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 노조

연구분야 : B130403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노동법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075

STNet ID : 1005108

한자 : 複數勞組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노사정 위원회 [ 勞使政委員會 ]

RT (관련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교섭 대표 노동 조합 [ 交涉代表勞動組合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단결권 [ 團結權 ]

RT (관련어)

 

a02-03 기업/회사 기업/회사

노사협의회 [ 勞使協議會 ]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교섭창구단일화 [ 交涉窓口 單一化 ]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자율 교섭 [ 自律 交涉 ]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단체교섭창구 단일화 () [ 團體交涉窓口單一化 ]

독일에서의 항공운항종사자의 개별 직원대표의 허용성에 관한 고찰

Die Zulässigkeitpartikularer Personalvertretungen im deutsche Luftverkehr

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 26 | 1 | 2011 | 기타법학

노사관계로드맵 17년의 평가와 전망

The evaluation and prospect on the past 17 years’ Road Map of labor relations in Korea

노동법학 | 39 | 2011 | 노동법

‘자율교섭’과 ‘교섭단위분리’에 관한 법적 쟁점

A study on legal Issues of voluntary collective bargaining and separation of bargaining unit

노동법학 | 41 | 2012 | 노동법

복수노조시대의 노사협의회 운영 개선방안

Ways to Improve Management of Works Council Under Union Pluralism

산업관계연구 | 21 | 3 | 2011 | 경영학

복수노조 시행과 노사관계 안정화 방안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ulti-Unions and the Stabilization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경희법학 | 46 | 4 | 2011 | 비교법학

노동법의 선진적 개정 방향

The Advanced Proposal of Amendment of the Labor Law

법학논총 | 23 | 1 | 2010 | 기타법학

항만인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제고방안 - 필수유지업무제도의 도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s for a stable supply in port labour -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essential minimum services system -

법학연구 | 20 | 2 | 2012 | 기초법

노동조합의 분열에 따른 재산귀속여부

A Study on the title to the property due to the division of the Union

한양법학 | 35 | 2011 | 법해석학

교섭창구단일화제도의 쟁점과 문제점

Legal Issues and Problems of The Single Bargaining Channel System

노동법학 | 43 | 2012 | 노동법

복수노조 교섭창구단일화제도의위헌성에 관한 검토

A Study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single bargaining unit rule

노동법연구 | 31 | 2011 | 법학

복수노조 제도가 노사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Union Pluralism on Industrial Relations

노동정책연구 | 11 | 4 | 2011 | 사회과학일반

노동조합설립신고제도의 문제점과 대안의 모색

In Search of New Trade Union Registration System

노동정책연구 | 10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노동조합설립신고제도의 문제점과 대안의 모색

In Search of New Trade Union Registration System

노동정책연구 | 10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조직강제를 위한 유니언숍 협정의 법리에 대한 연구

일감법학 | 20 | 2011 | 기타법학

캐나다의 복수노조 사례 -노조 간 조직경쟁의 배경과 전개과정, 그리고 결과-

Dual Unionism in Canada―Backgrounds, Development, and Results of Inter-Union Competitions―

노동정책연구 | 11 | 2 | 2011 | 사회과학일반

미국의 공정대표의무제도와 시사점

Duty of Fair Represent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Implications

노동법논총 | 23 | 2011 | 노동법

교섭대표의 선정방식 및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ecision Method and Legal Status of the Bargaining Representative

서울대학교 법학 | 53 | 1 | 2012 | 법학

복수노조와 협약자율 ― 교섭창구단일화와 소수노조와 관련하여 ―

Gewerkschaftspluralität im Betrieb und Tarifautonomie

노동법학 | 38 | 2011 | 노동법

공공기관의 조직 및 개인특성이 노사관계제도 변화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업단위 복수노조제도 허용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the acceptance of the revised acts on the industrial relations in the public institutions : Focused on the multiple unions system

한국행정논집 | 23 | 3 | 2011 | 행정학

복수노조 교섭창구단일화 제도의 주요 쟁점

Major Issues in the legal procedure for the single bargaining table

아주법학 | 4 | 2 | 2010 | 법학

복수노조 교섭창구단일화 제도의 주요 쟁점

Major Issues in the legal procedure for the single bargaining table

아주법학 | 4 | 2 | 2010 | 법학

창구단일화-전임자 문제를 둘러싼 사회적 대화 과정과 결과

An Overview of the Process and Outcome of a Social Dialogue –on the two issues of single channel bargaining system and full-time union official

산업관계연구 | 20 | 2 | 2010 | 경영학

창구단일화-전임자 문제를 둘러싼 사회적 대화 과정과 결과

An Overview of the Process and Outcome of a Social Dialogue –on the two issues of single channel bargaining system and full-time union official

산업관계연구 | 20 | 2 | 2010 | 경영학

복수노조제도 시행 이후 노사정 대응전략의 문제점 및 시사점

Problems and Suggestions of Tripartite(Labor, Management and Government) Counter-strategy after Introduction of Multiple Labor Union System

산업관계연구 | 22 | 3 | 2012 | 경영학

복수노조 시대의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에 있어서 노동위원회의 법적 권한 연구

A Study on the Legal Authorities of Labor Relations Commission in Designating a Bargaining Representative among Multiple Unions at Enterprise Level

노동정책연구 | 11 | 2 | 2011 | 사회과학일반

복수노조하에서의 소수조합의 법적 지위

Legal Status of Non-majority Union on the Multiple Trade Union System

노동법논총 | 23 | 2011 | 노동법