통한 집단기억의 형성과 유지: 스누라이프에서의 태그달기

Collective Memory Through a New Form of Activism: SNULife and Tagging

기억과 전망 | 26 | 2012 | 사회학

한국 사회운동의 변화와 탈물질주의

The Change in Korean Social Movements and the Post-materialism

Oughtopia (오토피아) | 26 | 3 | 2011 | 기타정치외교학

시민사회의 사회운동 기념물 건립과 표상: ‘5·18’과 ‘5월운동’을 중심으로

Construction and Representation of Memorial on the Social Movement by Civil Society: Focused on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and May-Movement

경제와 사회 | 94 | 2012 | 사회학

사회운동과 언론의 프레임 정렬: 일본군 ‘위안부’ 이슈에 대한 집합행위프레임을 중심으로

Frame Alignment between Social Movements andthe News Media: Collective Action Frames ofthe Japanese ‘Comfort Women’ Issue

미디어, 젠더 & 문화 | 19 | 2011 | 신문방송학

한국사회운동에서 교사운동의 의미와 역할 변화: 전교조의 결성, 변화, 과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and Role Change of the Teacher’s Movement in the Korea Social Movement: Focusing on the Formation, Transformation, and Challenges of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기억과 전망 | 26 | 2012 | 사회학

사회운동과 리더십 : 운동리더십의 이론화를 위한 시론적 모델

한국사회학 | 46 | 2 | 2012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