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식민지법

연구분야 : B130207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국제/해양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815

한자 : 植民地法
영어 : Colonial rule

d02-02 정치/법률제도

관련법률/제도명

노스규제법 (--規制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식민지 지배 체계 [ 植民地支配體系 ]

hasIssue (이슈/주제)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식민지 () [ 植民地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인도 통치법

1910년 한․일강제 병탄조약의 불법성, 무효성의 고찰

A Study on the Invalidity & Illegality of "the Treaty of Japan's Annexation of Korea in 1910"

외법논집 | 34 | 4 | 2010 | 법학

경성공소원(京城控訴院) 민사판결원본철을 통해 본 한말의 민사 분쟁과 재판

Civil Disputes and Litigations in the Gyonsong Court of Appeal in modern Korea under the Japanese Protectorate

법학연구 | 22 | 1 | 2011 | 법학

전향이라는 法, 김남천의 Moral

The Law of Conversion, the Moral of Kim Namcheon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의 동아시아 구관조사와 식민지 법 제정 구상 -대만과 조선의 구관입법을 중심으로-

Modern Japan's East Asia Old Customs Investigation and Colonial Law Enactment Plan -Focusing on the Old Customs Law of Taiwan and Joseon-

한국사연구 | 151 | 2010 | 역사학

일제의 동아시아 구관조사와 식민지 법 제정 구상 -대만과 조선의 구관입법을 중심으로-

Modern Japan's East Asia Old Customs Investigation and Colonial Law Enactment Plan -Focusing on the Old Customs Law of Taiwan and Joseon-

한국사연구 | | 151 | 2010 | 역사학

일본제국주의 식민통치지역 재판소제도의 비교 연구

日本帝國主義の植民統治地域の裁判所制度の比較硏究

역사문화연구 | 38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