勞動法과 勞動者의 權利保障에 관한 硏究 -1980∼1990년대 프랑스 勞動市場政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Labor Laws and Workers’ Rights Ensure -1980∼1990’s Focus on Labor Market Policies in France-
법학논총 |
35 |
2 |
2011 |
법학
학교회계직원의 근로관계 쟁점과고용안정 방안
Issues in Labour Relation and Employment Stabilization of the Non-standard Employees in Public School
노동법연구 |
31 |
2011 |
법학
노동법상 사용자 적격성에 대한 검토 - 학교부문을 중심으로 -
Study on Suitability of Employer under Labor Acts - Focused on School Sector -
원광법학 |
28 |
1 |
2012 |
기타법학
노사관계로드맵 17년의 평가와 전망
The evaluation and prospect on the past 17 years’ Road Map of labor relations in Korea
노동법학 |
39 |
2011 |
노동법
노동법학에서의 헌법학의 역할
The Roles of Constitutional Law in Labor Law
동아법학 |
48 |
2010 |
법학
현행 노조법 상 노조전임자 제도에 관한 법이론적 재검토
Analysis on the Reform of the collective Labour Law 2010
법학연구 |
51 |
4 |
2010 |
기초법
현행 노조법 상 노조전임자 제도에 관한 법이론적 재검토
Analysis on the Reform of the collective Labour Law 2010
법학연구 |
51 |
4 |
2010 |
기초법
경제위기 이후 미국의 공공부문과 노사관계 변화
Changes in the Public Sector and its Labor Relations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the U.S.
동향과 전망 |
84 |
2012 |
사회과학일반
就業規則制度의 比較法的 一考察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ystem of Works Rules
경희법학 |
45 |
4 |
2010 |
비교법학
독일・스웨덴・프랑스의 고용관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industrial relations of Germany, Sweden and France
한독사회과학논총 |
22 |
2 |
2012 |
지역학
미국의 단체행동의 정당성
Concerted Activities and the Law in U.S.A.
노동법학 |
42 |
2012 |
노동법
한국에서의 근로자의 경영참가 법리의 향방
韓国における労働者の経営参加法理の在り方 A Direction for Workers' Participations in the Management and the Law in Korea
동아법학 |
50 |
2011 |
법학
복수노조 제도가 노사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Union Pluralism on Industrial Relations
노동정책연구 |
11 |
4 |
2011 |
사회과학일반
공무원 노사관계 안정화를 위한 단체교섭제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Collectiv Bargaining for Government Employees' Labor Relations
한국부패학회보 |
16 |
1 |
2011 |
행정학
한국과 미국의 단체교섭법제 비교 ― 교섭단위와 교섭대표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Legal System of Collective Bargaining in Korea and the U.S ―Bargaining Unit and Bargaining Representatives―
노동법학 |
40 |
2011 |
노동법
산업민주주의와 근로자 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The Industrial Democracy and the Act on the Promotion of Workers'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노동법논총 |
21 |
2011 |
노동법
독일 교원노사관계의 이원성: 노동조합과 직원평의회
A Study on the Dual Structure of German Teacher’s Industrial Relations
산업노동연구 |
17 |
2 |
2011 |
사회과학일반
공무원 단체교섭의 경험과 과제 - 일반직공무원의 경우 -
The Experience And The Improvement Task Of Collective Bargaining In Korean Government
인적자원관리연구 |
17 |
2 |
2010 |
경영학
공무원 단체교섭의 경험과 과제 - 일반직공무원의 경우 -
The Experience And The Improvement Task Of Collective Bargaining In Korean Government
인적자원관리연구 |
17 |
2 |
2010 |
경영학
한국영화산업의 노사관계 시스템 형성에 관한 연구 :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결성과 1차 단체교섭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
16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한국영화산업의 노사관계 시스템 형성에 관한 연구 :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결성과 1차 단체교섭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
16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미국 교섭단위제도에서 사업장내 파견ㆍ용역근로자의 단체교섭권 연구
Temp/Contract Worker's Right and the Multi-Employer Unit Test
노동법학 |
38 |
2011 |
노동법
日本における団体交渉権の性格と交渉代表制
일본국에서의 단체교섭권의 성격과 교섭대표제
노동법논총 |
19 |
2010 |
노동법
日本における団体交渉権の性格と交渉代表制
일본국에서의 단체교섭권의 성격과 교섭대표제
노동법논총 |
19 |
|
2010 |
노동법
교섭창구단일화제도의 쟁점과 문제점
Legal Issues and Problems of The Single Bargaining Channel System
노동법학 |
43 |
2012 |
노동법
‘자율교섭’과 ‘교섭단위분리’에 관한 법적 쟁점
A study on legal Issues of voluntary collective bargaining and separation of bargaining unit
노동법학 |
41 |
2012 |
노동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