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비스

연구분야 : B141002 사회과학 > 행정학 > 분야별행정 > 사회복지행정
B090110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사회복지학일반 > 사회복지행정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654

한자 : 社會--
영어 : social services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공공 사회서비스 [ 公共社會-- ]

UF (비우선어)

 

 

사회적 서비스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지역사회 서비스 [ 地域社會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 () [ 敎育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주택 공급 () [ 住宅供給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공중 위생 [ 公衆衛生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의료 보장 [ 醫療保障 ]

hasKind (종류)

 

 

소득 보장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회 보험 [ 社會保險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재원확보 [ 財源確保 ]

hasIssue (이슈/주제)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불평등도 [ 不平等度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사회적 기업 종사자 () [ 社會的企業從事者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사회 봉사 선교 () [ 社會奉仕宣敎 ]

RT (관련어)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a04-06 도구/수단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회 서비스 바우처 [ 社會--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공공 서비스 [ 公共--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복지권 운동 [ 福祉權運動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a04-06 도구/수단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바우처 [voucher]

사회적기업 지원을 위한 법제도의 개선

Reform Proposal for the Support of the Social Enterprise in Korea

법학논총 | 24 | 3 | 2012 | 기타법학

사회서비스 바우처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고객만족도 영향요인 : 산모신생아도우미서비스를 중심으로

Effective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Caretaker Voucher Service for Postpartum Women and Infants

지방정부연구 | 13 | 4 | 2010 | 행정학

사회서비스 바우처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고객만족도 영향요인 : 산모신생아도우미서비스를 중심으로

Effective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Caretaker Voucher Service for Postpartum Women and Infants

지방정부연구 | 13 | 4 | 2010 | 행정학

우리나라 노인요양사 인력 문제와 대안적인 요양인력모델의 모색

Problems of Long-term Care Worker for the Elderly and Search for Alternative Model and Policy Improvements in Korea

한국사회정책 | 17 | 3 | 2010 | 의료/복지/사회정책

우리나라 노인요양사 인력 문제와 대안적인 요양인력모델의 모색

Problems of Long-term Care Worker for the Elderly and Search for Alternative Model and Policy Improvements in Korea

한국사회정책 | 17 | 3 | 2010 | 의료/복지/사회정책

유럽연합의 거버넌스와 시민사회의 발전동학

The European Union Governance and Dynamics of Civil Society

유럽연구 | 28 | 3 | 2010 | 지역학

유럽연합의 거버넌스와 시민사회의 발전동학

The European Union Governance and Dynamics of Civil Society

유럽연구 | 28 | 3 | 2010 | 지역학

보육서비스 정책 개편 쟁점에 관한 연구 - 돌봄에 관한 자유선택론에 대한 비판과 대안모색 -

A Debate on the Reform of Childcare Policy in Korea - A Critique of 'Free Choice' about Caring and its Alternative -

한국사회복지학 | 63 | 3 | 2011 | 사회복지학

바우처 도입에 따른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의 변화와 그 의미

A Study on the Change and Meaning of Identity in Social Work Profess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Voucher in Korea

한국사회복지학 | 62 | 4 | 2010 | 사회복지학

바우처 도입에 따른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의 변화와 그 의미

A Study on the Change and Meaning of Identity in Social Work Profess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Voucher in Korea

한국사회복지학 | 62 | 4 | 2010 | 사회복지학

노인복지서비스 수급경험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효과: 성향점수매칭(PSM)을 활용한 이중차이분석

The experience effect of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on welfare perception: Double difference analysi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한국사회정책 | 19 | 1 | 2012 | 의료/복지/사회정책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특징과 쟁점 : 대전광역시 지역개발형을 중심으로

On the Characteristics and Issues of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gram in Daejeon

사회과학연구 | 21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특징과 쟁점 : 대전광역시 지역개발형을 중심으로

On the Characteristics and Issues of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gram in Daejeon

사회과학연구 | 21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사회적기업육성법의 주요 쟁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Suggestions for the Amendment of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인문사회과학연구 | 12 | 2 | 2011 | 기타인문학

사회취약계층의 자립성 향상을 위한 미국 도시재생정책의 성과와 한계: 미국의 사회서비스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The Outcomes and Challenges of Neighbourhood Renewal Programmes in the US: The Case of Housing Related Social Services to Improve Self-Sufficiency

국토연구 | 74 | 2012 |

지방정부의 재정능력에 따른 주민의 사회복지서비스 인식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sidents' Perception about the Social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Financial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한국비교정부학보 | 15 | 3 | 2011 | 행정학

정부인력 규모와 공공 서비스 제공 방식

Government Employment Size and Pubic Service Production Types

정부학연구 | 18 | 1 | 2012 | 행정학

장애아동 재활치료사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 for the disabled children

한국장애인복지학 | 12 | 2010 | 장애인복지

장애아동 재활치료사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 for the disabled children

한국장애인복지학 | | 12 | 2010 | 장애인복지

인문학의 복지적 실천을 위한 시론적 탐색: 사회서비스와 인문학!

A Theoretical Inquiry for Welfare Practice of the Humanities : Social Service and Humanities

인문과학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인문학의 복지적 실천을 위한 시론적 탐색: 사회서비스와 인문학!

A Theoretical Inquiry for Welfare Practice of the Humanities : Social Service and Humanities

인문과학연구 | | 26 | 2010 | 기타인문학

영국과 독일의 노인 장기요양서비스의 시장화와 그 결과: 이용자 관점에서의 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rketisation of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in UK and Germany: Focusing on the Evaluation of Service Users’ Perspective

보건사회연구 | 32 | 2 | 2012 | 사회과학일반

돌봄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 수행정도가 서비스 질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Emotional Labor of Social Care Service Workers on Their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사회복지정책 | 38 | 4 | 2011 | 사회복지학

일본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고찰

Analysis of social enterprises in Japan

일본근대학연구 | 35 | 2012 | 일본문화학

신 사회위험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태도와 대응기제

New Social Risks and Local Community : Welfare Attitude and Social Service Governance

GRI연구논총 | 13 | 3 | 2011 |

사회 서비스 일자리 실태 및 성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ocial Service Employment's Actual conditions and Performance

지역발전연구 | 20 | 1 | 2011 | 지역비교/통계

한국 사회서비스 공급특성 분석: 보조금과 바우처방식의 검토

Analysis on the Social Service Provision in Korea: Focusing on the methods of Grants and Voucher

사회복지정책 | 38 | 3 | 2011 | 사회복지학

개정 사회보장기본법의 사회서비스의 의미와 개념적 긴장

Meaning and Conceptual Tension Contained in the Definition of Social Services Prescribed by Recently Amended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한국사회복지학 | 64 | 3 | 2012 | 사회복지학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서비스 주체에 따른 공공성의 내용을 중심으로-

What does publicness mean in social services? : A conceptual understanding on publicness

사회복지연구 | 43 | 1 | 2012 | 사회복지학

사회서비스기관 성과평가지표체계 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3 | 1 | 2011 | 사회복지학

가구유형별 노인의 사회서비스 이용경험과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Older Adults' Use of Social Services by Types of Elderly Households and Factors Affecting Service Utilization

사회과학연구 | 27 | 3 | 2011 | 기타사회과학

가구특성과 취학 전 아동양육형태의 자유선택- 직접양육, 가족자원, 보육시설 -

Childcare types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사회과학연구 | 26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가구특성과 취학 전 아동양육형태의 자유선택- 직접양육, 가족자원, 보육시설 -

Childcare types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사회과학연구 | 26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사회서비스 제공에서 비영리 교육기관의 역할과 정책과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청년사업단을 중심으로−

The Roles and Tasks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Providing Social Services: Focusing on "Youth-Groups for Social Services"

사회과학연구 | 26 | 2 | 2010 | 기타사회과학

사회서비스 제공에서 비영리 교육기관의 역할과 정책과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청년사업단을 중심으로−

The Roles and Tasks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Providing Social Services: Focusing on "Youth-Groups for Social Services"

사회과학연구 | 26 | 2 | 2010 | 기타사회과학

사회서비스바우처에 대한 행정법상 고찰

Study of Social Service Voucher under Administrative Law

법학연구 | 21 | 1 | 2011 | 기타법학

1980/90년대 영국 보수당 정부 사회서비스 개혁에 대한 재조명: 정치사상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role of political ideology: Reviewing Social Services Reform of the Conservative Government in 1980s and 90s Britain

사회복지정책 | 38 | 1 | 2011 | 사회복지학

사적영역의 상업화ᆞ합리화로서 사회서비스 비판 : Andrѐ Gorz의 논의를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n the Social Services : Focusing to its effect of Commodification and Rationalization of Private Life

사회복지연구 | 41 | 1 | 2010 | 사회복지학

사적영역의 상업화ᆞ합리화로서 사회서비스 비판 : Andrѐ Gorz의 논의를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n the Social Services : Focusing to its effect of Commodification and Rationalization of Private Life

사회복지연구 | 41 | 1 | 2010 | 사회복지학

한국 사회서비스 공급체계의 역사적 경로와 쟁점, 개선 방향

Historical Path, Issues, and Reformation Course of Social Service Provision System in Korea

보건사회연구 | 32 | 2 | 2012 | 사회과학일반

사회서비스 공급 기관의 거리와 영리성이 바우처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산모신생아도우미 바우처 시장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Distance and Ownership of Provider on Household Choice in Social Service Voucher Marke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Maternity Home Care Voucher Market in Korea

한국정책학회보 | 20 | 4 | 2011 | 정책학

영국 사회서비스 분야의 유사시장 형성과 발전 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에 주는 시사점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Quasi-markets in the UK - Towards finding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한국사회정책 | 17 | 3 | 2010 | 의료/복지/사회정책

영국 사회서비스 분야의 유사시장 형성과 발전 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에 주는 시사점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Quasi-markets in the UK - Towards finding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한국사회정책 | 17 | 3 | 2010 | 의료/복지/사회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