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

연구분야 : A030400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07

STNet ID : 1000241

한자 :
독일어 : Nietzsche, Friedrich W.
동의어(UF) : 프리드리히 빌렐름 니체
독일어 : Nietzsche
독일어 : Friedrich Nietzsche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니이체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Lyotard, Jean Francois]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고트프리트 벤 [Benn, Gottfried]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야스퍼스 () [Jaspers, Karl Theodor]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질 들뢰즈 () [Deleuze, Gilles]

hasIssue (이슈/주제)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역사 맥락 () [ 歷史脈絡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프리드리히 랑게 [Lange, Friedrich Albert]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베네치아에서의 죽음 (1912) [Death In Venice]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차라투스트라 [Spitama Zarathustra]

미적 주체에 이르는 길―이인성의 『낯선 시간 속으로』를 대상으로

The Way of Reaching Aesthetic Subject

비평문학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독일 철학자의 대립적 불교 이해와 수용

Das gegensätzliche Verstehen und die Rezeption des Buddhismus unter den deutschen Denkern

헤겔연구 | 29 | 2011 | 철학

루키노 비스콘티의 <베니스에서의 죽음>에 나타나는 낭만주의적 세계

Luchino Visconti’s Romantic Interpretation of Death in Venice by Thomas Mann

문학과 영상 | 12 | 2 | 2011 | 영상문학

19세기 독일 역사주의 건축의 사례를 통해 본 심미적 역사주의

The German historicist architecture and the question of aesthetic historicism

韓國史學史學報 | 24 | 2011 | 역사학

영원회귀, 혹은 차이와 반복으로서의 역사 쓰기 -김연수의 『나는 유령작가입니다』에 나타난 역사 서사방식 고찰-

Die Ewige Widerkehr, or Historical Fiction Writing as Difference and Repetition - with a focus on the narrative methodology in The Ghost Writer written by Kim Yeon-su -

우리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원회귀, 혹은 차이와 반복으로서의 역사 쓰기 -김연수의 『나는 유령작가입니다』에 나타난 역사 서사방식 고찰-

Die Ewige Widerkehr, or Historical Fiction Writing as Difference and Repetition - with a focus on the narrative methodology in The Ghost Writer written by Kim Yeon-su -

우리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상상극장에서의 희곡 읽기-몸의 상상력을 활용한 희곡 읽기 방법론-

Reading Plays in the Mental Theater-Utilizing the Body’s Imagination, as a Reading Plays Methodology-

문학교육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게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존재

Das Sein des Dionysischen bei Sokrates und Platon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

헤세의 『나르치스와 골드문트』에 나타난 양극성의 이념과 의지의 문제

Der Polaritätsgedanke und das Willensproblem in Hesses Narziß und Goldmund

헤세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知’의 근대적 전환- 톨스토이 수용을 통해 본 ‘근대지’의 편성과 유통 -

Modern Shift of “Knowledge(知)”: Organization and Circulation of “Modern Knowledge” through the Adoption of Tolstoy

동방학지 | 154 | 2011 | 기타인문학

무용창작에서 ʻ새로움ʼ에 대한 철학적 고찰 - 미셀 포킨의 발레개혁을 중심으로

Philosopical Study of ʻNoveltyʼ in Dance Work - A Focus on the Michel Fokineʼs Ballet Reform

무용역사기록학 | 19 | 2010 | 무용

무용창작에서 ʻ새로움ʼ에 대한 철학적 고찰 - 미셀 포킨의 발레개혁을 중심으로

Philosopical Study of ʻNoveltyʼ in Dance Work - A Focus on the Michel Fokineʼs Ballet Reform

무용역사기록학 | 19 | | 2010 | 무용

폭력의 일상화와 인문치료

Routinization of Violence and Humanities Therapy

윤리교육연구 | 23 | 2010 | 윤리교육학

폭력의 일상화와 인문치료

Routinization of Violence and Humanities Therapy

윤리교육연구 | | 23 | 2010 | 윤리교육학

기억과 망각의 아고니즘 -기억의 정치학을 위한 철학적 예비고찰-

Agonism between Memory and Forgetting

시대와 철학 | 21 | 1 | 2010 | 철학

기억과 망각의 아고니즘 -기억의 정치학을 위한 철학적 예비고찰-

Agonism between Memory and Forgetting

시대와 철학 | 21 | 1 | 2010 | 철학

니체 정치철학과 포스트모던 정치철학 - 워렌의 ‘포스트모던 힘의 철학’에 대한 비판적 숙고

Nietzsche’s Political Philosophy and Postmodern Political Philosophy - A Critical Reconsideration of M. Warren’s ‘Postmodern Philosophy of Power’

니체연구 | 17 | 2010 | 철학

니체 정치철학과 포스트모던 정치철학 - 워렌의 ‘포스트모던 힘의 철학’에 대한 비판적 숙고

Nietzsche’s Political Philosophy and Postmodern Political Philosophy - A Critical Reconsideration of M. Warren’s ‘Postmodern Philosophy of Power’

니체연구 | | 17 | 2010 | 철학

도스또옙스끼의 <영원한 남편>에 나타난 ‘영원성’의 문제 연구

A study on ‘eternity’ in the novel of F. M. Dostoevsky's < The eternal husband>

노어노문학 | 22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도스또옙스끼의 <영원한 남편>에 나타난 ‘영원성’의 문제 연구

A study on ‘eternity’ in the novel of F. M. Dostoevsky's < The eternal husband>

노어노문학 | 22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이병주 소설의 엑조티즘과 대중의 욕망

An Exoticism in the novel of Byung Joo Lee and Desire of public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들뢰즈의 “이접적 종합” ― 신의 죽음 이후 무엇이 오는가? ―

La “synthèse disjonctive” chez Deleuze : qu'est-ce qui arrive après la mort de Dieu ?

철학 | 107 | 2011 | 철학

‘위기’의 미학: 세기전환기 언어성찰과 생산적 글쓰기(1) - 니체와 마우트너의 언어비판을 중심으로

Sprachreflexion und Erneuerung literarischer Schreibweise um die Jahrhundertwende (I) - Sprachkritik bei Nietzsche und Mauthner

카프카 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예이츠의 비극적 환희와 영웅주의

Yeats's Tragic Joy and Heroism

현대영미드라마 | 23 | 2 | 2010 | 현대영미희곡

예이츠의 비극적 환희와 영웅주의

Yeats's Tragic Joy and Heroism

현대영미드라마 | 23 | 2 | 2010 | 현대영미희곡

바타이유의 비정형성 이론에 의한 크라우스의 포스트모더니즘 조각 비평

Krauss' Critique of Postmodernism Sculptures by Bataille's Formlessness Theory

동서철학연구 | 59 | 2011 | 철학

인식과 놀이 ― 칸트의 놀이 개념을 중심으로

Erkenntnis und Spiel ― zum Begriff 'Spiel' bei Kant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인식과 놀이 ― 칸트의 놀이 개념을 중심으로

Erkenntnis und Spiel ― zum Begriff 'Spiel' bei Kant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놀이의 실천철학적 의미- 니체 철학을 중심으로 -

Der praktisch-philosophische Sinn des Spiels- im Mittelpunkt der Philosophie Nietzsches

철학연구 | 122 | 2012 | 철학

조연현 비평과 니체

Yeon-hyeon Cho’s Literary Criticism and Nietzche

니체연구 | 20 | 2011 | 철학

법의 근원의 문제 - 헤겔의 자유의지와 니체의 힘에의 의지

Vom Ursprung des Rechts - der Freie Wille bei Hegel und der Wille zur Macht bei Nietzsche

니체연구 | 18 | 2010 | 철학

법의 근원의 문제 - 헤겔의 자유의지와 니체의 힘에의 의지

Vom Ursprung des Rechts - der Freie Wille bei Hegel und der Wille zur Macht bei Nietzsche

니체연구 | | 18 | 2010 | 철학

세기말 시인숭배 문화 - 게오르게의 니체와 횔덜린 숭배를 중심으로

Dichterverehrung-Kult um 1900 - Nietzsche- und Hölderlin-Kult im Georgekreis

괴테연구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세기말 시인숭배 문화 - 게오르게의 니체와 횔덜린 숭배를 중심으로

Dichterverehrung-Kult um 1900 - Nietzsche- und Hölderlin-Kult im Georgekreis

괴테연구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추’의 가치전도와 ‘추한’ 예술

Die Umwertung des Häßlichen und die häßliche Kunst

뷔히너와 현대문학 | 36 | 2011 | 독일어와문학

예이츠 시에 나타난 니체의 영향

Nietzsche’s influence shown in Yeats’s Poems

한국 예이츠 저널 | 36 | 2011 | 영어와문학

La création de la valeur éthique et l'esthétique de la sculpture de soi : A travers le sujet de l'euthanasie et de la drogue dans le film Les invasions des barbares

윤리적 가치 창조와 자기조형의 미학 : 영화 Les invasions des barbares의 안락사와 마약의 주제를 경유하여

한국프랑스학논집 | 73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예이츠와 니체−아폴로와 디오니소스의 긍정

Yeats and Nietzsche: Affirmation of the Apollonian and the Dionysian

한국 예이츠 저널 | 36 | 2011 | 영어와문학

니체와 스피노자의 생태학적 자연관에 관한 연구 - 스피노자 자연관은 니체 생태 철학의 기원이 될 수 있는가?

Nietzsche and Spinoza’s Ecological View of Nature: Can Spinoza’s View of Nature be the Origin of Nietzsche’s Ecological philosophy?

근대 철학 | 6 | 2011 | 철학

러시아 상징주의와 니체: 가치의 재평가와 미래의 문화 창조

Russian Symbolism and F. Nitzsche: Transvaluation of Values and Creation of Futuristic Culture

노어노문학 | 22 | 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러시아 상징주의와 니체: 가치의 재평가와 미래의 문화 창조

Russian Symbolism and F. Nitzsche: Transvaluation of Values and Creation of Futuristic Culture

노어노문학 | 22 | 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중국 현대 이데올로기와 니체 - 제3차 니체열(熱)의 내용과 함의

Third Syndrome of Nietzsche in Modern China

니체연구 | 21 | 2012 | 철학

도덕(과)교육과 비판적 사고 - 관점주의적 도덕교육

Moral Education and Critical Thinking

니체연구 | 20 | 2011 | 철학

교육적 욕망의 진위에 대하여 -니체의 교육론과 민주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Über die Echtheit des pädagogischen Triebs -Fokussiert auf Nietzsches Bildungstheorie und seine Demokratiekritik-

철학연구 | 44 | 2011 | 철학

니체의 예술생리학과 현대예술 - 플럭서스 운동을 중심으로 -

Nietzsches Physiologie der Kunst und die moderne Kunst - Im Mittelpunkt der Fluxus Bewegung -

철학연구 | 120 | 2011 | 철학

니체의 관점주의에 대한 로티의 해석

Rorty’s Interpretation of Nietzschean Perspectivism

니체연구 | 17 | 2010 | 철학

니체의 관점주의에 대한 로티의 해석

Rorty’s Interpretation of Nietzschean Perspectivism

니체연구 | | 17 | 2010 | 철학

니체와 문학적 공동체

Nietzsche’s thoughts and Literary Community

니체연구 | 20 | 2011 | 철학

니체 중국 수용의 이중성 - 현대 중국 사상의 표상을 중심으로

Duplicity of ‘Chinaization’ of Nietzsche in Modern China

니체연구 | 18 | 2010 | 철학

니체 중국 수용의 이중성 - 현대 중국 사상의 표상을 중심으로

Duplicity of ‘Chinaization’ of Nietzsche in Modern China

니체연구 | | 18 | 2010 | 철학

DER TROST IN DER PHILOSOPHIE NIETZSCHES Eine Anleitung zum „Frieden der Seele“

니체연구 | 21 | 2012 | 철학

니체와 쇼펜하우어에 있어서 예술의 치료적 양면성 - 성중독과 관련하여 -

The Therapeutic Double-sidedness of Art in Nietzsche and Schopenhauer: Concerning Sex Addiction

니체연구 | 19 | 2011 | 철학

니체 철학에서 본 인식의 문제-진리개념을 중심으로-

Über das Problem der Erkenntnis in der Philosophie von F. Nietzsche -Fokussiert auf den Begriff der Wahrheit-

철학연구 | 42 | 2011 | 철학

니체와 이탁오 - 광자정신을 중심으로 -

Li-zhi and Nietzsche in Lunatic spirit

양명학 | 27 | 2010 | 철학

니체와 이탁오 - 광자정신을 중심으로 -

Li-zhi and Nietzsche in Lunatic spirit

양명학 | | 27 | 2010 | 철학

„SCHWANGER GEHT DIE MENSCHHEIT“ - Nietzsches Philosophie des Leibes und der Zukunft

니체연구 | 19 | 2011 | 철학

주권적 개인들의 공동체를 향하여 - 니체의 ‘위대한 정치’의 현재적 의의

Towards a community of sovereign individuals - a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Nietzsche’s great politics

니체연구 | 18 | 2010 | 철학

주권적 개인들의 공동체를 향하여 - 니체의 ‘위대한 정치’의 현재적 의의

Towards a community of sovereign individuals - a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Nietzsche’s great politics

니체연구 | | 18 | 2010 | 철학

니체는 헤라클레이토스를 오해했는가?- 니체의 헤라클레이토스 해석 -

Hat Nietzsche Heraklit missverstanden?- Nietzsches Heraklit-Interpretation -

철학연구 | 114 | 2010 | 철학

니체는 헤라클레이토스를 오해했는가?- 니체의 헤라클레이토스 해석 -

Hat Nietzsche Heraklit missverstanden?- Nietzsches Heraklit-Interpretation -

철학연구 | 114 | | 2010 | 철학

니체의 인과 비판과 주체의 문제 - 기연주의적 요소를 통한 ‘힘에의 의지’의 비인과성 고찰

Nietzsches Kritik am Kausalismus und das Subjekt-Problem - In Bezug auf Occasionalismus und Nietzsches Wille zur Macht

니체연구 | 17 | 2010 | 철학

니체의 인과 비판과 주체의 문제 - 기연주의적 요소를 통한 ‘힘에의 의지’의 비인과성 고찰

Nietzsches Kritik am Kausalismus und das Subjekt-Problem - In Bezug auf Occasionalismus und Nietzsches Wille zur Macht

니체연구 | | 17 | 2010 | 철학

불교와 그리스도교에 대한 니체의 견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에리히 프롬과의 비교를 통해서-

A Critical Examination of Nietzsche’s View on Buddhism and Christianity -Through the Comparison with Erich Fromm’s View-

현대유럽철학연구 | 27 | 2011 | 서양철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Moral Naturalism and Ethics of the Bad - A Naturalistic Reconstruction of Nietzsche’s Ethics

철학연구 | 121 | 2012 | 철학

니체의 아리스토텔레스 비판과 비극론

Nietzsches Kritik an Aristoteles und seine Trgödientheorie

드라마 연구 | 35 | 2011 | 연극이론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자연관에 의한 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by Nietzsche's Dionysian Outlook on Natur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3 | 2011 | 디자인

니체의 비극론을 통한 한국에서의 그리스 비극 공연 연구

A Study of the Greek Tragedies in Korea by Using Nietzsche’s Theory of Tragedy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2 | 2012 | 기타인문학

니체 철학에서 본 생명의 문제

Über den Begriff des Lebens in der Philosophie von F. Nietzsche

철학연구 | 39 | 2010 | 철학

니체 철학에서 본 생명의 문제

Über den Begriff des Lebens in der Philosophie von F. Nietzsche

철학연구 | | 39 | 2010 | 철학

니체 이해의 한 시도 - 정의 개념을 중심으로

Ein Versuch des Verstehens von Nietzsche - fokussiert auf den Begriff der Gerechtigkeit

니체연구 | 17 | 2010 | 철학

니체 이해의 한 시도 - 정의 개념을 중심으로

Ein Versuch des Verstehens von Nietzsche - fokussiert auf den Begriff der Gerechtigkeit

니체연구 | | 17 | 2010 | 철학

니체의 예술사상에서 본 현대적 무용의 해석

An Exploration on Developmental Meaning of Contemporary Dance in Nietzsche's ideology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2 | 2010 | 체육

니체의 예술사상에서 본 현대적 무용의 해석

An Exploration on Developmental Meaning of Contemporary Dance in Nietzsche's ideology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2 | 2010 | 체육

니체와 하이데거 사상의 비교고찰 -자연관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Nietzsche and Heidegger -Focusing on Their View on the Nature-

현대유럽철학연구 | 25 | 2011 | 서양철학

니체철학의 사회철학적 전망, 정의론

Sociophilosophical perspective of the philosophy of Nietzsche, Theory of justice

사회와 철학 | 19 | 2010 | 철학일반

니체철학의 사회철학적 전망, 정의론

Sociophilosophical perspective of the philosophy of Nietzsche, Theory of justice

사회와 철학 | | 19 | 2010 | 철학일반

도가의 철학성 소고 -니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Laozi, Zhuangzi and Nietzsche -The Reinterpretation of the Philosophy of Laozhuang-

도교문화연구 | 35 | 2011 | 종교학

니체철학에서 양심의 가책 -『도덕의 계보』「제2논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d Conscience in Nietzsche's Philosophy : Focusing on the "Second Essay" of Genealogy of Morals

범한철학 | 66 | 3 | 2012 | 철학

프리드리히 니체의 비스마르크 비판

Friedrich Nietzsches Critique on Bismarck

니체연구 | 19 | 2011 | 철학

니체의‘디오니소스적인 것’과 한국무용

Exploration on Korean dance through Nietzsche's 'The Dionysian'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2 | 2011 | 체육

니체 - 미학적 사유의 선구자

Nietzsche - Vorläufer des ästhetischen Denkens

뷔히너와 현대문학 | 37 | 2011 | 독일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