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 협약

연구분야 : B130403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노동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85

STNet ID : 1000245

한자 : 團體協約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x03-05-03 효과/영향 효과/영향

규범적 효력 [ 規範的效力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단체교섭창구 단일화 () [ 團體交涉窓口單一化 ]

isCausedBy (원인)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단체 교섭 [ 團體交涉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교섭 담당자 [ 交涉 擔當者 ]

RT (관련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교섭 단위 [ 交涉單位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x03-06-03 참여/중재 참여/중재

중재 합의 [ 仲裁合意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단결권 [ 團結權 ]

RT (관련어)

 

x03-06-04 반응/대응 반응/대응

개별적 근로관계 () [ 個別的勤勞關係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노동 운동 [ 勞動運動 ]

RT (관련어)

대응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필수 유지 업무 협정 [ 必須 維持 業務 協定 ]

복수노조 시행과 노사관계 안정화 방안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ulti-Unions and the Stabilization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경희법학 | 46 | 4 | 2011 | 비교법학

독일에서의 항공운항종사자의 개별 직원대표의 허용성에 관한 고찰

Die Zulässigkeitpartikularer Personalvertretungen im deutsche Luftverkehr

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 26 | 1 | 2011 | 기타법학

브라질 노사단체 연구: 경로의존성 이론에 근거하여

Industrial Relations in Brazil

산업관계연구 | 22 | 2 | 2012 | 경영학

노사관계로드맵 17년의 평가와 전망

The evaluation and prospect on the past 17 years’ Road Map of labor relations in Korea

노동법학 | 39 | 2011 | 노동법

근로권의 헌법합치적 해석에 관한 연구 -독일에서의 단결권과 단체교섭권 해석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Right to Labor

법학논총 | 34 | 2 | 2010 | 법학

근로권의 헌법합치적 해석에 관한 연구 -독일에서의 단결권과 단체교섭권 해석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Right to Labor

법학논총 | 34 | 2 | 2010 | 법학

미국 스포츠 리그 선수회의 법적 지위와 역할

Legal statue and Role of Players Association in U.S. Sports League

법학연구 | 20 | 4 | 2010 | 기타법학

미국 스포츠 리그 선수회의 법적 지위와 역할

Legal statue and Role of Players Association in U.S. Sports League

법학연구 | 20 | 4 | 2010 | 기타법학

미국 자동차 산업 노동력 고령화(Ageing)와 노사관계

Ageing and Industrial Relations in American auto industry

국제경영리뷰 | 15 | 4 | 2011 | 경영학

교섭창구단일화제도의 쟁점과 문제점

Legal Issues and Problems of The Single Bargaining Channel System

노동법학 | 43 | 2012 | 노동법

2011년 노동법 중요 판례

A Study on the Important Precedents in Labor Law in 2011

인권과 정의 | 424 | 2012 | 법학

복수노조시대의 노사협의회 운영 개선방안

Ways to Improve Management of Works Council Under Union Pluralism

산업관계연구 | 21 | 3 | 2011 | 경영학

日本における 「公正代表義務」 論

일본에서의 「공정대표의무」론

노동법논총 | 19 | 2010 | 노동법

日本における 「公正代表義務」 論

일본에서의 「공정대표의무」론

노동법논총 | 19 | | 2010 | 노동법

공무원의 실적주의 인사제도와 단체교섭의 공존: 가능성과 도전

The Coexistence of Merits Systems and Collective Negotiation i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 Feasibility and Challenge

한국인사행정학회보 | 10 | 1 | 2011 | 행정학

경제환경변화에 따른 구조조정의 법리

A Study on the Economic Restructur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Economic Situation

성균관법학 | 23 | 1 | 2011 | 법학

일본 단체협약의 일반적 구속력제도

A Study on the General Binding Force of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in Japan

법학연구 | 18 | 1 | 2010 | 기초법

일본 단체협약의 일반적 구속력제도

A Study on the General Binding Force of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in Japan

법학연구 | 18 | 1 | 2010 | 기초법

‘영화인’의 영화 ‘노동자’ 되기 - 영화산업노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Why Do Film Artists Become Film Workers? - A Case of Korean Film Industry Workers Union

담론201 | 13 | 4 | 2010 | 사회학

‘영화인’의 영화 ‘노동자’ 되기 - 영화산업노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Why Do Film Artists Become Film Workers? - A Case of Korean Film Industry Workers Union

담론201 | 13 | 4 | 2010 | 사회학

근로조건의 불이익변경에 관한 협약자치의 한계 ― 대상판결 : 대법원 2011. 7. 28. 선고 2009두7790 판결 ―

A Study on the Validity of Collective Agreements Including Working Conditions Less Favorable to Employees

노동법연구 | 32 | 2012 | 법학

교섭창구단일화제도와 산별교섭

Vereinigung der Tarifverhandlungen Vertretern und Industrieverbandsprinzip

노동법학 | 43 | 2012 | 노동법

단체협약의 일방적 해지에 대한 부당노동행위 판단 - 일본의 법리를 중심으로

A Study of Unfair Labor Practice on Unilateral Termination of Collective Agreement - Focus on Japanese Legal Principles -

노동법논총 | 19 | 2010 | 노동법

단체협약의 일방적 해지에 대한 부당노동행위 판단 - 일본의 법리를 중심으로

A Study of Unfair Labor Practice on Unilateral Termination of Collective Agreement - Focus on Japanese Legal Principles -

노동법논총 | 19 | | 2010 | 노동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