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초기 재담과 로컬리티의 문제
The Locality and the Jokes of Early 20th Century Korea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의 근대화 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Critical Reflections on Discussion of South Korea's Modernization
인문사회과학연구 |
12 |
1 |
2011 |
기타인문학
식민지 시기 해외 이주체험 형상에 나타난 공동체성의 구성 양상-일본과 미국지역 소설을 중심으로-
Communities Formed by Migr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의 타자담론으로서의 정지용 시
The poetry of Jeong Jiyoung as other discourse of modern time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인생 입문의 장(場)으로서의 인도차이나 - 뒤라스의 인도차이나 3부작을 중심으로
L'Indochine comme un lieu d'apprentissage de la vie - Autour du cycle indochinois de Marugerite DURAS -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6 |
2011 |
프랑스문화학
박병순 시조의 고향 의식 연구
A Study on Hometown Consciousness of Park Byeong-soon’s Sijo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에 의한 진해신도시계획의 식민성 고찰
A Study on Coloniality of Jinhae's New Town Planning by Japanese Imperialism
인문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영제국사 서술과 지구사
The Historiography of the British Empire and Global History
韓國史學史學報 |
25 |
2012 |
역사학
제국의 취향, 전시되는 ‘아리랑’ ―식민지 ‘아리랑 엽서’의 성격과 의미
The Taste of the Empire, “Arirang” on the Exhibition ―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Arirang postcard” under Japanese rule
대동문화연구 |
75 |
2011 |
기타인문학
이병주 초기 소설의 자유주의적 성격 연구 -작가의식과 작중 인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beralistic Character of Early Novels by Lee Byung-Joo -Focusing on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the characters in his novels-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옥시덴탈리즘의 역동성과 離散의 문제 ― <압록강은 흐른다>의 경우 ―
The Dynamics of Occidentalism and Diaspora in Modern Korea; A case of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
제국과 식민지, 그리고 탐정문학 -김내성의 <태풍>을 중심으로-
Empire, Colony, and Detective Novels -Focusing on of Kim Nae-Seong-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국과 식민지, 그리고 탐정문학 -김내성의 <태풍>을 중심으로-
Empire, Colony, and Detective Novels -Focusing on of Kim Nae-Seong-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로운 신” 과학에 올라탄 제국과 식민의 동상이몽 -퀴리부인 전기의 소설화를 중심으로-
Science as a “New God” which Both a Colony and a Colonial Power Dreamt of; Madame Curie’s Biography in Colonial Korea
현대문학의 연구 |
44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서사산문의 문화콘텐츠화 방향-碧初 洪命憙를 통해 배우는-
The Direction of Cultural Content in the Late Chosun Dynasty - learning by Byeokcho Hong-Myeonghui -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변화된 시간 감각과 내면의 표정들 -식민지 시기 소설에 나타난 '일요일'을 중심으로-
Changed Time Sense and the Inside Expressions : Focusing on ‘Sunday’ appeared in the Novels of the Colonial Period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변화된 시간 감각과 내면의 표정들 -식민지 시기 소설에 나타난 '일요일'을 중심으로-
Changed Time Sense and the Inside Expressions : Focusing on ‘Sunday’ appeared in the Novels of the Colonial Period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원한의 화자 이광수
YI Kwang-su, The Narrator of Ressentiment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기 조선인 여성작가’ 최정희의 문학과 전쟁동원 ― 여성성과 전쟁동원 논리 결합양상을 중심으로 ―
‘植民地時期の朝鮮人女性作家’崔貞熙の文学に現れた女性性と戦争動員
일본연구 |
32 |
2012 |
일본어와문학
정신과 육체의 길항 —1910년대 ‘부부애’의 번안/번역—
Mechanism of Physicality and Mentality ;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Marital Love in the 1910's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신지방주의와 향토 —金鍾漢에 기대어—
New Localism and a Home-land - Rely on Kim Jong-han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태준의 고전문학론
Taejoon Kim's theory of classical literature
고전과 해석 |
12 |
2012 |
국문학사
제국의 타자와 재일(在日)의 괴물 남성성-양석일의 『피와 뼈』 연구
The Other of Empire and Masculine Abject of Jainich
민족문학사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국의 타자와 재일(在日)의 괴물 남성성-양석일의 『피와 뼈』 연구
The Other of Empire and Masculine Abject of Jainich
민족문학사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국의 윤리’: 톰 스토파드의 Indian Ink에 나타나는 극작가의 시선
‘The Ethics of Empire’: The Playwright's Perspective in Tom Stoppard's Indian Ink
현대영미드라마 |
24 |
3 |
2011 |
현대영미희곡
한국 근대 新語 연구(1920년~1936년) -일상·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Research of modern neologism in Korea(1920~1936) - Centered on daily life & cultural context -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한국 근대 新語 연구(1920년~1936년) -일상·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Research of modern neologism in Korea(1920~1936) - Centered on daily life & cultural context -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태국과 일본의 관계 -2차 대전 시기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ailand and Japa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국제지역연구 |
14 |
2 |
2010 |
지역학
태국과 일본의 관계 -2차 대전 시기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ailand and Japa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국제지역연구 |
14 |
2 |
2010 |
지역학
백석․일본․아일랜드-백석 시 연구(3)
Baek Seok․Japan․Ireland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일본․아일랜드-백석 시 연구(3)
Baek Seok․Japan․Ireland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태준 소설에 재현된 식민지 조선의 학교
The Schools of Joseon Colony Represented in the Fictions of Lee Teajun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태준 소설에 재현된 식민지 조선의 학교
The Schools of Joseon Colony Represented in the Fictions of Lee Teajun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본인의 조선여행기록에 비친 조선의 표상 -『大役小志』를 중심으로-
The Representation of Korea reflected in the travel reports of the Japanese -on the focus of Daiyakushosi(大役小志)-
대구사학 |
99 |
2010 |
역사학
일본인의 조선여행기록에 비친 조선의 표상 -『大役小志』를 중심으로-
The Representation of Korea reflected in the travel reports of the Japanese -on the focus of Daiyakushosi(大役小志)-
대구사학 |
99 |
|
2010 |
역사학
‘조선호텔’ - 제국의 이상과 식민지 조선의 표상
‘Chosun Hotel’ - Imperial Japan's Ideal and Colonial Korea's Representation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호텔’ - 제국의 이상과 식민지 조선의 표상
‘Chosun Hotel’ - Imperial Japan's Ideal and Colonial Korea's Representation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념과 근대: 영화 <기담>의 식민지 시대 재현방식 연구
Sentiments and Modernity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Colonial Period in the Movie Kidam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러시아의 제국적 정체성에 대한 시베리아의 의미 - 정복에서 혁명까지
The Meaning of Siberia in the Formation of the Imperial Identity of Russia - from Conquest to the Revolution
한국 시베리아연구 |
15 |
2 |
2011 |
러시아
사이드와 카뮈
Said and Camus
인문연구 |
61 |
2011 |
기타인문학
16世紀以來基隆在東亞海運中的地位與城市發展
The Role of Keelung Harbor City in East Asia’navigation and City Development since 16th century
인천학연구 |
1 |
14 |
2011 |
기타인문학
식민지 향토 개념의 중층성
The Concept of ‘Hyangto(Native Place)’ during the Colonial Period
한국학연구 |
34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향토 개념의 중층성
The Concept of ‘Hyangto(Native Place)’ during the Colonial Period
한국학연구 |
|
34 |
2010 |
기타인문학
1960년대 대표적 귀속기업체, 조선방직 부산공장의 몰락
Decline of Chosun Spinning Co.(Busan), Typical Vested Company in the 1960s
경영사연구 |
26 |
3 |
2011 |
사회과학일반
식민지 조선의 교육적 실천, 소설 속 야학의 의미
Educational action in Joseon colony, the meaning of the night school in the fictions
민족문화연구 |
52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조선의 교육적 실천, 소설 속 야학의 의미
Educational action in Joseon colony, the meaning of the night school in the fictions
민족문화연구 |
|
52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근대 여행담론의 형성과 ‘수양론’의 실천적 논리 -『청춘』을 중심으로-
A Construction of Korea Modern Journey-Discourse and Logic of Self-Discipline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시기 사이공/코친차이나에서의 귀화법과 베트남인 프랑스시민권자
Naturalization Laws and Francized Colony People in Saigon and Cochinchina during the Colonial Period
역사와경계 |
78 |
2011 |
역사학
황군(皇軍)의 사랑, 왜 병사가 아니라 그녀가 죽는가 -<조선해협>, 기다림의 멜로드라마-
The Imperial Solider's Love, Why not a solider but she who died? -, Melodrama of Waiting-
여성문학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제국의 사이클과 지역 정치문화: 전간기 동아일보의 ‘민주주의’와 ‘자유주의’
The Cycles of Empire and Local Political Culture: Tong-A Ilbo’s Democracy and Liberalism during the Inter-war Period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4 |
2012 |
사회학
판소리의 근대적 재생산에 관한 연구
Study on Modern Reproduction of Pansory
한국언어문학 |
81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와 이중섭 그림에 나타난 대이상향(大理想鄕)의 세계
On the great ideal world presented in poet Baek, Seok and artist Lee, Jung Seop’s works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대중문화와 ‘청춘’ 표상
The Representation of ‘Cheongchun’(youth) in Popular Culture in the Korean Colonial Period
한국학 |
34 |
3 |
2011 |
기타인문학
식민지의 기억과 일본 현대 아동문학 - 전후 일본 아동문학 상황과 시카타 신의 조선체험
A War Juvenile Literature and Sikatasin' Chosun
일본어문학 |
55 |
2011 |
일본어와문학
제국주의적 가부장적 남성 주체의 확립과 식민지 아내: 진 리스의 『드넓은 사가소 바다』
The Formation of Imperial and Patriarchal Masculinity and A Colonial Wife in Jean Rhys’s Wide Sargasso Sea
영미문학교육 |
15 |
2 |
2011 |
영어와문학
학병 기피자의 식민지 기억과 서사 -김광식의 『식민지』(1963)론
Colonial memory and narrative of a deserter from the student soldiers corps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병 기피자의 식민지 기억과 서사 -김광식의 『식민지』(1963)론
Colonial memory and narrative of a deserter from the student soldiers corps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한․일 근대 작가의 개인주의적 주체 비교연구 - 염상섭과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비교를 통해 -
A Comparative Study on Taisho Democracy and Individualistic Subjects of Korean․Japanese of Modern Writers - Through the comparison of Yeom Sang-sup and Akutagawa Ryunosuke -
한국문학논총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한․일 근대 작가의 개인주의적 주체 비교연구 - 염상섭과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비교를 통해 -
A Comparative Study on Taisho Democracy and Individualistic Subjects of Korean․Japanese of Modern Writers - Through the comparison of Yeom Sang-sup and Akutagawa Ryunosuke -
한국문학논총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기 문학의 장에서의 여성 작가들 ― 2세대 여성 작가들의 작품과 삶의 경로를 중심으로
The Right Time, Right Topic and Right Relationship: Social Conditions for Female Writers’ Survival in the Literary Field of Colonial Korea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3 |
2012 |
사회학
오장환 시에 나타난 질병과 생명의 문제
The matter of disease and life in Oh jang-hwan’s poems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근대의 이중성 연구
A Study on the Duplicity of Colonial Modern Times in the Novels of Lee Sun-hee
한국문예비평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일본 식민지 통치모델의 轉移와 그 의미 ― ‘臺灣모델’의 關東州ㆍ朝鮮에의 적용 시도와 변용 ―
近代日本殖民统治模式之轉移与其意义
중국근현대사연구 |
53 |
2012 |
중국현대사
일그러진 기억의 거울
The Mirror of Distorted Memories
우리말글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그러진 기억의 거울
The Mirror of Distorted Memories
우리말글 |
50 |
|
2010 |
한국어와문학
염상섭의 『만세전』에 나타난 ‘개성’과 ‘생활’의 의미 -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郞)의 『아낌없이 사랑은 빼앗는다(惜みなく愛は奪ふ)-』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廉想渉の『万歳前』に現われた‘個性’と‘生活’の意味 - 有島武郎の『惜みなく愛は奪ふ』との比較を中心に - A Study on the meaning of 'Individuality' and 'Life' in Yeom Sang-seop's Before Hurrah : A Comparison with Arishima Takeo’s Take the Love by Force without Mercy
日本學硏究 |
34 |
2011 |
일본어와문학
식민지기 부산지역 회사자료의 정리와 분석 ―『釜山府勢要覽』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ny of Busan under the Japaness Colonial Period
한국민족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기 부산지역 회사자료의 정리와 분석 ―『釜山府勢要覽』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ny of Busan under the Japaness Colonial Period
한국민족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