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들뢰즈

연구분야 : A030499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 기타서양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695

STNet ID : 9001372

한자 :
프랑스어 : Deleuze, Gilles
프랑스어 : Gilles Deleuze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들뢰즈 () [Deleuze]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Z99 기타주제어 기타주제어

들뢰즈와 가타리 [Deleuze and Guattari]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니체 () [Nietzsche, Friedrich W.]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Weerasethakun, Apichatpong]

RT (관련어)

 

C02 심리 심리

기억상실증의 증인 [ 記憶喪失症--證人 ]

RT (관련어)

관련 인물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하이퍼텍스트 시 [ --詩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가타리 [Guattari, Pierre-Felix]

RT_Y (◄관련어)

관련 인물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사건성 [ 事件性 ]

은유와 유동의 기호학 ― 周易

중국어문학지 | 37 | 2011 | 중국어와문학

박영근의 「김미순전」에 나타난 들뢰즈적 ‘정동’의 연극성

The Theatricality of Deleuze's Emotional Movement(JeongDong) in Park YoungKeun's Kim Mi-Soon Jeon

영주어문 | 24 | 2012 | 기타국문학

미적 주체에 이르는 길―이인성의 『낯선 시간 속으로』를 대상으로

The Way of Reaching Aesthetic Subject

비평문학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들뢰즈의 씨네마톨로지: 이미지의 발생과 소멸

Deleuzian Cinematology: The Emergence and Extinction of Image

비교문학 | 53 | 2011 | 인문학

몽타주 개념의 현대적 확장 -들뢰즈의 논의를 중심으로-

Modern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ontage’ -Centering on the Deleuzian Philosophy of Cinema-

시대와 철학 | 22 | 4 | 2011 | 철학

Eco’s The Name of the Rose: The Relevance of the Neo-Baroque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과 네오 바로크

비교문학 | 50 | 2010 | 인문학

Eco’s The Name of the Rose: The Relevance of the Neo-Baroque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과 네오 바로크

비교문학 | | 50 | 2010 | 인문학

이미지와 텍스트의 해체적 실행으로서의 게리 힐의 비디오 아트: 80년대까지의 싱글채널 비디오 작품을 중심으로

Gary Hill's video art in 1980's as destructive execution of image and text

미술이론과 현장 | 12 | 2011 | 미술

영화와 관객론 — 들뢰즈 이론을 중심으로

Le film et son spectateur

불어불문학연구 | 90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자본주의 시대의 욕망과 진실의 길항 : 전도연의 「밀양」과 「하녀」를 중심으로

The rivalry between desire and truth in the capitalistic society:「Secret Sunshine」 and 「The Housemaid」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자본주의 시대의 욕망과 진실의 길항 : 전도연의 「밀양」과 「하녀」를 중심으로

The rivalry between desire and truth in the capitalistic society:「Secret Sunshine」 and 「The Housemaid」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예언과 시뮬라크르- 시뮬라크르 개념으로 살펴보는 에스겔서 40-48장의 환상

Prophecy and Simulacre- A Study on the Vision of Ezekiel 40-48 according to the Concept of Simulacre

신학사상 | 154 | 2011 | 기독교신학

슈퍼히어로 코믹의 반복과 다양체적 형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épétition and Multiplicité of Superhero Comics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28 | 2012 | 예술일반

The Challenge for Art|Education: The Digitalized World of New Media

미술과 교육을 위한 도전: 디지털화된 새 미디어 세상

미술과 교육 | 13 | 2 | 2012 | 미술이론

SANAA의 건축에 나타난 잠재성 공간구축에 관한 연구 - 교육·문화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truction of The Virtual Space in Kazuyo Sejima & Nishizawa Ryue's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Planning of Education&Cultural Facilities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36 | 2011 | 기타예술체육

영화를 통한 타자성 지향의 글쓰기 교육

The Writing Education toward Alterity through the Movie

국어교육 | 1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언어, 번역 그리고 정체성 −베르만(Berman), 베누티(Venuti) 그리고 들뢰즈(Deleuze)의 번역론을 중심으로

Language, Translation and Identity

통번역학연구 | 13 | 2 | 2010 | 통역번역학

언어, 번역 그리고 정체성 −베르만(Berman), 베누티(Venuti) 그리고 들뢰즈(Deleuze)의 번역론을 중심으로

Language, Translation and Identity

통번역학연구 | 13 | 2 | 2010 | 통역번역학

백석의 初期詩에 나타난 換喩的 발상과 表現 연구 -「여우난곬族」 중심으로-

A Study of the Meaning of Metonymical Expression in Baek-Seok's Poetry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왕가위의 <화양연화>: ‘잃어버린 시간’과 ‘되찾은 시간’

Wong Kar Wai’s In the Mood for Love: Lost time and Time regained

문학과 영상 | 11 | 3 | 2010 | 영상문학

왕가위의 <화양연화>: ‘잃어버린 시간’과 ‘되찾은 시간’

Wong Kar Wai’s In the Mood for Love: Lost time and Time regained

문학과 영상 | 11 | 3 | 2010 | 영상문학

타르코프스키의 『거울』에 나타난 시간의 형상화에 대한 질 들뢰즈적 분석

A Deleuzian Analysis of Time in Tarkovsky's “Mirror”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타르코프스키의 『거울』에 나타난 시간의 형상화에 대한 질 들뢰즈적 분석

A Deleuzian Analysis of Time in Tarkovsky's “Mirror”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압살롬, 알살롬!』 : 감응을 통한 역사의 재구성

Absalom, Absalom! : Reconstruction of the past through Affects

영어권문화연구 | 4 | 2 | 2011 | 기타영문학

한국 탈춤의 현대 생명미학Ⅰ -탈춤과 잔혹극의 비교를 중심으로-

Korean Talchoom's modern life esthetics I

연극교육연구 | 20 | 20 | 2012 | 연극교육

베케트의 『쿼드』: 광학적 기하학의 세계

Beckett’s Quad: The World of Optical Geometry

비평과이론 | 16 | 2 | 2011 | 영어와문학

크리스 마르케의 <태양 없이 Sans Soleil>에 나타난 시간의 재현 방식 연구

Étude sur La Représentation du Temps dans Sans Soleil de Chris Marker

한국프랑스학논집 | 72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공간과 영토의 미학적 변용과 문화 콘텐츠 - 프로젝트 제안과 함께 -

Une Variation esthétique sur l’espace/le territoire et les contenus culturelsavec la proposition du projet: dans le domaine de l’art publique

인문콘텐츠 | 25 | 2012 | 기타인문학

부정적 교육열로부터의 탈주와 아동의 교육권 찾기: 들뢰즈와 불교 욕망론이 주는 시사점 탐구

Escaping from Educational Fervor and Searching for Children's Rights to Education:The Implications of the Theories of Desire from Deleuze and the Buddhism

아동과 권리 | 15 | 4 | 2011 | 교육학

들뢰즈의 시뮬라크르를 통한 문화 분석 시론

An Introductory Study on Cultural Analysis through Deleuze’s Concept of the Simulacrum

인문콘텐츠 | 22 | 2011 | 기타인문학

《한여름 밤의 꿈》의 숲-장소와 질 들뢰즈의 잠재성

Forest - a place of《A Midsummer Night's Dream》and Gilles Deleuze's virtuality

연극교육연구 | 17 | 2010 | 연극교육

《한여름 밤의 꿈》의 숲-장소와 질 들뢰즈의 잠재성

Forest - a place of《A Midsummer Night's Dream》and Gilles Deleuze's virtuality

연극교육연구 | 17 | | 2010 | 연극교육

영화 ‘킬빌(Kill Bill 1/2)’의 이접(異接)적인 시/공간 구성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and Temporal Disjunctive Composition in the movie 'Kill Bill part 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4 | 2012 | 디자인

정신적 자동장치란 무엇인가? - 데카르트, 스피노자, 들뢰즈 -

What Is a Spiritual Automaton? Descartes, Spinoza, Deleuze

철학논집 | 28 | 2012 | 철학

니체의 힘에의 의지 개념

Nietzsche’s concept of will to power

니체연구 | 17 | 2010 | 철학

니체의 힘에의 의지 개념

Nietzsche’s concept of will to power

니체연구 | | 17 | 2010 | 철학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정오의 낯선 물체>의 구조적 특징의 분석을 통한 현대정치영화적 함의 : 들뢰즈의 ‘이야기 꾸며대기’ 개념과 ‘집단적 발화의 배치’ 개념을 중심으로

The Modern Political Cinematic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of Structural Features in Mysterious Object at Noon by Apichatpong Weerasethakul -Centering on Deleuzian concept of ‘fabulation’ and ‘assemblage of colletive utterances’-

영상예술연구 | 17 | 2010 | 기타예술체육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정오의 낯선 물체>의 구조적 특징의 분석을 통한 현대정치영화적 함의 : 들뢰즈의 ‘이야기 꾸며대기’ 개념과 ‘집단적 발화의 배치’ 개념을 중심으로

The Modern Political Cinematic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of Structural Features in Mysterious Object at Noon by Apichatpong Weerasethakul -Centering on Deleuzian concept of ‘fabulation’ and ‘assemblage of colletive utterances’-

영상예술연구 | | 17 | 2010 | 기타예술체육

세계의 그림자 더블유(W): 『자장가』의 어머니-타자되기

‘W’ As a Shadow of the World: Becoming M/other in Rockaby

비평과이론 | 15 | 2 | 2010 | 영어와문학

세계의 그림자 더블유(W): 『자장가』의 어머니-타자되기

‘W’ As a Shadow of the World: Becoming M/other in Rockaby

비평과이론 | 15 | 2 | 2010 | 영어와문학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프리미티브 프로젝트>의 구조: ‘억압된 기억의 환기’로서의 ‘경계 허물기’ 전략

The Structure of Apichatpong Weerasethakul’s Primitive Project-An Analysis of the Strategy ‘Breaking Down the Border’ as a ‘Ventilation of Oppressed Memory’-

영상예술연구 | 19 | 2011 | 기타예술체육

들뢰즈에 있어 형상(形象)의 미학이란 무엇인가? – 『감각의 논리』(1981)에 나타난 회화적 존재론을 중심으로

Qu'est ce que l'esthétique de la figure chez Deleuze?

美學(미학) | 64 | 2010 | 철학

들뢰즈에 있어 형상(形象)의 미학이란 무엇인가? – 『감각의 논리』(1981)에 나타난 회화적 존재론을 중심으로

Qu'est ce que l'esthétique de la figure chez Deleuze?

美學(미학) | | 64 | 2010 | 철학

추상성, 상상력 그리고 무의미 - 콜리지, 스티븐스 그리고 들뢰즈

Abstraction, Imagination and Nonsense - Coleridge, Stevens and Deleuze

영미어문학 | 104 | 2012 | 영어와문학

숭고 이미지의 예술철학적 의미

Die kunstphilosophische Bedeutung der erhabenen Image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포스트 휴머니즘의 급진적 운동성― 얼굴 형상의 탈구(dislocation)로서의 탈 인간화 작업 ―

La radicalité de la pensée post humaine -la dislocation du visage humain en tant que modalité de la déshumanisation-

철학논집 | 26 | 2011 | 철학

들뢰즈의 영화기호론

Etudes sur la sémiotique du film d'après Gilles Deleuze

기호학 연구 | 32 | 2012 | 언어학

웨인 맥그레거의 「독립체」에 나타나는 몸에 대한 시각 -질 들뢰즈의 ‘기관 없는 신체’와 ‘탈구적 실행’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Perspective of Body Presenting in Wayne Mcgregor's 「Entity」-Focusing on Deleuze's 'bodies without organ' and 'disjointed ptactice'-

무용예술학연구 | 37 | 37 | 2012 | 무용

D. H. 로렌스와 (기관 없는)신체

D. H. Lawrence and the Body (Without Organs)

비교문학 | 50 | 2010 | 인문학

D. H. 로렌스와 (기관 없는)신체

D. H. Lawrence and the Body (Without Organs)

비교문학 | | 50 | 2010 | 인문학

2000년대 이후 오태석 연극에 나타난 동물 연구-‘동물-되기’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f Animals in O TAE-SUK’S Theatre Since 2000 -applying Deleuze's ‘animal-becoming(devenir)’-

한국연극학 | 1 | 46 | 2012 | 연극

들뢰즈의 기호론에 따른 문학교육 방법 탐색

A study of a literature education method based on G. Deleuze's theory of sign

인문연구 | 64 | 2012 | 기타인문학

자본주의, 정의, 그리고 욕망-생산: 데리다와 들뢰즈, 그리고 마르크스의 유산

Capitalism, Justice and Desiring Production: Derrida, Deleuze, and Legacy of Marx

비평과이론 | 17 | 1 | 2012 | 영어와문학

들뢰즈의 얼굴해체하기를 통해 본 권진규의 인물 조각

Kwon Jin Gyu's Figure Sculptures Based on the Theory ‘Deconstruct-face’ of Gilles Deleuze

교양교육연구 | 6 | 1 | 2012 | 학제간연구

예술의 진정성에 대한 탐색: 나오미 아이주카의 『36개의 관점』

Authenticity of Art in Naomi Iizuka's 36 Views

현대영미드라마 | 25 | 1 | 2012 | 현대영미희곡

『아들과 연인』에 나타난 폴의 활력과 자본주의 비판

Paul’s Vitality and Critique of Capitalism in Sons and Lovers

D.H. 로렌스 연구 | 19 | 2 | 2011 | 영어와문학

영화 <파주>의 크리스탈-이미지 연구

A Study of the Image-Crystal in the Film Paju

영상문화 | 15 | 2010 | 학제간연구

영화 <파주>의 크리스탈-이미지 연구

A Study of the Image-Crystal in the Film Paju

영상문화 | | 15 | 2010 | 학제간연구

문학의 정치성: 랑시에르의 들뢰즈 비판에 대하여

The Politics of Literature: On Ranciére’s Critique of Deleuze

비평과이론 | 15 | 2 | 2010 | 영어와문학

문학의 정치성: 랑시에르의 들뢰즈 비판에 대하여

The Politics of Literature: On Ranciére’s Critique of Deleuze

비평과이론 | 15 | 2 | 2010 | 영어와문학

로렌스의 사유-모험연구: 들뢰즈의 초월적 경험론을 중심으로

A Study of D. H. Lawrence’s Thought-Adventure: From the Viewpoint of Deleuze’s Transcendental Empiricism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로렌스의 사유-모험연구: 들뢰즈의 초월적 경험론을 중심으로

A Study of D. H. Lawrence’s Thought-Adventure: From the Viewpoint of Deleuze’s Transcendental Empiricism

영어영문학연구 | 52 | 1 | 2010 | 영어와문학

들뢰즈의 포획론에 입각한 학업성취도평가 교육정책 분석

A Study o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ith Deleuze’s Capture Theory

교육사상연구 | 24 | 2 | 2010 | 교육학

들뢰즈의 포획론에 입각한 학업성취도평가 교육정책 분석

A Study o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ith Deleuze’s Capture Theory

교육사상연구 | 24 | 2 | 2010 | 교육학

플라톤과 들뢰즈 철학에서의 ‘문제’의 성격 탐색 - ‘재현의 교육’ 대 ‘생성의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ture of Problems in Plato & Deleuze's Philosophies

아시아교육연구 | 13 | 1 | 2012 | 교육학

윌리엄 포사이드의 몸에 대한 시각 연구

A Study on Perspective of Body Presenting in William Forsythe’s Works

무용예술학연구 | 35 | 35 | 2012 | 무용

화이트헤드와 들뢰즈: 대화가능성의 모색

Whitehead and Deleuze: Groping for the Possibility of Dialogue

화이트헤드 연구 | 21 | 2010 | 서양철학일반

화이트헤드와 들뢰즈: 대화가능성의 모색

Whitehead and Deleuze: Groping for the Possibility of Dialogue

화이트헤드 연구 | | 21 | 2010 | 서양철학일반

프루스트와 크리스탈-이미지

Proust et l’image-cristal

한국프랑스학논집 | 78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들뢰즈(G. Deleuze)의 사유를 통해 본 무용예술에서의 유목적 신체에 관한 논의 - 필립 드쿠플레(P. Decouflé)의「샤잠 Shazam」을 중심으로 -

Discussion about the Nomadic Body in Dance Ar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ought of G. Deleuze - Focusing on Philippe Decouflé’s「 Shazam」-

무용예술학연구 | 32 | 32 | 2011 | 무용

세계 창조에 관한 세 가지 유형들- ‘가능적인 것’과 ‘잠재성들’ 그리고 ‘여래장’ -

Three Patterns on World-Creation: The Potential, Virtualities, and Tathagatagarbha

화이트헤드 연구 | 23 | 2012 | 서양철학일반

잠재적 혁명가로서의 바알 -들뢰즈 연극미학으로 본 브레히트 초기 연극

Baal als virtueller Revolusionär - Das Frühwerk Bertolt Brechts aus dem Blickwinkel der Theaterästhetik von Gilles Deleuze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베르그손 <지속> 이론의 근본적인 변화: 시간 구성에 있어서 미래의 주도적 역할

A Radical Change of Bergson’s Theory of Duration: The Role of Future in the Constitution of Time

철학연구 | 95 | 2011 | 철학

더블유 에스 머윈과 들뢰즈의 기억

W. S. Merwin and Deleuzean Memory

영미어문학 | 104 | 2012 | 영어와문학

들뢰즈의 관점으로 존 애쉬베리 읽기

A Deleuzian Reading of John Ashbery

영미어문학 | 98 | 2011 | 영어와문학

쟝 쥬네의《발코니》공간과 질 들뢰즈의 구멍 뚫린 공간

Jean Genet's space in《Le Balcon》and Deleuze's "espace troué"

연극교육연구 | 16 | 2010 | 연극교육

쟝 쥬네의《발코니》공간과 질 들뢰즈의 구멍 뚫린 공간

Jean Genet's space in《Le Balcon》and Deleuze's "espace troué"

연극교육연구 | 16 | | 2010 | 연극교육

들뢰즈의 존재론에 함축된 내재적인 동일성의 운동

Le mouvement de l'identité immanente impliqué dans l'ontologie de Deleuze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들뢰즈의 존재론에 함축된 내재적인 동일성의 운동

Le mouvement de l'identité immanente impliqué dans l'ontologie de Deleuze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노마드적 관점에서 본 전통 정자의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tential for Korean Traditional Pavilion from the Perspective of Nomad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6 | 2010 | 디자인

노마드적 관점에서 본 전통 정자의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tential for Korean Traditional Pavilion from the Perspective of Nomad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6 | 2010 | 디자인

들뢰즈 철학에서 ‘배움’과 ‘가르침’의 의미와 관계 탐색

A study on the meaning and the relation of learning and teaching in G. Deleuze's philosophy

교육학연구 | 50 | 3 | 2012 | 교육학

주체 없는 공동체: 상상적 전회를 통한 들뢰즈의 내기

Community without Subjects: What is at Stake in Deleuze’s Imaginary Turn

현대정신분석 | 12 | 2 | 2010 | 기타인문학

주체 없는 공동체: 상상적 전회를 통한 들뢰즈의 내기

Community without Subjects: What is at Stake in Deleuze’s Imaginary Turn

현대정신분석 | 12 | 2 | 2010 | 기타인문학

들뢰즈의 표현적 유물론

Deleuze’s Expressive Materialism

철학사상 | 45 | 2012 | 철학

아키그램의 작품에 나타난 공간디자인의 노마돌로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madology of Spacial Design as shown in the Projects of Archigram

기초조형학연구 | 11 | 2 | 2010 | 예술일반

아키그램의 작품에 나타난 공간디자인의 노마돌로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madology of Spacial Design as shown in the Projects of Archigram

기초조형학연구 | 11 | 2 | 2010 | 예술일반

반복에 대한 순수 과거의 이중적 관계

The ambiguity of the pure past in relation to the repetition

철학 | 112 | 2012 | 철학

들뢰즈의 존재론: 작은 대립과 큰 대립, 작은 종합과 큰 종합의 존재론

L’ontologie de Deleuze : L’ontologie fondée sur la petite opposition, la grande opposition, la petite synthèse et la grande synthèse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들뢰즈의 존재론: 작은 대립과 큰 대립, 작은 종합과 큰 종합의 존재론

L’ontologie de Deleuze : L’ontologie fondée sur la petite opposition, la grande opposition, la petite synthèse et la grande synthèse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들뢰즈 영화철학에서의 이미지론

De l'image dans la philosophie cinémathographique chez G. Deleuze

철학연구 | 117 | 2011 | 철학

들뢰즈의 유목주의와 그 교육적 함의

Deleuze's Nomadism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교육철학연구 | 48 | 2010 | 교육학

들뢰즈의 유목주의와 그 교육적 함의

Deleuze's Nomadism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교육철학연구 | | 48 | 2010 | 교육학

들뢰즈 관점에서 본 푸코의 권력 이미지

Foucault’s Power Image in the Viewpoint of Deleuze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3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들뢰즈 관점에서 본 푸코의 권력 이미지

Foucault’s Power Image in the Viewpoint of Deleuze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3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질 들뢰즈의 『영화1: 운동-이미지』에서 운동과 전체에 대하여

About The movement and the Whole in Gilles Deleuze's Cinema

인문사회과학연구 | 30 | 2011 | 학제간연구

들뢰즈의 영화론에 있어서 신체의 문제

Problématique du corps dans la théorie cinémathographique de G. Deleuze

철학연구 | 113 | 2010 | 철학

들뢰즈의 영화론에 있어서 신체의 문제

Problématique du corps dans la théorie cinémathographique de G. Deleuze

철학연구 | 113 | | 2010 | 철학

들뢰즈의 질료적 예술론 연구: 베이컨, 세잔, 폴록의 회화를 중심으로

Artists' Thinking from Deleuze's Point of View

인문과학연구 | 25 | 2010 | 기타인문학

들뢰즈의 질료적 예술론 연구: 베이컨, 세잔, 폴록의 회화를 중심으로

Artists' Thinking from Deleuze's Point of View

인문과학연구 | | 25 | 2010 | 기타인문학

들뢰즈의 시간-이미지 또는 이미지로서의 시간

Das Zeit-Bild von Gilles Deleuze. Bild als Zeit

뷔히너와 현대문학 | 35 | 2010 | 독일어와문학

들뢰즈의 시간-이미지 또는 이미지로서의 시간

Das Zeit-Bild von Gilles Deleuze. Bild als Zeit

뷔히너와 현대문학 | | 35 | 2010 | 독일어와문학

이미지의욕과 추상적 생명: 리히터의 나노세계 그리고 바이오 아트

Bildwollen and the Abstract Life: Interface between Gerhard Richter’s Nanoworld and Bio Art

미술사학보 | 34 | 2010 | 미술

이미지의욕과 추상적 생명: 리히터의 나노세계 그리고 바이오 아트

Bildwollen and the Abstract Life: Interface between Gerhard Richter’s Nanoworld and Bio Art

미술사학보 | | 34 | 2010 | 미술

Autour du concept du devenir-araignée : post-pensées deleuziennes sur Proust

질 들뢰즈의 후기 프루스트론 연구 - ‘거미-되기’를 중심으로 -

프랑스 문화 연구 | 24 | 2012 | 프랑스문화학

자하 하디드의 해체건축에 나타난 노마디즘의 존재론적 해석 - 들뢰즈의 존재론을 중심으로 -

Nomadism of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of Zaha Hadid Based on the Ontology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들뢰즈 철학에서의 ‘배움’의 의미 탐색

A Study on the Meaning of Learning in Gilles Deleuze‘s Philosophy

초등교육연구 | 24 | 1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