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유해 매체물

연구분야 : B130412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소비자/보호법
B130203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형법

클래스 : 물품/제품/생산품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526

한자 : 靑少年有害媒體物
영어 : content harmful to juveniles

a04-01 물품/제품/생산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유해 매체 [ 有害媒體 ]

N1:종류

hasKind (종류)

 

 

청소년 유해 약물 [ 靑少年有害藥物 ]

hasKind (종류)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음란물 [ 淫亂物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음란성 [ 淫亂性 ]

hasIssue (이슈/주제)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인터넷 광고 [ --廣告 ]

RT (관련어)

관련제도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청소년 보호법 [ 靑少年保護法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청소년 안전 () [ 靑少年安全 ]

인터넷 자율규제의 법적 의의

Jurisprudential Significance of Internet Self-Regulation

저스티스 | 116 | 2010 | 기타법학

인터넷 자율규제의 법적 의의

Jurisprudential Significance of Internet Self-Regulation

저스티스 | | 116 | 2010 | 기타법학

미국의 청소년게임규제와 위헌성논의, 그리고 그 평가와 시사 - 캘리포니아주 ‘청소년폭력비디오게임금지법’을 중심으로 -

Restriction on Video Game to Minorsin the US and its Unconstitutionality,its Estimation and Suggestion

법조 | 61 | 8 | 2012 | 법학

스마트 콘텐츠의 중복규제에 대한 고찰

A study on redundant regulations of smart contents

법학연구 | 52 | 4 | 2011 | 기초법

청소년 유해환경에 대한 형사정책적 고찰 - 청소년 유해매체물(음반물, 게임물, 비디오물)을 중심으로-

Criminal Policy Considerations on Harmful Environments for Minors - Harmful Media Content(Music, Games and Videos)-

형사법의 신동향 | 33 | 2011 | 형법

청소년 유해 매체물에 대한 방송사 자율규제에 관한 연구: 자율심의제 정착방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lf-regulations System in the Korean Broadcasting Environment: Focused on the Seeking Solutions for the Self-deliberation.

방송통신연구 | 76 | 2011 | 신문방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