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섭창구단일화

연구분야 : B130403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노동법

클래스 : 경제경영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059

STNet ID : 1005094

한자 : 交涉窓口 單一化

d02-03 경제경영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소수 노조 () [ 少數勞組 ]

affects (영향)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노동 조합 () [ 勞動組合 ]

resultsIn (산물/결과)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단체 교섭 [ 團體交涉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복수 노조 [ 複數勞組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자율 교섭 [ 自律 交涉 ]

복수노조 시행과 노사관계 안정화 방안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ulti-Unions and the Stabilization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경희법학 | 46 | 4 | 2011 | 비교법학

독일 집단적 노사관계법상 판례 법리의 주요 특징 - 노사관계 안정화를 위한 노동조합 및 단체협약적용 관련 판례이론을 중심으로 -

The Principle of Judicial Decisions on German Labor Relations Laws - On the Decisions treating with Labor Unions and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s for the Stable Labor Relations

고려법학 | 58 | 2010 | 법학

독일 집단적 노사관계법상 판례 법리의 주요 특징 - 노사관계 안정화를 위한 노동조합 및 단체협약적용 관련 판례이론을 중심으로 -

The Principle of Judicial Decisions on German Labor Relations Laws - On the Decisions treating with Labor Unions and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s for the Stable Labor Relations

고려법학 | | 58 | 2010 | 법학

노동법의 선진적 개정 방향

The Advanced Proposal of Amendment of the Labor Law

법학논총 | 23 | 1 | 2010 | 기타법학

미국의 공정대표의무제도와 시사점

Duty of Fair Represent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Implications

노동법논총 | 23 | 2011 | 노동법

노동기본권과 소수 노동조합의 협약능력 및 단체협약의 효력에 관한 연구 ― 단체교섭창구 단일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abor Fundamental Rights, the Capacity to Conclude Collective Agreements and Effect of the Collective Agreement in Minority Unions - Focusing on the Single Bargaining Channel -

노동법학 | 38 | 2011 | 노동법

교섭대표의 선정방식 및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ecision Method and Legal Status of the Bargaining Representative

서울대학교 법학 | 53 | 1 | 2012 | 법학

복수 노동조합 병존 하의 제 문제에 관한 고찰

複数労働組合併存下における諸問題に関する考察

노동법논총 | 20 | 2010 | 노동법

복수 노동조합 병존 하의 제 문제에 관한 고찰

複数労働組合併存下における諸問題に関する考察

노동법논총 | 20 | | 2010 | 노동법

‘자율교섭’과 ‘교섭단위분리’에 관한 법적 쟁점

A study on legal Issues of voluntary collective bargaining and separation of bargaining unit

노동법학 | 41 | 2012 | 노동법

복수노조 시대의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에 있어서 노동위원회의 법적 권한 연구

A Study on the Legal Authorities of Labor Relations Commission in Designating a Bargaining Representative among Multiple Unions at Enterprise Level

노동정책연구 | 11 | 2 | 2011 | 사회과학일반

교섭창구 단일화 방안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해석방안

To Construct the Rule of Single Bargaining Unit to be smoothly incorporated in Labor Laws

안암법학 | 34 | 2011 | 법학일반

노조전임자와 복수노조와 관련한 노조법 개정과 그 패러다임 전환

労働組合の在籍専従者と複数労働組合と関連した労組法の改正とそのパラダイムの転換

강원법학 | 30 | 2010 | 기타법학

노조전임자와 복수노조와 관련한 노조법 개정과 그 패러다임 전환

労働組合の在籍専従者と複数労働組合と関連した労組法の改正とそのパラダイムの転換

강원법학 | 30 | | 2010 | 기타법학

교섭창구단일화가 참여․협력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Empirical Study on Effects of Single Party Bargaining System on Cooperative and Participative Labour Relations

경영과 정보연구 | 30 | 1 | 2011 | 경영학

교섭단위의 분리에 관한 법적 쟁점의 고찰

A Study on the Legal Issues of Bargaining Unit Division

노동법학 | 43 | 2012 | 노동법

교섭창구단일화절차를 둘러싼 노동법상 쟁점

Legal Framework and Issues of Bargaining Agent Determination System in Korea

사법 | 1 | 15 | 2011 | 법정책학

교섭창구단일화제도 시행에 따른 법적․실무적 쟁점

The Legal and Practical Issues concern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Bargaining Channel Unification System

노동법학 | 39 | 2011 | 노동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